728x90
[재배학] 작물의 분류
① 곡숙류
[1] 화곡류
- 미곡 : 수도, 육도
- 맥류 : 보리, 밀, 귀리, 호밀, 라이밀
- 잡곡 : 조, 옥수수, 수수, 기장, 피, 메밀, 율무
[2] 두류 : 콩, 팥, 녹두, 강낭콩, 완두, 땅콩
② 서류 : 감자, 고구마
2. 약용작물 : 인삼, 제충국, 박하, 호프 [342종]
3. 사료작물 [327종]
화본과 : 옥수수, 귀리, 티머시, 오처드그래스, 라이그래스
콩과 : 알팔파, 화이트클로버, 레드클로버, 자운영, 벳치류, 버즈풋트레포일(Birds foot trefoil)
기타과 : 순무, 비트, 뚱단지, 해바라기
★ 사료작물의 이용형태에 따른 분류
① 청예작물 : 풋베기하여 생초로 이용
② 건초작물 : 풋베기하여 건초로 이용
- 티머시, 알팔파
③ 사일리지작물 : 늦게 풋베기하여 젖산 발효하여 이용
- 옥수수, 수수, 콩
④ 종실작물 : 풋베기하지 않고, 성숙 후에 수확하여 종실을 이용
- 맥류, 옥수수
4. 공예작물 : 특용작물 [264종]
① 유료 : 참깨, 들깨, 아주까리, 평지, 해바라기, 콩, 땅콩, *아마, *목화
② 섬유(직조) : *아마, *목화, 삼, 모시풀, 어저귀, 케나프, 왕골, 수세미, 닥나무, 고리버들
③ 전분 : 옥수수, 감자, 고구마
④ 당료 : 사탕무, 단수수, 스테비아, 감초
★ 바이오 디젤 : 대두(Glycine max), 팜, 유채
★ 바이오 에탄올 : 옥수수(Zea mays)
5. 녹비작물 : 비료작물 [81종]
- 화본과 : 귀리, 호밀
- 콩과 : 자운영, 벳치류, 콩
6. 기호작물 : 커피, 차, 담배 [70종]
7. 원예작물
① 과수
[1] 인과류 : 배, 사과, *비파 - 꽃받침
[2] 핵과류 :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양앵두 - 중과피
[3] 장과류 : 포도, 딸기, *무화과, *수구리 - 외과피
[4] 각과류 : 밤, 호두 - 씨의 자엽
[5] 준인과류 : 감, 귤 - 씨방
② 채소
[1] 과채류 : 오이, 호박, 참외, 수박, 토마토, 가지, 딸기, 멜론
[2] 협채류 : 강낭콩, 동부, 완두(월동 가능)
[3] 근채류
- 직근류 : 무, 당근, 우엉, 토란, 연근
- 괴근류: 생강, 마, 토란, 고구마, 감자(괴경)
[4] 경엽채류
- 채류 : 배추, 양배추, 갓
- 생채류 : 상추, 셀러리, 파슬리, 땅두릅
- 상채류 : 미나리, 쑥갓, 머위,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 인(경)류 : 파, 양파, 쪽파, 마늘
③ 화훼 및 관상식물
[1] 초본류 : 국화, 코스모스, 다알리아, 난초
[2] 목본류 : 동백, 고무나무, *유도화
「생태」적 분류
1. 생존연한
① 1년생 : 봄에 파종, 그 해 안에 성숙
- 벼, 콩, 옥수수, 수수, 조
② 월년생 : 가을에 파종, 그 다음 해 초여름에 성숙
- 가을밀, 가을보리
③ 2년생 : 봄에 파종, 그 다음 해에 성숙
- *사탕무, *무, *양배추, *양파
④ 영년생(다년생) : 경제적 이용연한이 여러 해
- *목초류, *호프, *아스파라거스
2. 생육계절
① 여름작물 : 봄에 파종, 여름철에 생육하는 1년생
② 겨울작물 : 가을에 파종, 겨울과 봄에 생육하는 월년생
3. 생육적온
① '저온'작물 : *감자, *사탕무, 맥류, 귀리, 호밀
② '고온'작물 : *고구마, *사탕수수, 수수, 옥수수, 벼, 콩
③ '열대'작물 : *생강, 고무나무, 카사바
★ 목초류의 생육적온에 따른 분류
① 북방(한지)형
- 추위에 강 : 저온에서 생육이 좋음
- 더위에 약 : 하고현상 있음
- 티머시, 알팔파
② 남방(난지)형
- 추위에 약 : 고온에서 생육이 좋음
- 더위에 강 : 하고현상 없음
- 버뮤다그래스, 매듭풀
4. 생육형
① 주형 : 각각의 포기를 형성
- 벼, 맥류
② 포복형 : 줄기가 땅을 기어서 자람
- 고구마, 호박
③ 직립형 : 줄기가 곧게 자람
- 오처드그래스, 티모시
★ 목초류의 용도에 따른 생육형
