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自然과의 窓

물을 주세요

수승화강지촌 2021. 4. 24. 09:36
728x90
동의보감 ᆢ 물



1. 정화수(井華水)

정화수는 이른 새벽에 우물의 물을 말합니다. 밤사이 땅속의 지하수와 하늘의 이슬이 만나 만들어 진 물입니다. 과거에 천지신명에게 빌 때 정화수를 떠놓고 빈 것은 하늘과 땅의 기운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고 이것은 사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은 없습니다. 눈, 코. 귀, 입 항문 등으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데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도 없애고 얼굴빛도 좋아지게 합니다.



2. 한천수(寒泉水)

좋은 우물물(好井水)을 말하며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이 없습니다.

소갈, 반위, 열성이질 등을 치료하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합니다. 새로 길어온 물은 맑고 아무것도 섞이지 않았기 때문에 여기에 약을 넣어서 사용했습니다. 찬 샘물은 입이 벌어지지 않은 조피열매에 중독된 것을 잘 풀며 목에 물고기 뼈가 걸린 것을 내려가게 합니다.



​ 3. 국화수(菊花水)

일명 국영수(麴英水)라고도 하고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습니다. 어지럼증, 풍증을 치료하는데 쇠약한 것을 보하고 얼굴빛이 좋아지게 합니다.



4. 납설수(臘雪水)

녹은 물을 말하며 성질은 차며[冷] 맛은 달고[甘] 독이 없습니다. 돌림열병[天行時氣], 온역, 술을 마신 뒤에 갑자기 열이 나는 것, 황달을 치료하는 데 여러 가지 독을 풀어줍니다.



5. 춘우수(春雨水)

음력 정월에 처음으로 내리는 빗물을 그릇에 받아서 거기에 약을 달여 먹으면 양기가 위로 오르게 됩니다. 청명에 내리는 빗물이나 곡우에 내리는 빗물은 맛이 단데 이 물로 술을 빚으면 술이 감빛이 나게 되고 맛도 대단히 좋다고 합니다.



6.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을 말합니다. 성질은 평(平)하며 맛이 달고[甘] 독이 없습니다. 몸을 가벼워지게 하며 배가 고프지 않게 합니다. 가을의 이슬은 걷어 들이고 숙살(肅殺)의 성질이 있기 때문에 문둥병, 옴, 버짐에 쓰거나 여러 가지 충을 죽이는 약을 개서 붙일 수 있습니다.



​ 7.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를 말하며 성질이 차고[密] 독이 없습니다. 술 때문에 생긴 열, 술을 마신 뒤의 여러 가지 열, 얼굴이 벌겋게 되는 것, 상한으로 코가 메는 것[傷寒鼻塞] 등에 사용됩니다.



8. 박(雹)

우박을 말하며 간장의 맛이 좋지 않아졌을 때 우박 1-2되를 받아서 장독에 넣으면 장맛이 전과 같이 된다고 합니다.



9. 하빙(夏氷)

여름철의 얼음을 말하며 성질은 대단히 차고[大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번열이 나는 것을 없어지게 합니다.



10.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을 말하며 성질은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눈이 밝아지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어린이의 열과 번갈증을 낫게 합니다.



11.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을 말하며 성질은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이것으로 헌데와 옴을 씻으면 흠집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리고 옷 때를 없애는 것이 잿물과 같습니다. 이것은 음력 5월에 내린 빗물을 말합니다.



12. 반천하수(半天河水)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습니다. 심병(心病)과 귀주(鬼?), 미친 병[狂邪]을 낫게 하는데 독한 사기와 귀정(鬼精)을 낳게 합니다. 그리고 정신이 얼떨떨하고 헛소리하는 증상도 낫게 합니다.



13. 옥유수(屋流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내린 물을 말합니다. 이 물로 미친개한테 물려서 생긴 상처를 씻으면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14. 모옥누수(茅屋漏水)

새미엉에서 흘러 내린 물을 의미하며 운모독(雲母毒)을 풀기 때문에 운모를 법제할 때에 사용합니다.



15. 옥정수(玉井水, )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을 말하며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습니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윤택해지고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16.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을 말하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짜며 독이 약간 있는데 이 물을 끓여서 목욕하면 풍으로 가려운 것[風瘙]과 옴[疥癬]이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17. 천리수(千里水)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앓고 난 뒤의 허약해진 것을 낫게 합니다. 1만여번 드리워서 약을 달이거나 헛것을 없애는 데 쓰면 효과가 있습니다.



18.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하며 곽란을 치료하는데 방광경으로 들어가서 분돈증(奔豚證)도 낫게 합니다. 이 물을 만드는 방법은 물을 1말 정도 큰 동이에 부은 다음 바가지로 그 물을 퍼올렸다가 쏟기를 반복하여 물 위에 구슬 같은 거품방울이 5-6천개 정도 생길 때까지 하여 떠서 쓴다. 이것을 일명 백로수(百勞水)라고도 합니다.



