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 * 일 *

생수 구분

수승화강지촌 2023. 2. 23. 13:58
728x90


‘먹는물 관리법’

생수를 먹는샘물과 혼합음료로 구분한다.



*_먹는샘물은 수원지에서 원수를 취수해 여과 과정만 거친 후 판매하는 물로 수원지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환경부에서 수원지와 생산 제품을 관리·감독한다.


*_혼합음료는 원수를 여과·정제한 후 미네랄 등을 넣어 제조되며 8개 항목 검사를 식품 의약품 안전처가 하고 있다.



♡먹는샘물과 혼합음료의 차이점


제품 확인
제품에 표기된 '품목'과 '원수원'을 살펴보는 방법
먹는샘물에는 '내츄럴' 미네랄이란 표현을 쓸 수 있다.

미네랄의 비율을 인위적으로 맞추기 어려운 먹는샘물은 자연 그대로의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면, 부족한 미네랄 성분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은 혼합음료의 강점이다.

또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먹는샘물은 제주 삼다수가 유일하다. 제주도는 화산암층 지하수인 화산암반수를 공공자원으로 보고 제주개발공사에만 취수 허가를 내주고 있다.

이 때문에 용암해수를 탈염해 미네랄을 배합, 시중에 유통하는 오리온 '제주용암수'와 코카콜라 '휘오 제주', 쿠팡 '제주 탐사수' 등은 먹는샘물이 아닌 혼합음료로 구분된다.

또 특정 성분을 강화한 ‘알칼리수’나 ‘수소수’ 등도 혼합음료다.

식음료 업계 관계자는 “먹는샘물보다 혼합음료의 질이 떨어진다는 인식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원수를 그대로 판매하느냐, 원수에 미네랄 등을 추가 배합하느냐의 차이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분기 기준 국내 먹는샘물 시장 점유율은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제주삼다수’(43.1%), 롯데칠성음료 ‘아이시스’(12.5%), 농심 ‘백산수’(7.4%), 해태음료 ‘강원평창수’(3.8%) 순이다.



728x90

'* 월 * 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을 열라,  (0) 2023.02.28
솔직이란 言語  (2) 2023.02.25
약ㆍ약ㆍ약  (1) 2023.02.23
愛 ㆍ語  (0) 2023.02.22
그냥 ~ 그냥  (0) 2023.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