① 채초 : 직립형, 상번초
② 방목 : 포복형, 하번초
5. 저항성
① 내산성 : 감자, 벼, 호밀, 귀리, 아마, 땅콩
② 내건성 : 수수, 조, 기장
③ 내습성 : 벼, 밭벼, 골풀
④ 내염성 : 사탕무, 목화, 수수, 유채
⑤ 내풍성 : 고구마, 포복형
「재배이용」면 (특수) 분류
1. 작부방식
① 중경작물 : 잡초 발생 경감
- 옥수수, 수수
② 휴한작물 : 땅을 묵히는 대신 재배하여 지력 유지
- 비트, 클로버, 알팔파
③ 윤작작물 : 윤작체계에 도입
- 중경작물, 휴한작물
④ 동반작물 : 다년생 초지의 초기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섞어서 덧뿌림
- 귀리, 보리
⑤ 보호작물
- 추운지방에서 가을밀, 봄밀을 같이 파종
- 봄밀이 먼저 자라 겨울에 동사하여 그 마른 잎이 가을밀을 덮어 추위로부터 보호
⑥ 대파 또는 대용작물 : 한발 또는 재해로 주작물의 수확 가망이 없을 때 대신 파종하여 수확
- 조, 메밀, 채소, 감자
⑦ 구황작물 : 흉년에 기근 경감, 대부분이 대파작물에 속함
- 조, 피, 기장, 메밀, 고구마, 감자
⑧ 흡비작물 : 뿌리가 깊어 유실될 비료분 포착, 흡수, 이용
- 알팔파, 스위트클로버, 화본과 목초
2. 토양보호
① 피복작물 : 잔근량이 많고 토양 전면을 덮음, 토양 침식 막음
- 화본과 목초류, 콩과 목초류
② 토양보호('내식성')작물 : 피복작물처럼 토양보호 효과가 큰 작물
③ 토양조성작물 : 토양을 보호하고 지력을 높임
- 콩과 목초류, 녹비작물
④ '수식성'작물 : 토양 침식 되기 쉬움
- 주로 키가 크고, 드문드문 자라고, 김메기를 깨끗이 해주어야 함
- 옥수수, 담배, 목화, 과수, 채소
3. 경영면
① 자급작물 : 농가 자급 목적
- 벼, 보리
② 환금작물 : 판매 목적
- 담배
③ 경제작물 : 환금작물 중 특히 수익성이 높음
- 담배, 아스파라거스, 아마, 속성채소
④ 전매작물 : 공공기업에서 전량 수매
① 곡숙류
[1] 화곡류
- 미곡 : 수도, 육도
- 맥류 : 보리, 밀, 귀리, 호밀, 라이밀
- 잡곡 : 조, 옥수수, 수수, 기장, 피, 메밀, 율무
[2] 두류 : 콩, 팥, 녹두, 강낭콩, 완두, 땅콩
② 서류 : 감자, 고구마
2. 약용작물 : 인삼, 제충국, 박하, 호프 [342종]
3. 사료작물 [327종]
화본과 : 옥수수, 귀리, 티머시, 오처드그래스, 라이그래스
콩과 : 알팔파, 화이트클로버, 레드클로버, 자운영, 벳치류, 버즈풋트레포일(Birds foot trefoil)
기타과 : 순무, 비트, 뚱단지, 해바라기
★ 사료작물의 이용형태에 따른 분류
① 청예작물 : 풋베기하여 생초로 이용
② 건초작물 : 풋베기하여 건초로 이용
- 티머시, 알팔파
③ 사일리지작물 : 늦게 풋베기하여 젖산 발효하여 이용
- 옥수수, 수수, 콩
④ 종실작물 : 풋베기하지 않고, 성숙 후에 수확하여 종실을 이용
- 맥류, 옥수수
4. 공예작물 : 특용작물 [264종]
① 유료 : 참깨, 들깨, 아주까리, 평지, 해바라기, 콩, 땅콩, *아마, *목화
② 섬유(직조) : *아마, *목화, 삼, 모시풀, 어저귀, 케나프, 왕골, 수세미, 닥나무, 고리버들
③ 전분 : 옥수수, 감자, 고구마
④ 당료 : 사탕무, 단수수, 스테비아, 감초
★ 바이오 디젤 : 대두(Glycine max), 팜, 유채
★ 바이오 에탄올 : 옥수수(Zea mays)
5. 녹비작물 : 비료작물 [81종]
- 화본과 : 귀리, 호밀
- 콩과 : 자운영, 벳치류, 콩
6. 기호작물 : 커피, 차, 담배 [70종]
7. 원예작물
① 과수
[1] 인과류 : 배, 사과, *비파 - 꽃받침
[2] 핵과류 :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양앵두 - 중과피
[3] 장과류 : 포도, 딸기, *무화과, *수구리 - 외과피
[4] 각과류 : 밤, 호두 - 씨의 자엽
[5] 준인과류 : 감, 귤 - 씨방
② 채소
[1] 과채류 : 오이, 호박, 참외, 수박, 토마토, 가지, 딸기, 멜론
