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ᆢ단일식물의 종류 ; 가을에 꽃피는 식물들은 대부분 단일식물이다. 국화, 벼, 콩, 담배, 코스모스, 나팔꽃 등의 많은 식물이 이에 속하는데,
품종에 따라 종종 단일성(短日性), 중일성(中日性), 장일성(長日性)으로 나누어지는 것도ㅡㅊ 있다.
봉선화, 병아리콩 등 단일 조건에서만 꽃피는 식물을 질적 단일식물(qualitative short-day plant)이라고 하며, 벼, 국화 등 낮이 짧아질 때 꽃 피는 것이 촉진되는 식물을 양적 단일식물 (quantitative short-day plant)라고 한다.
장일식물의 종류
무궁화, 애기장대, 시금치, 누에콩, 상추, 페튜니아 등과 같이 봄에 꽃피는 식물이 많으며 온대, 한대 등과 같이 위도가 높은 지방을 원산지로 하는 것이 많다.
일반적으로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쉽고, 장일조건에서 개화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저온에 노출될 필요가 있는 식물(밀, 보리, 당근 등)도 있다.
날씨가 흐리거나 하는 다른 요건으로 임계일장 혼자만으로 꽃피는 시기가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는 일장과 연계하여 꽃피는 시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냉이와 같은 장일식물의 경우 종자에서 발아한 식물이 그 해에는 꽃피지 않고 겨울이 지난 다음 해 이른 봄에 꽃이 핀다.
칼랑코에(Kalanchoe)는 단일 조건 후에 오는 장일에서만 꽃핀다. 반면 토끼풀처럼 일정 기간 장일 조건에서 자란 후 단일에서 꽃피는 식물도 있다.
장일식물 페튜니아. 꽃 피기 시작하면 계속 꽃을 피워 여름 내 꽃을 볼 수 있다. (출처: 한국식물학회, 안진흥)
광주기성(photoperiodism)
광주기성은 일광량이 얼마나 많은가에 따라 식물에 일어나는 생물학적 반응을 일컫는다.
광주기성은 1920년에 담배잎에 대한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이 실험은 식물이 빛이나 어둠에 매우 다른 변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처음에는 빛의 노출시간이 개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었지만 실제로 밝혀진 바로는 빛의 노출시간보다 밤의 길이가 중요하였다.
실험을 통해 밤의 길이의 차이가 식물의 개화시기를 결정하는 요인인 것을 확인하였다.
빛을 잠시 주어 밤을 교란시키면 단일식물의 경우 개화가 지연되나 장일식물의 경우 교란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낮과 밤의 길이를 측정하는 곳은 잎이다. 잎에서 이러한 기작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는 피토크롬(phytochrome)으로 알려져 있다. 피토크롬의 변화가 밤에 일어나면서 밤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품종에 따라 종종 단일성(短日性), 중일성(中日性), 장일성(長日性)으로 나누어지는 것도ㅡㅊ 있다.
봉선화, 병아리콩 등 단일 조건에서만 꽃피는 식물을 질적 단일식물(qualitative short-day plant)이라고 하며, 벼, 국화 등 낮이 짧아질 때 꽃 피는 것이 촉진되는 식물을 양적 단일식물 (quantitative short-day plant)라고 한다.
장일식물의 종류
무궁화, 애기장대, 시금치, 누에콩, 상추, 페튜니아 등과 같이 봄에 꽃피는 식물이 많으며 온대, 한대 등과 같이 위도가 높은 지방을 원산지로 하는 것이 많다.
일반적으로 온도의 영향을 받기 쉽고, 장일조건에서 개화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저온에 노출될 필요가 있는 식물(밀, 보리, 당근 등)도 있다.
날씨가 흐리거나 하는 다른 요건으로 임계일장 혼자만으로 꽃피는 시기가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는 일장과 연계하여 꽃피는 시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냉이와 같은 장일식물의 경우 종자에서 발아한 식물이 그 해에는 꽃피지 않고 겨울이 지난 다음 해 이른 봄에 꽃이 핀다.
칼랑코에(Kalanchoe)는 단일 조건 후에 오는 장일에서만 꽃핀다. 반면 토끼풀처럼 일정 기간 장일 조건에서 자란 후 단일에서 꽃피는 식물도 있다.
장일식물 페튜니아. 꽃 피기 시작하면 계속 꽃을 피워 여름 내 꽃을 볼 수 있다. (출처: 한국식물학회, 안진흥)
광주기성(photoperiodism)
광주기성은 일광량이 얼마나 많은가에 따라 식물에 일어나는 생물학적 반응을 일컫는다.
광주기성은 1920년에 담배잎에 대한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이 실험은 식물이 빛이나 어둠에 매우 다른 변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처음에는 빛의 노출시간이 개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었지만 실제로 밝혀진 바로는 빛의 노출시간보다 밤의 길이가 중요하였다.
실험을 통해 밤의 길이의 차이가 식물의 개화시기를 결정하는 요인인 것을 확인하였다.
빛을 잠시 주어 밤을 교란시키면 단일식물의 경우 개화가 지연되나 장일식물의 경우 교란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낮과 밤의 길이를 측정하는 곳은 잎이다. 잎에서 이러한 기작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는 피토크롬(phytochrome)으로 알려져 있다. 피토크롬의 변화가 밤에 일어나면서 밤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