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약에 대한 진실
어디에든 있는 잔류 농약
오늘날 마트에서 구할 수 있는 음식 대부분에는 잔류 농약이 조금씩은 들어있습니다.
과일과 채소는 물론이고 닭고기나 소고기에서도 잔류 농약이 검출되지요. 가축을 먹이는 사료에 농약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KBS에서 방영한 “친환경 유기농의 진실”이라는 탐사보도에 따르면 일부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에서도 잔류 농약이 검출된다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안전기준이라는 것을 마련하여 잔류농약의 양이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하게 막고 있지만, 백프로 안전하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어째서 농약이 쓰일까요?
농약은 병충해를 예방하는 한편, 사람에게 질병을 옮길 수 있는 곤충(모기나 진드기)이나 동물(쥐 등)을 방제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잡초를 제거하는데도 쓰이지요. 농약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제초제
‘벤조비사이클론’이나 외국의 ‘라운드업’과 같은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는 데 쓰입니다. 하지만 이런 제초제는 호르몬 불균형을 야기하거나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살충제
대부분의 살충제는 ‘유기인산’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의 살충제는 아이들의 정상적인 두뇌발달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농약은 암과 당뇨병 및 파킨슨병이나 치매를 유발하며 기형, 천식 등을 야기한다고 합니다.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농약에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어째서 유기농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될까?
우리나라는 유기농 인증제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국가 단위에서 유기농 인증제를 시행하는 나라가 69개국인데, 이 중 유기농업 토양에 잔류농약 허용기준을 마련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무농약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지요. 그러나 이렇게 까다롭게 관리해도 일부 유기농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농부가 농약을 쓰지 않아도 인근 농가에서 쓰는 농약이 날아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증 기준 자체는 깐깐하지만, 인증 과정의 관리가 허술해서 몇몇 민간 인증업체가 시료 채취나 성분 검사도 하지 않고 인증을 해주어서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2017년에 있었던 “살충제 계란” 사건이 있지요.
잔류 농약이 많이 검출되는 농산물
주로 껍질 없이 먹거나 껍질이 얇은 농산물은 꼼꼼히 씻거나, 유기농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농산물을 사실 때는 주의하세요.
1. 건포도
2. 딸기
3. 시금치
4. 케일
5. 넥타린 (승도 복숭아)
6. 사과
7. 포도
8. 복숭아
9. 체리
10. 배
11. 토마토
12. 셀러리
잔류 농약이 적은 농산물
주로 껍질이 두껍거나 여러 겹으로 된 농산물은 잔류농약이 적습니다. 선천적으로 병충해에 강하기에 농약을 적게 쓰는 농산물도 있지요. 이런 농산물은 유기농으로 사지 않으셔도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1. 아보카도
2. 옥수수
3. 파인애플
4. 양배추
5. 양파
6. 브로콜리
7. 가지
8. 멜론
9. 키위
10. 버섯
결론
농약은 필요악입니다. 마트에서 구할 수 있는 대부분의 농산물에는 잔류농약이 있지요.
그러나 임신부나 아이들은 잔류 농약의 위험성에 취약하기 때문에 되도록 유기농 농법으로 재배된 야채나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잔류 농약이 많이 검출되는 얇은 껍질의 과일이나 야채는 주의해야
어디에든 있는 잔류 농약
오늘날 마트에서 구할 수 있는 음식 대부분에는 잔류 농약이 조금씩은 들어있습니다.
과일과 채소는 물론이고 닭고기나 소고기에서도 잔류 농약이 검출되지요. 가축을 먹이는 사료에 농약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KBS에서 방영한 “친환경 유기농의 진실”이라는 탐사보도에 따르면 일부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에서도 잔류 농약이 검출된다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안전기준이라는 것을 마련하여 잔류농약의 양이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하게 막고 있지만, 백프로 안전하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어째서 농약이 쓰일까요?
농약은 병충해를 예방하는 한편, 사람에게 질병을 옮길 수 있는 곤충(모기나 진드기)이나 동물(쥐 등)을 방제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잡초를 제거하는데도 쓰이지요. 농약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제초제
‘벤조비사이클론’이나 외국의 ‘라운드업’과 같은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는 데 쓰입니다. 하지만 이런 제초제는 호르몬 불균형을 야기하거나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살충제
대부분의 살충제는 ‘유기인산’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의 살충제는 아이들의 정상적인 두뇌발달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농약은 암과 당뇨병 및 파킨슨병이나 치매를 유발하며 기형, 천식 등을 야기한다고 합니다.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농약에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어째서 유기농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될까?
우리나라는 유기농 인증제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국가 단위에서 유기농 인증제를 시행하는 나라가 69개국인데, 이 중 유기농업 토양에 잔류농약 허용기준을 마련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합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무농약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지요. 그러나 이렇게 까다롭게 관리해도 일부 유기농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농부가 농약을 쓰지 않아도 인근 농가에서 쓰는 농약이 날아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증 기준 자체는 깐깐하지만, 인증 과정의 관리가 허술해서 몇몇 민간 인증업체가 시료 채취나 성분 검사도 하지 않고 인증을 해주어서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2017년에 있었던 “살충제 계란” 사건이 있지요.
잔류 농약이 많이 검출되는 농산물
주로 껍질 없이 먹거나 껍질이 얇은 농산물은 꼼꼼히 씻거나, 유기농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농산물을 사실 때는 주의하세요.
1. 건포도
2. 딸기
3. 시금치
4. 케일
5. 넥타린 (승도 복숭아)
6. 사과
7. 포도
8. 복숭아
9. 체리
10. 배
11. 토마토
12. 셀러리
잔류 농약이 적은 농산물
주로 껍질이 두껍거나 여러 겹으로 된 농산물은 잔류농약이 적습니다. 선천적으로 병충해에 강하기에 농약을 적게 쓰는 농산물도 있지요. 이런 농산물은 유기농으로 사지 않으셔도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1. 아보카도
2. 옥수수
3. 파인애플
4. 양배추
5. 양파
6. 브로콜리
7. 가지
8. 멜론
9. 키위
10. 버섯
결론
농약은 필요악입니다. 마트에서 구할 수 있는 대부분의 농산물에는 잔류농약이 있지요.
그러나 임신부나 아이들은 잔류 농약의 위험성에 취약하기 때문에 되도록 유기농 농법으로 재배된 야채나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잔류 농약이 많이 검출되는 얇은 껍질의 과일이나 야채는 주의해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