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반사요법의 원리
① 반사 원리
인체는 어떠한 자극을 감지했을 때 이에 대해 반응을 하게 되는데 이를 반사라 한다.
특히 발바닥에는 인체의 각 기관과 상응된 반사신경이 밀집되어 있는데 이를 반사구(reflex zone)라 한다.
반사구는 온몸에 분포되어 있지만 특히 손과 발에 인체의 70% 정도의 말초신경이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우리가 피곤할 때 시원한 물에 발을 잘 주물러 씻게 되면 곧 피로가 사라지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말초신경 반사에 연유한다고 한다.
② 순환 원리
인체의 순환계는 온몸에 그물망처럼 퍼져 있는데, 가장 밑에 있는 발끝에서 다시 심장으로 혈액을 순환시키는 것은 힘든 일이다.
발은 심장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서 혈액순환이 가장 느리며 도한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혈액 중에 포함된 각종 노폐물들이 발바닥에 침전되기가 쉽다.
만약에 이 과정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말단 부위에 있는 세포에까지 산소와 영양소가 미치지 못하여 신체의 여러 부위에 영양결핍증이 일어나고 노폐물이 쌓이게 된다.
특히 발바닥의 수많은 모세혈관은 적혈구도 2~3개 정도 겨우 통과하는 매우 가느다란 혈관이기 때문에 이들의 흐름이 막히면 건강에 치명적인 해를 미친다.
설상가상으로 발바닥에 오염 물질이 쌓이게 된다면 말초에까지 신선한 혈액이 운반되지 않아 장기의 혈액순환에 장애가 되므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발건강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발반사요법은 뇌하수체(腦下垂體, pituitary gland), 신장(腎臟, kidney), 수뇨관(輸尿管, ureter) 및 방광(膀胱, bladder)을 필수적인 기본반사구로 하여 대사산물인 노폐물 배출을 촉진시켜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조직에 산소와 영양을 충분히 공급하여 인체 각 장기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주고 면역력을 강화시키며 생체의 기능이 유지되고 생명현상을 활발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한다.
🏅 발반사 후의 변화
① 대소변의 양이 많아지고 색이 진하며 냄새가 많아진다(노폐물 배설).
② 혈액순환이 좋아져서 정맥이 파랗게 드러날 수 있다.
③ 발의 정맥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혈액순환의 촉진에서 나타나는 좋은 현상).
④ 림프선의 반사구를 자극하면 인체의 면역기능이 활동을 강화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체온이 상승할 수 있다.
⑤ 두드러기가 생길 수 있다(독소를 배출하는 과정).
A. 소화기계(消化器系)
1. 간염 : 십이지장, 간장, 담낭, 흉추의 반사구 * 음식 주의
2. 간경변 : 십이지장, 간장, 담낭, 상.하반신임파선,흉부임 파선, 흉추의 반사구 *음식주의
3. 간부통 : 간장의 반사구* 음식 주의
4. 당뇨병 : 뇌하수체, 위, 십이지장, 췌장, 신장, 수뇨관, 방 광, 흉추의 반사구 * 음식주의
5. 담낭결석/담낭염 : 간장, 담낭, 신장, 수뇨관, 방광, 흉추 의 반사구
6. 변비 : 폐.기관지, 소화 계통 전부, 직장, 항문, 요추, 천골 의 반사구
7. 복막염 : 위, 십이지장, 췌장의 반사구
8. 설사 : 위,십이지장,소장, 상행.횡행하행 결장, 상.하.흉부 임파선, 요추, 천골의 반사구
9. 식도염 : 경부, 갑상선, 흉부 임파선, 목, 기관, 경추의 반사구
10. 소화불량 : 위, 십이지장, 췌장, 간장, 담낭의 반사구
11. 식욕 부진 : 부갑상선, 위, 십이지장, 소장, 상행.횡행하행결장, 췌장, 간장의 반사구
12. 식도 이물 : 경부, 목, 기관, 경추의 반사구
13. 십이지장궤양 : 위, 십이지장, 췌장, 간장, 흉추의 반사구
14. 신경성 소화기 계통 : 복강 신경총의 반사구 * 전신의 컨디션에 주의
15. 상복부 팽만 : 위, 십이지장의 반사구 * 음식에 주의
16. 위통 / 위염/ 위궤양 : 뇌하수체, 갑상선, 위, 경추의 반 사구 * 음식에 주의