[2] 협채류 : 강낭콩, 동부, 완두(월동 가능)
[3] 근채류
- 직근류 : 무, 당근, 우엉, 토란, 연근
- 괴근류: 생강, 마, 토란, 고구마, 감자(괴경)
[4] 경엽채류
- 채류 : 배추, 양배추, 갓
- 생채류 : 상추, 셀러리, 파슬리, 땅두릅
- 상채류 : 미나리, 쑥갓, 머위,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 인(경)류 : 파, 양파, 쪽파, 마늘
③ 화훼 및 관상식물
[1] 초본류 : 국화, 코스모스, 다알리아, 난초
[2] 목본류 : 동백, 고무나무, *유도화
「생태」적 분류
1. 생존연한
① 1년생 : 봄에 파종, 그 해 안에 성숙
- 벼, 콩, 옥수수, 수수, 조
② 월년생 : 가을에 파종, 그 다음 해 초여름에 성숙
- 가을밀, 가을보리
③ 2년생 : 봄에 파종, 그 다음 해에 성숙
- *사탕무, *무, *양배추, *양파
④ 영년생(다년생) : 경제적 이용연한이 여러 해
- *목초류, *호프, *아스파라거스
2. 생육계절
① 여름작물 : 봄에 파종, 여름철에 생육하는 1년생
② 겨울작물 : 가을에 파종, 겨울과 봄에 생육하는 월년생
3. 생육적온
① '저온'작물 : *감자, *사탕무, 맥류, 귀리, 호밀
② '고온'작물 : *고구마, *사탕수수, 수수, 옥수수, 벼, 콩
③ '열대'작물 : *생강, 고무나무, 카사바
★ 목초류의 생육적온에 따른 분류
① 북방(한지)형
- 추위에 강 : 저온에서 생육이 좋음
- 더위에 약 : 하고현상 있음
- 티머시, 알팔파
② 남방(난지)형
- 추위에 약 : 고온에서 생육이 좋음
- 더위에 강 : 하고현상 없음
- 버뮤다그래스, 매듭풀
4. 생육형
① 주형 : 각각의 포기를 형성
- 벼, 맥류
② 포복형 : 줄기가 땅을 기어서 자람
- 고구마, 호박
③ 직립형 : 줄기가 곧게 자람
- 오처드그래스, 티모시
★ 목초류의 용도에 따른 생육형
① 채초 : 직립형, 상번초
② 방목 : 포복형, 하번초
5. 저항성
① 내산성 : 감자, 벼, 호밀, 귀리, 아마, 땅콩
② 내건성 : 수수, 조, 기장
③ 내습성 : 벼, 밭벼, 골풀
④ 내염성 : 사탕무, 목화, 수수, 유채
⑤ 내풍성 : 고구마, 포복형
「재배이용」면 (특수) 분류
1. 작부방식
① 중경작물 : 잡초 발생 경감
- 옥수수, 수수
② 휴한작물 : 땅을 묵히는 대신 재배하여 지력 유지
- 비트, 클로버, 알팔파
③ 윤작작물 : 윤작체계에 도입
- 중경작물, 휴한작물
④ 동반작물 : 다년생 초지의 초기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섞어서 덧뿌림
- 귀리, 보리
⑤ 보호작물
- 추운지방에서 가을밀, 봄밀을 같이 파종
- 봄밀이 먼저 자라 겨울에 동사하여 그 마른 잎이 가을밀을 덮어 추위로부터 보호
⑥ 대파 또는 대용작물 : 한발 또는 재해로 주작물의 수확 가망이 없을 때 대신 파종하여 수확
- 조, 메밀, 채소, 감자
⑦ 구황작물 : 흉년에 기근 경감, 대부분이 대파작물에 속함
- 조, 피, 기장, 메밀, 고구마, 감자
⑧ 흡비작물 : 뿌리가 깊어 유실될 비료분 포착, 흡수, 이용
- 알팔파, 스위트클로버, 화본과 목초
2. 토양보호
① 피복작물 : 잔근량이 많고 토양 전면을 덮음, 토양 침식 막음
- 화본과 목초류, 콩과 목초류
② 토양보호('내식성')작물 : 피복작물처럼 토양보호 효과가 큰 작물
③ 토양조성작물 : 토양을 보호하고 지력을 높임
- 콩과 목초류, 녹비작물
④ '수식성'작물 : 토양 침식 되기 쉬움
- 주로 키가 크고, 드문드문 자라고, 김메기를 깨끗이 해주어야 함
- 옥수수, 담배, 목화, 과수, 채소
3. 경영면
① 자급작물 : 농가 자급 목적
- 벼, 보리
② 환금작물 : 판매 목적
- 담배
③ 경제작물 : 환금작물 중 특히 수익성이 높음
- 담배, 아스파라거스, 아마, 속성채소
④ 전매작물 : 공공기업에서 전량 수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