19. 역류수(逆流水)

도류수(倒流水)라고도 하는데 천천히 휘돌아 흐르는 물을 말합니다. 거슬러 흐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담음을 토하게 하는 약을 타서 사용합니다.



20. 순류수(順流水)

순하게 흐르는 물을 말하며 성질이 순하고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하초와 허리, 무릎의 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합니다.



​ 21. 급류수(急流水)

빨리 흐르는 여울물을 말하며 아래로 빨리 흐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약이나 정강이 아래에 생긴 풍증을 치료하는 약을 달이는 데 사용합니다.



22. 온천물[溫泉]

여러 가지 풍증으로 힘줄과 뼈마디에 통증이 있고 피부의 감각이 벗어지고 손발을 잘 쓰지 못하는 증세와 문둥병, 옴, 버짐이 있을 때 이 물에 목욕하면 효능이 있습니다.



23.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하며 민간에서는 초수(椒水)라고 합니다. 편두통 때나 등골이 싸늘한 때나 화가 속으로 몰리면서 오한이 나는 증상이 있을 때 이 물에 목욕하면 효능이 있습니다.



24. 장수(漿水)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달면서 시고[甘酸] 독은 없습니다. 갈증을 멎게 하고 곽란, 설사, 이질을 낫게 합니다. 그리고 답답해지는 증[煩]을 풀어주고 지나치게 졸리는 것을 막아줍니다.



​ 25. 지장수[地漿水]

누런 흙물을 말하며 성질은 차고[寒] 독은 없습니다. 중독되어 안타깝게 답답한 것[煩悶]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26. 요수(遼水)

산골에 고인 빗물을 말합니다. 중경(仲景)의 처방에 상한으로 생긴 황달을 치료하는 데는 마황연교탕을 쓰되 산골에 고인 빗물에 달여 먹어야 한다고 한 것은 그 맛이 슴슴하여[味薄] 습을 돕지 않기 때문입니다.

요수를 무근수(無根水)라고도 하는데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산골짜기에 새로 판 구덩이 속의 빗물을 말합니다.



27. 생숙탕(生熟湯)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을 말하며 맛은 짜고 독이 없습니다. 여기에 닦은 소금을 타서 마시면 음식에 체한 것과 독이 있는 음식을 먹어서 곽란이 되려고 하던 것도 토하고 효능이 있습니다.



28. 열탕(熱湯)

뜨겁게 끓인 물을 말하며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습니다. 주로 객오로 죽을 것같이 된 것과 곽란으로 쥐가 이는 데 사용합니다.



29. 마비탕(麻沸湯)

생삼을 삶은 물을 말하며 삼을 담갔던 즙은 주로 소갈증에 사용합니다. 냄새가 약하고 허열을 내리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30. 조사탕(繰絲湯)

누에고치를 삶은 물인데 독이 없습니다. 회충을 없애는 데 사용합니다. 그것은 고치를 삶은 물이 벌레를 죽이기 때문입니다. 또는 주로 소갈증이나 입이 마르는 데 사용합니다.



31. 증기수(甑氣水)

밥을 찌는 시루 뚜껑에 맺힌 물을 말합니다. 머리털을 자라나게 하기 때문에 이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길어지고 빽빽하게 나오며 검게 되고 윤기가 돈다. 아침마다 받아서 써야 합니다.



32. 동기상한(銅器上汗)

구리그릇 뚜껑에 맺힌 물을 말합니다. 구리그릇 뚜껑에 맺혔던 물이 떨어진 음식을 먹으면 악창(惡瘡)과 내저(內疽)에 효능이 있습니다.



​ 33. 취탕(炊湯)

묵은 숭늉을 말합니다. 하룻밤 묵은 것으로 얼굴을 씻으면 얼굴에 윤기가 없어지고 몸을 씻으면 버짐[癬]이 생길 수 있습니다.



​ 34. 육천기(六天氣)

이것을 마시면 배가 고프지 않고 오랫동안 살며 얼굴이 고와집니다. 난리를 만나 급하게 사람이 살지 않던 곳에 갔을 때에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을 쓰면 마치 남생이(龜)나 뱀이 공기를 마시기 때문에 죽지 않는 것과 같이 효능이 있습니다.


728x90

'水昇火降支村 > 自然과의 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목  (0) 2021.04.24
청산가리 들어있는 씨앗  (0) 2021.04.24
황토ㆍ지장수  (0) 2021.04.24
어지러워요  (0) 2021.04.17
배우려고 복사했는데 ㆍ좀 어렵다.  (0) 2021.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