17. 위하수 : 위, 소장, 상행.횡행하행결장, 직장, 횡경막, 흉추의 반사구
18. 위암 : 위, 십이지장, 소장, 상행. 횡행. 하행결장, 직장, 상.하.흉부임파선, 흉추의 반사구
19. 위산 과다증 : 위, 췌장, 간장, 복강 신경총, 흉추의 반사구
20. 음식물 중독 : 위,십이지장, 임파선의 반사구
21. 영양불량 : 위, 간장, 췌장, 담낭의 반사구 * 음식에 주의
22. 정서 불안정 / 만성 피로 : 경부, 부갑상선, 복강 신경총,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23. 직장암 : 위, 소장, 상행.횡행. 하행결장, 직장, 상.하.흉부 임파선, 요추, 천골의 반사구
24. 장염 : 위, 소장, 상행.횡행하행결장, 상.하.흉부 임파 선, 요추, 천골의 반사구
25. 충수염 : 소장, 맹장, 회맹변, 상.횡행하행결장, 요추, 천골의 반사구
26. 췌장염 : 위, 십이지장, 췌장, 상.하.흉부 임파선, 흉추의 반사구
27. 치질 : 신장, 수뇨관, 방광, 직장, 항문, 요추, 천골의 반사구* 음식에 주의
28. 하복부 팽만 : 위, 십이지장, 흉추의 반사구
29. 황달 : 십이지장, 간장, 담낭, 상.하.흉부 임파선, 흉추의 반사구 * 음식에 주의
B. 순환기계(循環器系)
1. 고혈압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신장, 수뇨 관, 방광, 경추, 흉추의 반사구
2. 빈혈 : 뇌하수체,갑상선,위,십이지장,소장,상행,횡행,하행 결장, 직장,비장,흉추의 반사구
3. 심장질환 :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소장, 심장, 흉추의 반사구
4. 신 기능 장애 : 신장, 수뇨관, 방광, 흉추, 요추의 반사구
5. 심장 기능 장애 : 위,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소장, 심장, 횡경막, 경추, 흉추의 반사구
6. 순환 장애 : 심장, 부신, 부갑상선,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 음식에 주의
7. 임파선종 : 상반신 임파선, 하반신 임파선, 흉부 임파선의 반사구
8. 정맥류 :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경추, 흉추, 요추의 반사구
9. 저혈압 : 신장, 수뇨관, 방광, 소장, 비장, 삼반규관, 흉추, 요추,천골,좌골신경의 반사구
10. 혈관 장애 :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11. 협심증 : 위,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경추, 심장, 소장의 반사구
12. 혈전 :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C. 호흡기계 (呼吸器系)
1. 기침(해소):코,비장,상반신.하반신.흉부임파선,편도선,목, 폐.기관지,임파선,부신,부갑상선의 반사구
2. 기관지염 : 부갑상선, 폐.기관지, 부신, 상반신,하반신.흉 부 임파선, 경추, 흉추의 반사구
3. 가래가 끓음 : 갑상선, 폐.기관지, 상반신,하반신.흉부 임 파선의 반사구
4. 부비강염 : 코, 임파선, 부갑상선의 반사구
5. 딸꾹질 : 횡경막, 경추의 반사구
6. 유행성 감기 : 상반신. 하반신흉부 임파선, 편도선, 비장, 코의 반사구
7. 재채기 : 코, 폐, 기관지,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선의 반 사구
8. 천식 : 부갑상선, 폐, 부신,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선, 흉추의 반사구
9. 폐렴 : 폐, 임파선, 부신, 부갑상선의 반사구
10. 호흡 곤란 : 폐, 기관지, 코, 머리, 뇌, 심장의 반사구 * 음식에 주의
11. 흉부 압박감 : 폐.기관지,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선, 횡경막, 견갑골의 반사구
D. 뇌, 신경계 (神經)
1. 뇌졸증/뇌경색/뇌출혈/뇌성마비 : 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경부,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경추의 반사구
