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自然과의 窓

식물의 물질 종류

수승화강지촌 2021. 3. 25. 21:27
728x90
식물의 물질 종류


#카로티노이드 carotinoid
모든 살아 있는 동식물에 보편적으로 분포하는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무질소성 색소이다
탄화수소 계열인 카로틴과 산소를 함유(히드록시기)하는 크산토필의 2가지 주요형태가 있다.

세균, 곰팡이, 조류, 녹색식물에 의해 합성되는 카로티노이드는 꽃피는식물의 꽃잎, 꽃가루, 열매(예를 들면 당근, 토마토,귤) 등에서 잘 볼 수 있는데, 낙엽수와 관목의 가을철 잎에서도 볼 수 있다.

녹색식물의 잎에서 카로티노이드는 빛 에너지를 흡수해 가장 중요한 광합성 색소인 엽록소에 전달함으로써, 광합성에서 부수적 역할을 수행한다. 원생동물 및 그밖의 동물들도 음식물 섭취를 통해 카로티노이드를 지니고 있다.

비타민 A는 동물이 카로틴을 섭취해 만드는 물질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카로티노이드는 동물의 생물학적 채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크산토필 xanthophyll
ㅡ은행잎을 노랗게 물들이는 색소 이름은
무엇인가요?

식물의 잎이 노랗게 물드는 이유는
크산토필이라는 색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크산토필은 식물의 잎사귀, 꽃, 과실 등의 녹색부에 엽록소(chlorophyll), 카로틴(carotene)과 같이 존재하는 카로티노이드계의 색소로 노란색을 나타냅니다.
보통은 엽록소가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식물의 잎은 녹색을 띄고 있지만 가을이 되면 평균 기온이 떨어지고 낮과 밤의 기온차가 커져 기후가 건조해지기 때문에 식물의 잎부분이 수분 부족현상을 일어키게 됩니다.

이러한 수분 부족현상이 지속되면 잎이 광합성을 하지 못해 엽록소의 파괴가 많아져 녹색이 줄어들게 되어 잎에 숨어있던 황색 또는 주황색 색소인 크산토필과 카로틴이 드러나 잎이 노란색이나 주황색을 띄게 되는 것입니다.

#안토시아닌 anthocyanin
식물 속에 들어 있는 색소 성분. 주로 빨간색과 보라색으로 나타나며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 내에 있는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노화 방지, 시력 보호, 당뇨 치료, 소염 작용, 중금속 배출 등의 효과가 있으며, 포도, 가지, 자색 고구마와 함께 아로니아 등 베리류 열매에 많이 들어 있다.

주로 식물의 열매나 꽃에 들어있는 색소로, 체내에 존재하는 활성산소를 없애는 항산화효과로 잘 알려진 물질. 수소 이온 농도에 따라 빨간색, 보라색, 파란색 등의 색을 띈다. 식물의 꽃, 줄기, 잎, 뿌리, 열매 등에서 생성되는 수용성 성분으로, 냄새와 맛은 거의 없다. 동물 세포뿐 아니라 식물 세포 안에서도 활성산소를 없애는 항산화제 작용을 한다.

가을 단풍이 붉은 색으로 바뀌는 것도 안토시아닌 성분 때문이다. 식물의 잎에는 엽록소와 함께 노란색을 띄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가 존재하고 있다. 가을이 되면 엽록소는 분해되어 사라지고 노란색이 드러나면서 잎이 노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단풍나무의 경우, 광합성으로 만들어져 잎에 보존되고 있던 당류가 효소작용으로 안토시아닌 색소를 만들어 내서 빨간색으로 바뀐다. 이 경우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와 함께 나타나면 주황색이 되며, 효소 작용이 계속되면 안토시아닌 색소가 더 많아지면서 빨간색이 진해지는 것이다.

안토시아닌은 특히 건강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첫째 인체 안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세포의 노화를 막고 기억 손실을 방지하며, 둘째 안구 망막에 있는 로돕신이라는 색소체의 합성을 촉진하여 시력을 보호하고, 셋째 인슐린의 생성을 도와 당뇨 치료에 도움이 되며, 넷째 강력한 소염, 살균 작용을 하고, 다섯째 납과 수은 등 인체 내 중금속을 배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베리류와 함께, 포도, 가지, 자색양파 등 주로 보라색을 띄는 식품에 들어 있다.

#카로틴 carotene
동물의 간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된다. 이 색소들은 이중결합·삼중결합이 많아 불포화도가 매우 높은 탄화수소로, 이소프레노이드 계열에 속한다. 같은 화학식을 가지나 분자구조가 다른 몇 가지 이성질체들을 포함한다. 식물에서는 민들레·천수국 등의 꽃, 호박·살구 등의 열매, 당근·고구마 등의 뿌리에 함유되어 노란색·오렌지색·빨간색을 띠게 한다. 동물에서는 버터와 같은 지방질, 계란의 노른자, 카나리아의 깃털, 바다가재류의 껍질 등에서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프로비타민 A는 β-카로틴으로, 1831년 처음으로 당근에서 추출되었다. 여러 과학자에 의해 1931년 마침내 그 구조가 밝혀졌고, 1950년에는 인공적인 합성이 가능해졌다
#탄닌 tannin
[화학] 차, 오배자(五倍子), 몰식자(沒食子), 떡갈나무 따위의 식물에 들어 있는, 떫은맛의 주성분이 되는 유기 화합물. 떫은감, 밤의 속껍질, 차 등을 물에 담그거나 물에 녹여서 얻는다. 가죽을 부드럽게 하거나 푸른 잉크를 만드는 데 쓰이며, 그 밖에 염색 때 쓰이는 매염제를 만드는 데나 의약의 원료로도 쓰인다

[요점정리]
ㅡ카로티노이드 carotinoid
토마토나 당근 감 등의 식물류나 초식동물에 분 포되어 있는 카로틴과 유사한 색소를 통틀어 이 르는 말(황색 계열)

ㅡ크산토필 xanthophyll
엽록체 속에 엽록소와 함께 존재하는 황색(노란색)
색소
ㅡ안토시안 anthocyan
식물의 꽃이나 잎 열매 따위에 나타내는 색소
(붉은색 계열)
ㅡ탄닌 tannin
차, 오배자, 떡갈나무 따위의 식물에 들어 있는
떫은 맛의 주성분이 되는 유기 화합물(갈색 낙엽)ㅡ카로틴 carotene
식물과 동물의 색소로 널리 분포하는 여러가지
유기 화합물(주황색 계열)
728x90

'水昇火降支村 > 自然과의 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암나무 재배  (0) 2021.03.26
숲과 절기  (0) 2021.03.25
겨우살이  (0) 2021.03.25
옻나무  (0) 2021.03.25
소ㆍ전ㆍ잣  (0) 2021.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