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누구부터 새싹을 틔울까?
묘하게도 이른 봄에 피는 봄꽃들은 흔히 이런 파릇파릇한 새싹들을 생략하고 나타납니다.
먼저 자손을 번식하기 위한 생식 활동입니다.
식물들은 거의 대부분 (소수의 포자 식물들을 제외하고는) 꽃을 자손 퍼뜨리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잎보다도 먼저 꽃을 피우는 나무나 풀들은 다소 성미가 급한 셈입니다. 자손 퍼뜨리는 일부터 하고 느긋하게 자신의 삶을 영위하려는 셈이니까요.
두 번째는 식물 자신들은 물론 지구의 모든 생명들을 먹여 살리는 영양분을 만드는 생산 활동입니다.
그 생산 활동의 주된 도구가 바로 잎이지요. 대부분 식물들의 잎을 초록색으로 보이게 하는 엽록소를 이용해서 뿌리에서 길어 올린 물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결합하여 포도당을 만들어 내는 광합성을 하는 거대한 생산 공장을 가동하는 셈이지요.
이렇게 생산된 포도당 등의 영양분은 식물 자신의 성장과 생존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초식동물을 먹여 살리고 그 다음으로 육식동물, 그리고 우리 사람과 같은 잡식동물들까지 먹여 살리는 기본 영양분이 되는 것은 물론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초록색 잎이 나는 것을 보고 우리 조상들이 ‘만물이 소생한다’라고 일컬은 것은 참으로 어울리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만물 엄혹한 겨울을 지나, 과연 누가 먼저 새싹을 틔울까에 관심을 가지고 주변을 살펴보았습니다.
필자가 내린 결론은 ‘태양 빛을 받기가 힘든 개체들부터 잎을 피우는 경향을 보인다’입니다.
즉, 땅바닥에 붙어서 생명 활동을 하는 풀부터 – 그것도 키 큰 풀들은 뒤에 잎을 내미는 경향 – 잎을 내밀기 시작하고, 키큰 나무들이 하늘을 가려 버려 풀들이 자라기 어려운 산에서는 키 작은 灌木(관목)들부터 잎을 내밀기 시작한다는 것이지요.
하늘 가장 가까이까지 자라는 키 큰 喬木(교목)들은 대부분 느긋하게 기다리다가 제법 봄이 무르익은 이후부터 잎을 내밀기 시작합니다.
이런 모습은 어쩌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는 선입관에서 벗어나는 순서인 셈입니다.
가장 튼튼해 보이는 키 큰 나무들이 추위를 더 잘 견딜 터이니 더 이른 봄부터 잎을 내밀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아직 추위가 덜 가셔서 새벽에는 서리가 내리는데도 여린 풀들이 그 추위를 뚫고 생명 활동을 시작하니까요.
– 특히 햇볕이 잘드는 양지바른 곳에서 – 쑥, 씀바귀, 냉이, 갈퀴덩굴 등이 새싹을 내민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관목들 중에서도 가장 여린 가지를 가진 조팝나무가 먼저 초록색 조그만 잎을 내민다.
조금만 잘 생각해 보면 키 작은 관목들이 자신의 체력이나 체격 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점을 무릅쓰고 일찍부터 생명 활동을 시작하는 이유는 매우 간단한 셈입니다.
가능한 한 일찍 잎을 펼쳐서 교목들이 하늘을 온통 가리기 전부터 햇볕을 조금이라도 더 받아서 광합성을 시작하고자 하는 몸부림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관목들이 잎을 펼치는 모습에 또 다른 중요한 특징 하나는 이들이 자신들이 클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에 다다르면 가지를 가능한 한 사방으로 마당에 깔아놓는 멍석처럼 펼쳐놓고 그 위에 잎들을 잔뜩 매단다는 것인데, 바로 이 특징도 교목들 사이로 간간이 비쳐오는 햇빛을 가능한 한 한 점이라도 더 받아서 광합성을 하려는 몸부림의 일환이라고 생각됩니다.
‘햇빛을 향한 몸부림’,
‘삶을 위한 치열한 경쟁’
이런 모습은 일견 평화로워 보이는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외의 생존경쟁 현상입니다.