2. 파킨슨병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경부, 부갑 상선,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3. 안면 신경 마비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삼차 신경, 경추의 반사구
4. 삼차 신경 마비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삼차 신경, 아래턱, 위턱, 경추의 반사구
5. 편두통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삼차신경, 경추의 반사구* 심리정서적 원인
6. 안면 경련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삼차신경, 경추의 반사구
**- 감각 기계(感覺 器系)
1. 근시,원시,난시,각막염 : 눈, 간장, 신장, 수뇨관, 방광, 경추 의 반사구
2. 안질 : 눈, 간장,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선, 경추의 반사구
3. 내사시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눈, 간장, 경 추의 반사구
4. 내이염 : 귀, 삼차신경, 임파선, 부신, 부갑상선의 반사구
5. 설안염 : 눈, 간장, 부신, 경추의 반사구
6.안근마비 : 전두동, 소뇌, 뇌간, 눈, 간장, 경추의 반사구
7. 차멀미 : 삼반규관, 경추, 흉추의 반사구
8. 만성 비염 : 코, 부갑상선, 폐.기관지,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선의 반사구
9. 구내염 : 위, 십이지장, 소장, 상행.횡행. 하행결장, 직장, 신장의 반사구 * 음식 주의
10. 입냄새 : 위, 십이지장, 소장, 상행. 횡행. 하행결장, 직장의 반사구 * 음식 주의
11. 중이염 : 귀, 임파선, 부갑상선의 반사구
12. 귀울림: 대뇌,전두동,소뇌,뇌간,뇌하수체,귀,신장,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선,삼반규관,경추의 반사구
13. 난청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귀, 상반신.하 반신.흉부 임파선, 경추의 반사구
14. 망막 박리 : 신장, 수뇨관, 방광, 눈, 임파선의 반사구
15. 인두염 : 삼차신경,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선, 편도선, 아래턱, 위턱, 목, 기관, 경추의 반사구
16. 코를 곪 : 삼차신경, 아래턱, 위턱, 경추의 반사구
17. 편도선염 : 상반신. 하반신흉부 임파선, 편도선의 반사구
18. 축농증 : 전두동, 임파선의 반사구
**-치아 구강의 질환
1. 악골염 : 위턱, 아래턱, 임파선, 삼차신경의 반사구
2. 치통 : 삼차신경, 신장, 수뇨관, 방광, 아래턱, 위턱, 경추의 반사구
3. 치조농루 : 삼차신경, 신장, 수뇨관, 방광, 아래턱, 위턱, 경 추의 반사구
**- 내분비계(內分泌系)
1. 갑상선 기능 항진 : 뇌하수체, 갑상선, 신장, 경추, 흉추의 반사구
2.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신 장, 수뇨관, 방광, 경추, 흉추의 반사구 부갑상선 기능 저하 증
3. 거인증 : 뇌하수체, 갑상선, 경추, 흉추의 반사구
4.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 뇌하수체, 갑상선, 부신, 신장의 반사구
5. 불면증 : 대뇌, 전두동, 소뇌, 뇌하수체, 간장, 경추의 반사 구 * 음식 주의
6. 비만증 : 갑상선,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 음식 주의
7. 소인증 : 뇌하수체, 갑상선, 경추, 흉추의 반사구
8. 성장 호르몬 분비 장애 : 뇌하수체의 반사구 * 컨디션에 주의
9. 안구 돌출을 동반하는 갑상선종 : 갑상선, 뇌하수체의 반 사구
10. 야윔증 : 뇌하수체, 갑상선, 위, 소장, 십이지장, 상행.횡행.하행결장, 간장의 반사구
11. 이상 발한 : 뇌하수체, 갑상선, 경추, 흉추의 반사구
12. 의식 불명 : 부신, 심장의 반사구
13. 호르몬 분비의 실조 : 뇌하수체의 반사구
14. 칼슘 결핍증 : 부갑상선의 반사구
**- 알레르기, 피부질환
1. 동상 / 살이 틈 : 위, 소장, 비장의 반사구 * 발 전체를 자극 할 것 * 영양 부족에 주의
2. 습진 / 피부염 : 간장, 복강 신경총, 부신, 신장의 반사구
3. 아토피성 피부염 : 부갑상선,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 음식 주의
