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Nervous system
※ 말초신경계
PNS(Peripheral nervous system)라고 불린다. 중추 신경계를 제외한 모든 신경과 연관된 세포를 모조리 묶어서 말하는 명칭
.-. 따라서 뇌신경은 말초신경계에 속한다. 인체의 외부 자극을 감각수용기를 통해 받아들여 감각신경계를 통해 척수를 거쳐 뇌로 전달한다.
<구심성 신경과 원심성 신경>
.-.구심성 신경부(Afferent Division)는 감각을 수용하는 감각 뉴런으로 이루어져 있어 감각기관으로부터 자극을 받아들여 중추신경계로 연결하는 부분이고,
.-.원심성 신경부(Efferent Division)은 운동 뉴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추신경계로부터 정보를 근섬유나 내장기관으로 전달한다.
※ 자율신경계
의식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신체 내부 기관을 조절하는 신경계. 주로 싸움-회피(fight or flight, F-F) 반응을 기반으로 한다. 뇌의 시상하부를 중추로 소화, 순환, 심박, 배설 등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관여한다. 자율신경계는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로부터 반응기까지 하나의 뉴런으로 이어져 있는 체성신경계와 달리 중추신경계와 이어져 있는 신경절이라는 뉴런의 집합체로부터 나온다.
※ 교감신경계
신체적인 활동을 할 때 혹은 스트레스 상황이나 긴장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교감 신경계가 작용을 한다. 교감 신경계가 작용을 할 시 근육이나 뇌가 활성화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내장기관 중 소화 기관은 오히려 비활성화되기도 한다. 신경의 끝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며 PTSD 환자의 경우 체내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노르에피네프린이 나타난다.
※ 부교감신경계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활성화되는 신경계로서 주로 쉬거나 잠을 자거나 할 때 활성화된다. 빨라진 심장 박동수를 느리게 하는데, 너무 과도하게 작용하면 미주신경성 실신을 일으킬 수 있다. 심장 박동수 및 혈압을 떨어뜨려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기 때문.
※ 체성신경계
외부에서 들어오는 감각을 중추신경계통으로 올려보내거나, 아니면 중추신경 계통으로부터 전달 받은 것을 몸의 말단 운동기관으로 전달해 근육운동을 일으킨다. 말단에서 뇌로 감각 신호를 전달하는 쪽을 감각신경(혹은 구심성 신경), 뇌에서 말단으로 운동 신호를 전달하는 쪽을 운동신경(혹은 원심성 신경), 둘을 다 갖고 있는 것을 혼합신경이라고 한다.
※ 뇌신경
12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부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제1뇌신경 (후각신경, olfactory nerve): 감각신경으로 뇌신경 중 가장 길이가 짧다.
• 제2뇌신경 (시각신경, optic nerve): 감각신경으로 망막의 신경절 세포에서 시작한다.
• 제3뇌신경 (눈돌림신경, oculomotor nerve): 운동신경으로 상직근, 하직근, 하사근, 내직근과, 안검상거근을 지배한다.
• 제4뇌신경 (도르래신경, trochlear nerve): 운동신경으로 뇌신경 중에서 가장 작은 신경이다.
• 제5뇌신경 (삼차신경, trigeminal nerve): 얼굴 피부의 일반 체성감각, 얼굴 근육의 고유감각, 구강 점막, 비강 일부, 각막의 일반 체성감각과 저작운동을 담당하는혼합신경으로 뇌신경 중에서 가장 큰 신경이다. 3개의 큰 가지가 있으며, 각각 눈신경(opthalmic nerve,
위턱신경(maxillary nerve,
아래턱신경(mandibular nerve,)이다.
• 제6뇌신경 (갓돌림신경, abducens nerve): 교와 연수 사이에서 안구의 외전근(외직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으로 안구 운동에 관여하는 뇌신경 중에서 경로가 가장 길고 손상받기 쉬운 신경이다.
• 제7뇌신경 (얼굴신경, facial nerve): 얼굴의 근육 움직임을 조절하고 맛을 느끼는 혼합신경으로, 이마를 찡그리거나 주름을 지을 때 사용하는 근육을 통제한다. 부가적으로 혀 앞 쪽의 미각과 침 분비도 담당한다.
• 제8뇌신경 (속귀신경, vestibulocochlear nerve): 몸의 균형감각과 청각을 담당하는 내이의 감각신경이다.
• 제9뇌신경 (혀인두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목 안쪽의 일반 감각과 혀 뒤 쪽의 미각, 자율신경반사등에 관여하는 혼합신경이다.
• 제10뇌신경 (미주신경, vagus nerve): 인후두와 내부 장기 근육의 운동, 내장기관들의 자율신경 반사와 내장의 운동을 조절하는 혼합신경이다.
• 제11뇌신경 (더부신경, accessory nerve): 목과 상부의 등 근육을 조절하는 운동신경이다.
• 제12뇌신경 (혀밑신경, hypoglossal nerve): 혀 운동과 모양을 조절하는 운동신경이다.
※ 척수신경
척추(경추, 흉추, 요추, 천추, 미추) 사이의 틈새를 통해 척수와 연결되어 있으며, 31쌍이 존재한다.
• 목신경(경신경): C1~C8까지 8쌍
• 가슴신경(흉신경): T1~T12까지 12쌍
• 허리신경(요신경): L1~L5까지 5쌍
• 엉치신경(천골신경): S1~S5까지 5쌍
• 꼬리신경(미골신경): Co1 1쌍
• 커넥톰.-. 신경계의 신경망의 연결 전체를 나타낸 지도를 커넥톰(connectome)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