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陽樹ᆢ陰樹》
보편적으로 음숭의 잎은 양수의 잎보다 더 짙은 녹색이다. 이유는 더 많은 빛을 흡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음수와 양수는 그늘 아래서 죽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저항성으로 판단한다.
즉 얼마나 내음성이 강한지가 기준이다.
내음성이 강한 나무를 음수라 한다면, 그 반대인 것을 양수라 한다.
*_양수는 응달에서 견딜 수 없는 나무이며, 음수는 응달에서 견딜 수 있는 나무이다..ㅣ
같은 나무에서도 그늘 쪽에 있는 잎과 햇빛 쪽에 잎은 약간 다른데, 이는 잎이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적응한 결과다.
*_대개의 1년생 식물이나 재배식물은 양지성이다.
하지만
다년생 수목들에게는 다양한 차이가 발생한다.
ᆢ생장을 위해 빛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극양수
ᆢ양수성과 음수성 중간 정도의 빛을 요구하는 나무들을 반음수ㆍ반양수 또는 중성수
ᆢ♡ᆢ
한 나무에 있는 잎들도 양옆과 음엽이 있다. 빛을 많이 받는 쪽에 있는 잎이 양옆이라면, 그렇지 못한 곳에 있는 잎은 음엽이다.
나무의 위쪽에서 아래로 내려올수록 양엽에서 음엽이 형성되며,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양엽보다 음엽이 더 많아진다. 음엽은 낮은 광도에서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양엽보다 더 넓고 얇은 것이 보편적이다.
양엽은 높은 광도에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적응한 잎으로 옆 면적은 작고, 두께는 두껍다.
강한 빛에 의해 증산요구가 높아지게 되자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잎의 표피가 두꺼워지고, 표피 위에 각피(cuticle) 층과 각피 위에 다시 지질성분인 왁스(wax) 층이 잎 표면 위세 생긴다.
빗물이 나뭇잎 위에서 구슬처럼 돌돌 말리는 현상은 나뭇잎 표면의 왁스 성분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