4. 거친 피부 : 뇌하수체, 갑상선, 비장의 반사구
5. 검버섯/기미/주근깨 : 위,간장,신장의 반사구 * 자외선 주 의 * 수면부족, 과로에 주의
6. 무좀, 백선 : 신장, 수뇨관, 방광,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 선의 반사구 * 청결 주의
7. 조갑 백반증 : 갑상선, 폐.기관지, 상행.하행.횡행결장의 반사구
8. 화분증 : 뇌하수체, 부갑상선, 부신,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선, 편도선의 반사구
9. 여드름 :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간장, 담낭의 반사구 * 음식 주의
10. 탈모 : 생식선, 부신, 각 신진대사기관의 반사구 * 음식 주의
11. 습진 : 신장, 수뇨관, 방광, 부신의 반사구
12. 마른버짐 : 신장, 수뇨관, 방광, 부신, 부갑상선, 신진대사기관, 임파선의 반사구 13.대상 포진 : 신장, 수뇨관, 방광, 부신, 면역 계통의 반사 구, 부갑상선의 반사구 * 음식 주의
14. 피부 발진 : 신장, 수뇨관, 방광, 부신, 부갑상선, 신진대 사기관의 반사구 * 음식 주의
**-비뇨기, 생식기계(泌尿器,生殖器系)
1. 난소염, 난소 낭종 : 뇌하수체,갑상선,부갑상선,난소,상.하.흉부 임파선,요추,천골,좌골신경 반사구
2. 냉증 : 요추, 천골, 좌골신경의 반사구
3. 부종 : 신장, 수뇨관, 방광, 부신, 심장, 임파선의 반사구
4. 불임증 : 뇌하수체, 난소, 흉부, 자궁, 요추, 천골, 좌골신경 의 반사구
5. 불감증 : 뇌하수체, 생식선, 흉부, 자궁의 반사구
6. 방광염 : 신장, 수뇨관, 방광, 임파선의 반사구
7. 배뇨곤란 : 신장, 수뇨관, 방광, 기타 기능 쇠약기관을 자극
8. 수뇨관염 : 신장, 수뇨관, 방광, 임파선의 반사구
9. 신장 결석 :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 음식 주의
10. 야뇨증 : 신장, 수뇨관, 방광, 요추, 천골, 좌골신경의 반사구
11. 요실금 :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 자궁 돌출 현상이 있으면 자궁의 반사구도 자극
12. 자궁염,자궁내 출혈,자궁 근종 : 뇌하수체, 난소,상반신. 하반신. 흉부 임파선,요추,천골,좌골신경 반사구
13. 전립선증 : 신장, 수뇨관, 방광, 전립선의 반사구
14. 임포텐즈 : 고환의 반사구 * 컨디션에 주의
15. 정류 고환 : 고환, 뇌하수체와 복부의 반사구
16. 고환 충혈 : 고환, 임파선의 반사구
17. 생리 불순 : 난소, 하복부, 자궁의 반사구
18. 질분비 장애 : 음도, 자궁, 임파선의 반사구
**-근, 골격근 ( 筋, 骨格筋 )
1. 건초염 : 손과 상대응하는 발의 반사구
2. 관절염과 관절통 : 염증관절의 반사구, 부갑상선,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상반신,하반신, 흉부 임파선의 반사구 * 족 관절염 : 천골, 미골의 반사구
3. 갑자기 삐긋하여 생기는 요통 : 신장, 수뇨관, 방광, 고관절, 경추, 흉추, 요추, 천골, 미골의 반사구 ※ 허리 벨트를 사 용할 것
4. 골다공증, 골연화증 : 부갑상선,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 사구 * 음식 주의
5. 고관절염 : 위, 십이지장, 소장, 상행.횡행하행결장, 직장,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고관절의 반사구
6. 경추증 : 경부, 신장, 경추, 요추, 천골, 미골의 반사구
7. 견통 : 어깨, 고관절의 반사구, 직접 고관절을 주무른다. * 신발 주의
8. 경견완 증후군 : 척추, 신장, 수뇨관, 방광, 신진대사기관의 반사구
9. 경부통 : 목, 경추, 선추의 반사구
10. 골절 : 부갑상선, 관련있는 반사구
11. 경골, 비골의 통증 : 해당 부분과 발바닥의 전체를 주무른다. * 신발 주의
12. 등의 타박상 : 고관절, 경추, 흉추, 요추, 견갑골의 반사구
13. 두개골 골절 : 머리, 뇌, 부갑상선의 반사구
14. 다발성 관절염, 류머티즘: 부갑상선,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증상이 있는 관절의 반사구
15. 무릎 통증 : 무릎, 요추, 천골, 미골, 좌골신경의 반사구 * 상대응하는 손의 반사구
16. 목의 결림 통증 : 경부, 경추, 천골, 미골의 반사구
17. 미골통 : 선추, 내미골, 외미골의 반사구. 목이나 그 반사 구인 경부, 경추를 누른다.
