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엽은 상황판단,결정을 내리는 일,
*두정엽은 공간, 계산,정보의 연합을 맡는다.
*후두엽은 사물을 볼 수 있게 하고
*측두엽은 세상의 소리를 듣고 냄새를 맡는다
*변연계는 다양한 하위 부위로 이루어져 있으나 전체적으로 기쁨과 공포,사랑 등의 감정과 기억에 관여한디ㅡ.
*변연계 내부의 편도는 기쁨과 공포를,
*해마는 기억을
*시상하부는 잠, 식욕, 성욕등 호르몬 조절을 담당하고 있다.
웃음은 뇌간이다.
우리는 웃을 때 숨을 들이마시고 다시 내쉬는 동시에 성대를 사용하여 숨을 짧게 끊는다ㅡ거의 무의식적이고 자율적으로 발생하는데 운동신경에 명령을 내려 가로막(횡경막)과 갈비뼈의 근육을 움직여 웃게 만드는 부위가 뇌간이다.
우습다는 것을 파악하여 뇌간에 웃으라는 명령을 내리는 부위는 신피질이다. 변연계 역할도 중요하다. 특히 변연계에 속한 시상하부의 중심 부분은 조절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터져나오는 웃음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웃음에서의 좌우뇌의 기능
좌뇌는 농담을 받아들일 때, 즉 전제나 상식적 이야기로 시작되는 농담의 앞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뇌는 농담이 시작된 후 반전이 일어나는 부분, 상황을 창의적으로 해석하여 유머가 발현되는 지점에서 역할을 한다.
웃음의 논리가 처리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죄뇌와 우뇌가 지닌 특성을 보면,
좌뇌는 오른손, 오른발 등 우리 몸의 오른쪽 절반의 촉각적 감각을 받아들이고 움직임을 관장하는 반면,
우뇌는 우리 몸의 왼쪽 절반의 촉각적 감각을 수용하고, 움직임을 담당한다.
또한 좌뇌는 언어 구사 및 본질에 대한 합리적 분석ㆍ우뇌는 공간이나 사람 얼굴의 분석, 패턴에 대한 인식, 새롭게 떠오르는 통찰,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관련되어 있다.
죄뇌는 문맥과 상황의 분석적 파악
우뇌는 새롭게 탄생하는 의미를 깨닫게 하는 역할
ᆢ그러나 뇌 가소성을 들이데면 이야기는 바뀔 수 있다.
끝으로
좌뇌와 우뇌의 특성을 비유를 통해 덧붙이면,
좌반구는 항상 원래의 방법 고수하려는 보수적 관료(?)/ 우반구는 패러다임 전환을 강제하려는 진보적 개혁, 즉 좌반구는 작은ㅈ변화들에 대처하여 일관성을 부과하고 우반구는 새로운 상황에 통찰력을 발휘하여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죄뇌의 역할은 믿음 체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경험을 거기에 덧붙이는 것이다.
기존 믿음에 대치되는 상황을 맞이했을 때 좌뇌는 현 상황을 유지하기 위하 부정ㆍ억압ㆍ작화증ㆍ자기기만 등의 방어기제에 의존한다.
이에반해
우뇌는 비정상성이 발견되면 그것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총체적인 정합성을 모색한다. 비정상적 정보가 어느 정도 쌓여 임계점에 도달하면 우뇌는 전체 모형을 완전히 수정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 좌뇌와 우뇌의 긴밀한 협조는 뇌량에 의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