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ᆢ<산림복합경영, 수목 번식기술>
식물의 번식은
종자로하는 유성번식과
식물체로 하는 무성 번식이 있으며
무성번식은 삽목, 접목, 조직배양, 분주, 분구, 취목 등이 있다.
삽목과 접목 실습
발근이 잘되는 나무는 노지묘상에 바로 삽목 상폭 1m 정도로 작업여건 고려하여 손이 닿을 수 있게
작업통로 40~50cm
멀칭 후 삽목
상처보호제와 발근촉진제 발라주면 좋다
접목 중 깎기접과 눈접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접목 방법>
명자나무 대목 우이금, 접수 미야비
① 대목조제
대목을 지상부에서 5cm정도 자르고 2~2.5cm 수직으로 깎아내린다.
목질부가 30%정도 붙어있게 잘라준다.
대목조제 시 껍질까지 깎아낸 경우에도 그대로 접목해준다.
껍질이 있어야 활착이 잘 되지만 없어도 된다.
② 접수조제
눈이 2~3개 붙어있도록 자른 후 눈의 위치를 고려하여 밑을 45°로 자른다.
대목과 접합하는 쪽을 2cm정도 수직으로 깎아낸다.
대목과 접수의 형성층끼리 접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③ 테이프 감기
접목용 테이프를 최대한 길게 늘여 사용해야 접착력이 생긴다.
밑에서 위로감아주고 접목 부위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관리한다.
④ 접수에 상처보호제를 발라준다.
물이 오른 대목에 물이 오르지 않은 접수를 접목하면 활착이 잘 된다.
<삽수 방법>
가지를 눈 2~3개가 붙어있도록 10cm 정도로 잘라준다.
위의 절단면은 눈이 붙은 마디 1~2cm 위에서 자른다.
잎은 2~3개 남기고 따주고 남은 잎도 조금만 남기고 잘라주어 수분증발을 최소화해준다. 잎을 남겨놔야 발근이 잘 된다.
상처보호제와 발근촉진제를 발라준다.
삽수 크기의 1/2~1/3 깊이로 꽂아준다.
삽목 후 기부 부근을 단단하게 눌러준다.
습도가 90% 이상이 되도록 화분을 비닐로 싼 후 비닐에 구멍을 뚫어준다.
ㆍᆢㆍ삽목법의 종류와 방법
삽목의 종류는 모양과 종류 및 삽목(꽂이) 방법에 따라서 명칭이 붙게 된다. 삽수의 종류로서 크게 구별하여 잎꽂이 가지꽂이 뿌리꽂이 과실꽂이의 네 가지 종류가 있다. 이것을 분류하면
(1) 삽수의 채취모양과 종류에 따라
(가) 잎 꽂이 - 잎을 꽂는 것
① 온잎 꽂이 - 전체 잎을 꽂는 것
② 조각잎 꽂이- 잎의 한 조각을 꽂는 것
(나) 가지 꽂이
① 휴면지 꽂이
② 외눈 꽂이
③ 짧은 가지 꽂이
④ 긴 가지꽂이
(다) 뿌리 꽂이
(라) 과실 꽂이
(2) 삽수의 조제형태에 따라
(가) 우삽
(나) 발뒷꿈치 꽂이
(다) 당목 꽂이
(3) 삽식 방법에 따라
(가) 비스듬히 꽂이 - 옆으로 경사를 가지게 하는 방법
(나) 바로 꽂이 - 똑바로 수직으로 꽂는 방법
(다) 휘어 꽂이 - 활모양으로 휘어잡아서 꽂는 방법
(4) 삽수에 어떤 간단한 처리를 하여서 꽂는 방법에 따라
(가) 보통 꽂이
(나) 쪼개 꽂이 - 하부를 쪼개서 꽂는 방법
(다) 단자 꽂이 - 하부에 흙을 뭉쳐서 단자처럼 하여 꽂는 방법
삽목이 대량 생산에는 휴면지를 써서 긴 가지꽂이로 간삽하되 보통법을
이용한다. 위의 삽목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가) 잎꽂이
원예식물 중에서 잎꽂이를 하는 종류는 주로 초본 식물이며, 목본식물중에
서도 은행, 감귤, 청목 등은 잎꽂이가 가능하나 발근을 하여도 신초의 생장
이 불량하므로 실용성이 없다.
(나) 가지꽂이
가지꽂이 법에는 휴면지 꽂이와 푸른 가지꽂이가 있고, 휴면지 꽂이는 보
통 낙엽성 식물의 겨울 꽂이를 말한다. 푸른 가지꽂이와 휴면지 꽂이를 삽
수의 처리법에 따라 그 방법을 설명하면
① 외눈 꽂이
한 마디에 한 개의 눈만 붙이고, 길이는 4~5cm정
도를 사용하는 것인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온
실 포도, 온실용 초본 식물에 이용되며, 온실 또는
프레임 안에서 실시된다.
② 우삽
보통 이용되는 방법이며, 가지의 길이를 15~20cm 내외로 절단하여 노지 또는 상자에 꽂는다. 노지에서 꽂을 때는 편평한 이랑을 만들고, 넓이50cm의 간격에 얕은 이랑을 설치하여 10cm 간격으로 삽수의 반 정도가 묻힐 정도로 좀 눕혀 꽂고, 기부를 묻어서 삽수 상부의 눈이 겨우 보일 정도로 복토하여 준다.
우삽을 한 삽수의 발근을 쉽게 하기 위하여 기부를 양쪽으로 벌려 그사이
에 작은 돌은 끼워 두는 방법을 할삽 이라 하고, 또 기부를 진흙으로 단자
처럼 만들어 꽂는 것을 단자꽂이라고 하며, 이 두 방법을 발근이 곤란한 식
물에 이용된다. 또 꽂는 방법에 따라서 비스듬히 꽂이, 바로 꽂이, 휘어 꽂이 등의 방법이 있다.
③ 발뒷꿈치 꽂이
1년생 가지의 하단에 2년생 가지를 붙여서 꽂는 방법이고 특수한 식물에
이용되며 산수유 등에 이용된다.
④ 당목 꽂이
전자와 비슷하며, 2년생 가지를 양쪽에 당목 형으로 붙이는 방법이다. 원예 식물 중에는 감, 호도와 같이 뿌리로부터 새 가지가 쉽게 발생하는 것이 있으므로 기존 식물의 뿌리를 뽑아내어 이것을 적당히 잘라서 흙에 묻어 두었다
가 새로운 개체를 생기게 할 수 있다. 삽수에 제공되는 뿌리의 굵기는 1~2cm 정도가 적당하며, 15cm내외의 길이로 절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