18. 요통 : 부갑상선, 신장, 고관절, 요추, 천골, 미골의 반사 구
19. 연골 수상 : 무릎, 부갑상선의 반사구와 팔꿈치 관절을 누른다
20. 잠을 잘 못자서 생기는 통증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부갑상선, 경추의 반사구
21. 통풍 : 신장, 수뇨관, 방광의 반사구* 음식 주의
22. 변형성 관절염: 신장, 수뇨관, 방광, 무릎, 고관절, 천골, 미골의 반사구
23. 사십견, 오십견 : 경부, 어깨, 승모근, 고관절, 경추, 견갑 골의 반사구
24. 손의 저림 : 대뇌, 전두동, 소뇌, 뇌간, 뇌하수체, 어깨, 경추, 흉추, 견갑골, 주관절, 위팔의 반사구
25. 신경통 : 뇌하수체, 부갑상선, 경추, 흉추, 요추의 반사구
26. 어깨 결림 통증 : 경부, 어깨, 승모근, 고관절, 경추, 견갑 골의 반사구
27. 외반 모지 : 갑상선, 부갑상선, 상반신,하반신.흉부 임파 선의 반사구 * 신발 주의
28. 디스크(추간판 헤르니아) : 위, 십이지장, 소장, 상행.횡 행.하행결장, 직장, 간장, 담낭, 신장, 수뇨관, 방광, 경추, 흉 추, 요추, 천골, 미골의 반사구
29. 호르몬 분비의 실조 : 뇌하수체의 반사구
30. 척추 부상 : 척추의 반사구 * 컨디션에 주의
31. 척부통 : 척추의 반사구, 견갑골, 고관절의 반사구를 자 극한다.
32. 풍습성 관절염: 신장, 수뇨관, 방광, 부신외에 증세와 관 련된 기관의 반사구 * 음식 주의
33. 편타성 상해 : 경부, 승모근, 부갑상선, 경추의 반사구
**-저항체.... 면역계통
1. 과민증 : 부신, 신장, 수뇨관, 방광, 부갑상선의 반사구
2. 고초열(枯草熱)[화분증] : 신장, 수뇨관, 방광, 부신, 부갑 상선, 코, 폐.기관지의 반사구 * 벌꿀을 조금 마신다. * 가능하면 요양이 필요
3. 암 : 임파선과 증상이 있는 기관의 반사구. 발 전체를 주 무른다. * 음식 주의
4. 발열 : 임파선, 편도선, 비장의 반사구
5. 전염성 질환 : 신장, 수뇨관, 방광, 부신, 부갑상선, 임파선 의 반사구
6. 종양 : 통증 기관의 반사구와 임파선, 편도선, 비장의 반 사구
7. 농양 : 통증 부위와 임파선의 반사구
**-기타 질환
1. 열나는 발 : 상대응하는 손의 반사구
2. 각종 사고 : 즉시 관련 있는 반사구를 누른다. 발을 다쳤 을 때는 손을 주무른다.
3. 화상 : 관련있는 반사구와 임파선, 부신, 신장, 수뇨관, 방 광, 부갑상선의 반사구
4. 허탈감 : 즉시 심장, 부신의 반사구를 자극한다.
5. 혼수상태 : 심장, 부신의 반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