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필자입장에서
외전근과 내전근 사이에서 떨림의 근원이 외전근에서 발생되었을 가능성을 규지해보면서 ᆢ그렇다면 내전근이 대신 움직이는 관성을 새롭게 갖춘다면 어떤 운동법칙이 생겨날 수 있을 가능성을 규지해 보기 위해
여기에 참고자료를 흔적으로...
.....;) -♡-
▣II 운동(運動)의 조절(調節)과 이상(理想)
◉ 불수의운동의 진단법
◆불수의운동은 주로 대뇌바닥핵의 장애로 일어난다.
● 떨림(Tremor)
◆길항근군이 비교적 규칙적이며, 진동성으로 번갈아 수축하는 것을 말한다.
•떨림은 안정시의 떨림, 운동시의 떨림으로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신체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명확해지는 것이 안정시의 떨림인데, pill-rollingtremor, 노인성 떨림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그리고 일정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가장 확실해지는 것이 운동시 떨림으로, 본태성 가족성 떨림, 중독성 떨림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또 한 마디로 떨림이라고 해도 떨림에는 진짜에서부터 가짜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일단 진짜 떨림은 정확한 규칙이 있고 길항근이 상호 수축하는 것이라고 기억해 두자.
(1) 안정시 떨림
① pill-rolling tremor
•환약을 둥글게 뭉치는 것과 같은 운동으로 안정시에 나타나며, Parkinson 증후군에 특징적이다.
•사지의 먼쪽에 현저하게 나타나며 수의운동시에 약간 호전된다.
•Parkinson 증후군의 떨림 중에서 나타나는 손가락의 증상이다.
▸(다리의 증상으로서는 tapping tremor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바닥을 치는 운동으로 나타난다).
★ 그림 2-20 : Pill-rolling tremor손가락을 서로 문지르는 듯한 느낌
② 노인성 떨림
•노인성으로 pill-rolling과 비슷하나 좀 더 섬세하며 안정시에 나타난다.
•수의운동으로 악화된다. 머리, 어깨가 함께 흔들린다.
(2) 운동시 떨림
① 본태성 가족성 떨림
•안정 시에는 나타나지 않고 사지를 일정한 위치로 유지하려 하면 나타나는 것이므로 긴장이나 수의운동 등으로 더욱 악화된다(운동시 떨림).
•Parkinson 증후군의 떨림 등에 비해 섬세하고, 빠르고, 유전성이며 대부분 양성(병적 의의가 적음)이다. 알코올이나 β-blocker(propranolol)의 복용으로 약간 회복된다.
② 중독성 떨림
•알코올 중독, 니코틴, 갑상샘기능항진증, 요독증 등으로 나타난다.
•손가락이나 손에 나타나는 운동시 떨림이다.
(3) 가성 떨림
① 소뇌떨림
•규칙적이지 않으므로 진정한 떨림이 아니다.
② 퍼덕떨림(flapping tremor)
●II.B.2.1.2 무정위운동(Athetosis)
◆무도병보다도 느리고 지속성으로 구불거리는 듯한 기묘한 불수의운동이다.
•굽힘-폄, 벌림-폄 등의 조합이 천천히 교대로 나타나며 수의운동으로 악화되고, 근육긴장이 항진된다.
•반대쪽 꼬리핵, 조가비핵, 창백핵의 장애에 기인한다. 문어가 춤을 추는 듯한 느낌이다.
★그림 2-21 : 무정위운동(Athetosis)손가락이 천천히 구불구불 움직인다
●II.B.2.1.3 근육긴장이상 Dystonia
◆신체가 천천히 뒤틀리는 듯한 불수의운동으로, 무정위운동(athetosis)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근육의 긴장 항진에 의해 발생한다.
•심인성 또는 줄무늬체, 특히 조가비핵의 장애에서 비롯된다.
●II.B.2.1.3 퍼덕떨림 Flapping tremor
◆간대성 근육경련(myoclonus)은 불수의적인 수축인데 이것은 근육을 수축시킨 상태로 유지했을 때 불수의적으로 수축이 멈춰버림으로써 발생한다(음성 myoclonus).
(1) Flapping tremor
•진짜 떨림이 아니다.
•어떤 위치를 유지하려고 하면 중력에 의해 내려가고, 그것을 들어 올리면 다시 내려가는 반복이 떨림처럼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고 팔을 펴서 앞으로 내밀고, 손목관절을 등쪽굽힘시키면 퍼덕거리며 떨리는 것 같은 모양이 된다.
•Wilson병, 무산소 뇌증, 간성 뇌증(간경변 → 간성혼수), CO2 narcosis 등에서 나타난다.
(2) Wing beating tremor
•새의 날개짓처럼 팔 전체를 상하로 흔드는 운동을 말한다.
•팔을 펴서 옆으로 들어 올려, 자세를 유지하려고 할 때 현저하게 나타난다.
•약간의 자극만으로도 유발되며 Wilson병에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II.B.2.1.4 경직(硬直, Rigidity)
◆소위 불수의운동은 아니지만, 같은 대뇌바닥핵 장애로 생긴다는 것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
[네이버 지식백과] 불수의운동의 진단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