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識/인체의 비밀

림프계 ?

수승화강지촌 2024. 1. 4. 08:07
728x90


림프계와 림프의 기능

림프의 성분은 물, 염류, 지방, 단백질 등으로 되어 있고, 혈장과 유사하나 임파구가 많고 림프는 조직액이 맹관으로 시작되는 림프모세관에 스며들어간다. 림프 모세관에서는 투명한 액체이나 중심부에 갈수록 지방을 흡수하여 다소 혼탁해지며 많은 림프구를 함유하게 된다.림프도 응고작용이 있으나 혈소판이 없으므로 매우 느리게 응고한다.



림프가 누적되기 쉬운 곳

1. 두통
2. 알레르기
3. 축농증
4. 치통, 언어장애, 우울증
5. 어깨 관절염
5.13. 23. 호흡기 장애, 천식
6. 팔 기능장애
7. 테니스 엘보우
8. 손가락 힘 저하
9. 방광염, 복막염, 변비
10. 심장부전증
11. 유방 종양
12. 내장기능 장애
14.15.16. 고관절 통증
24. 허리 디스크
25. 허리 디스크


[ ● ] 림프가 누적된 부위는 손끝 감각으로 찾아 낼 수가 있다.

림프가 누적된 곳의 피부는 탄력성이 없고, 주변보다 온도가 낮다. 크기는 녹두콩 정도일 경우가 많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름, 물, 석회 종류가 누적된다.


림프는 주성분이 단백질로 되어 있고 외부에서 접근되는 이물질을 타격하는 면역세포도 보유하고 있다. 근육과 피부가 움직이는 속도와 힘에 의해서 날림막이 작동되므로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장소를 옮기면서 몸에서 흘러나간다.


림프가 한 곳에 누적되면 혈관과 신경관을 눌러서 혈액순환을 억제시키고 근육의 윤활적인 활동을 억제하게 된다.

건강한 사람은 림프관, 혈관, 신경관 이 3가지가 건강하게 유지되어야 몸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이 3가지는 분리되어 있고 일하는 성격도 다른 특이성을 가지고 있으나 서로 상호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고장나서 기능을 일어버리면 연쇄적으로 함께 기능상에 병을 유발시킨다.

728x90

'意識 > 인체의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의 명령순서  (0) 2024.01.04
술 & 소화기능  (0) 2024.01.04
발의 역할ㆍ옮겨온 글  (3) 2024.01.04
발가락의 power  (1) 2024.01.04
용수철  (1) 202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