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

핵산

수승화강지촌 2021. 7. 18. 17:39
728x90
핵산 식사법



생물체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인간의 경우, 약 60조개의 세포가 120~200일을 주기로 재생된다. 이러한 세포 재생은 하나의 세포가 두개로 나뉘는 세포분열로 이루어진다. 세포
분열시 먼저 중심 기관인 핵이 두개로 나뉘어 지는데, 이때 핵 내에서 산성을 띠는 물질인 핵산이 있다.

이 핵산은 DNA와 RNA로 나눌 수 있다. 인체는 여러 단백질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은 근육을, 머리카락은 머리카락을 만들기 위해서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

또, 생체 내에서 음식물을 에너지로 바꾸기 위해서 다양한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때 필요한 물질
이 효소 등이다.이 효소 물질 역시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화학 반응은 유전 정보에 기인한다.
이러한 유전 정보를 주관하는 것이 DNA이다. 즉 근육 등을 구성하거나 효소의 근원이 되는 단백질의
설계도가 바로 DNA이다. DNA는 뉴클레오티드라는 물질이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데, 그 사슬은 두
줄기의 나선형으로 되어 있다.

뉴클레오티디는 인산, 오탄당, 염기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염기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시토신(C)의 네 종류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아데닌은 티민과, 구아닌은 시토신하고만 결합하는데,
이러한 결합은 아메바나 박테리아 등 단세포 생물에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생명 현상이다. 그러나 ATGC의 배열방법이나 문자수는 생물의 종류에 따라
개체에 따라 다르며 매우 다양하다.
인간의 경우 이 배열의 차이로 피부색이나 체질 등의 차이를 나타낸다.

생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인간의 경우 20종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데 DNA의 정보를 RNA가
받아서 번역 등의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아미노산들이 만들어 진다. 이들 아미노산이 다양하게 결합
하여 약 10만 종류의 단백질을 만들어 내고, 각 단백질들의 역할을 통하여 생체를 유지하는 것이다.




음식물의 인체 내 소화는 크게 섭취, 분해(기계적, 효소적), 흡수, 이용으로 나눠진다.

핵산도 일반 음식물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소화 흡수된다. 섭취된 핵산은 소장을 거치면서 뉴클레아제
(DNase)라는 효소에 의해 핵산의 기본 구성 물질인 염기, 인, 오탄당으로 분해 된다.
분해 된 염기, 인, 오탄당은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액 중 적혈구에 의해 온 몸으로 운반되어 세포까지
이동하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핵산이 음식물로 섭취되어 곧바로 세포로 이동하여 DNA, RNA 합성에 사용되는 과정을 재생
경로라 할 수 있는 샐비지 합성(salvage pathway)이라 부른다.

샐비지 합성 이외에 또 하나의 인체 내 핵산 합성은 신생 경로라 할 수 있는 데누보 합성(de novo path way)이라고 하며, 데누보 합성은 간에서 이루어지는 핵산 합성법이다. 섭취된 단백질의 분해 산물인 아미노산을 간에서 받아들여 인체의 각 세포에서 사용될 핵산 염기를 합성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데누보 합성은 보통 20~23세를 기준으로 합성하는 양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아마도 인체의 노화가 20~23세를 전후로 진행되기 때문이 아닌가 학계에서는 연구되고
있으며, 이 때를 정점으로 DNA의 길이가 점차 짧아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생체는 핵산의 총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핵산 보급량이 적으면 데누보 합성이 증가하고, 핵산을 많이
섭취할 때에는 데누보 합성이 감소한다. 그러나 인간은 20세가 넘으면 간 기능이 쇠퇴하기 때문에, 데누보 합성력도 쇠퇴한다. 따라서 합성력이 감퇴한 만큼 핵산을 보급해 주지 않으면 체내에는 만성적으
로 DNA와 RNA가 부족하게 된다. 또 세포 자체도 노화되므로 신진대사도 나빠져회복능력이 약해진다.
이렇게 되면 점점 세포의 노화가 진전되어 노화와 질병이 촉진될 뿐이다.



또한 셀비지 합성이 늘어나게 되면 간에서는 데누보 합성을 통한 핵산 합성 양을 줄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해독, 에너지 대사 등 쉴 뜸 없이 활동하는 간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다.


핵산이란 세포중에 있는 고분자 화학물질로 유전에 관여하고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하
며 생명의 근원으로 세포분열, 성장에너지생산을 일체 관리한다. 주름살, 기미, 대머리등
신체의 노화현현상은 세포의 쇠약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으로 세포의 쇠약함을 막아 그
활동을 활발하게 하면 노쇠현상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세포를 만드는 주인공이
다름 아닌 핵산으로 정상적인 핵산은 자신과 똑같은 세포를 만들 수 있지만 성장기를 지나
기능이 저하된 핵산은 불완전한 복사품 세포 밖에 만들지 못하고 이 세포는 노화로 나타난
다. 핵산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20세를 넘기면서 체내의 핵산 합성능력이 급격히 쇠퇴하
여 핵산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변질된 핵산을 대신하는 신선한 핵산을 많이 섭
취하면 항상 활동이 왕성한 세포를 만들 수 있어 노화가 방지되고 노화를 방지하는 것이


곧 핵산 식사법의 골자로 하루 1.5g의 핵산을 섭취하라고 한다.


1. 정어리 - 통조림 1개에 1.6g의 핵산 함유 - 를 섭취하자.
2. 주 1회 연어를 섭취하자.
3. 주 1회 새우, 게, 대합, 굴, 오징어류를 섭취하자.
4. 주 1회 생선 - 고등어, 대구, 꽁치, 가자미, 넙치, 삼치, 참치, 방어 - 를 먹자.
5. 주 1회 간 - 소, 돼지, 닭 - 등 을 섭취하자.
6. 주 1∼2회 순무를 섭취하자.
7. 주 1∼2회 콩류를 섭취하자.
8. 아스파라거스, 상치, 시금치, 버섯, 칼리플라워 등을 자주 섭취하자.


핵산 식사를 하게되면 얼굴표정이 밝아지고 여드름이 치료되며 감기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지고, 호흡기능이 향상된다. 또 콜레스테롤이 저하되며 추위에 강해진다.
728x90

'水昇火降支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년초ㆍ파종시기  (0) 2021.08.09
오이를 좋아해요  (0) 2021.07.27
촌장의 명함  (0) 2021.07.17
초코렛 향기  (0) 2021.07.02
삽목 ㆍ접목ㆍ취목법  (0) 2021.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