그런데 예외 없는 법칙이 없다고 하듯이 이런 관목, 교목의 생명 활동 순서에서 벗어나는 교목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
묘하게도 이른 봄에 피는 봄꽃들은 흔히 이런 파릇파릇한 새싹들을 생략하고 나타납니다.
먼저 자손을 번식하기 위한 생식 활동입니다.
식물들은 거의 대부분 (소수의 포자 식물들을 제외하고는) 꽃을 자손 퍼뜨리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잎보다도 먼저 꽃을 피우는 나무나 풀들은 다소 성미가 급한 셈입니다. 자손 퍼뜨리는 일부터 하고 느긋하게 자신의 삶을 영위하려는 셈이니까요.
두 번째는 식물 자신들은 물론 지구의 모든 생명들을 먹여 살리는 영양분을 만드는 생산 활동입니다.
그 생산 활동의 주된 도구가 바로 잎이지요. 대부분 식물들의 잎을 초록색으로 보이게 하는 엽록소를 이용해서 뿌리에서 길어 올린 물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결합하여 포도당을 만들어 내는 광합성을 하는 거대한 생산 공장을 가동하는 셈이지요.
이렇게 생산된 포도당 등의 영양분은 식물 자신의 성장과 생존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초식동물을 먹여 살리고 그 다음으로 육식동물, 그리고 우리 사람과 같은 잡식동물들까지 먹여 살리는 기본 영양분이 되는 것은 물론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초록색 잎이 나는 것을 보고 우리 조상들이 ‘만물이 소생한다’라고 일컬은 것은 참으로 어울리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 만물 엄혹한 겨울을 지나, 과연 누가 먼저 새싹을 틔울까에 관심을 가지고 주변을 살펴보았습니다.
필자가 내린 결론은 ‘태양 빛을 받기가 힘든 개체들부터 잎을 피우는 경향을 보인다’입니다.
즉, 땅바닥에 붙어서 생명 활동을 하는 풀부터 – 그것도 키 큰 풀들은 뒤에 잎을 내미는 경향 – 잎을 내밀기 시작하고, 키큰 나무들이 하늘을 가려 버려 풀들이 자라기 어려운 산에서는 키 작은 灌木(관목)들부터 잎을 내밀기 시작한다는 것이지요.
하늘 가장 가까이까지 자라는 키 큰 喬木(교목)들은 대부분 느긋하게 기다리다가 제법 봄이 무르익은 이후부터 잎을 내밀기 시작합니다.
이런 모습은 어쩌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는 선입관에서 벗어나는 순서인 셈입니다.
가장 튼튼해 보이는 키 큰 나무들이 추위를 더 잘 견딜 터이니 더 이른 봄부터 잎을 내밀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아직 추위가 덜 가셔서 새벽에는 서리가 내리는데도 여린 풀들이 그 추위를 뚫고 생명 활동을 시작하니까요.
– 특히 햇볕이 잘드는 양지바른 곳에서 – 쑥, 씀바귀, 냉이, 갈퀴덩굴 등이 새싹을 내민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관목들 중에서도 가장 여린 가지를 가진 조팝나무가 먼저 초록색 조그만 잎을 내민다.
조금만 잘 생각해 보면 키 작은 관목들이 자신의 체력이나 체격 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점을 무릅쓰고 일찍부터 생명 활동을 시작하는 이유는 매우 간단한 셈입니다.
가능한 한 일찍 잎을 펼쳐서 교목들이 하늘을 온통 가리기 전부터 햇볕을 조금이라도 더 받아서 광합성을 시작하고자 하는 몸부림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관목들이 잎을 펼치는 모습에 또 다른 중요한 특징 하나는 이들이 자신들이 클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에 다다르면 가지를 가능한 한 사방으로 마당에 깔아놓는 멍석처럼 펼쳐놓고 그 위에 잎들을 잔뜩 매단다는 것인데, 바로 이 특징도 교목들 사이로 간간이 비쳐오는 햇빛을 가능한 한 한 점이라도 더 받아서 광합성을 하려는 몸부림의 일환이라고 생각됩니다.
‘햇빛을 향한 몸부림’,
‘삶을 위한 치열한 경쟁’
이런 모습은 일견 평화로워 보이는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외의 생존경쟁 현상입니다.
그런데 예외 없는 법칙이 없다고 하듯이 이런 관목, 교목의 생명 활동 순서에서 벗어나는 교목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