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自然과의 窓 309

꽃나무

3월에 산수유, 매화나무, 풍년화, 희어리나무 등이며 이 뒤를 이어 벚나무, 목련, 진달래, 개나리, 철쭉 등이 또한 벗나무도 관목수준이 아닌 교목이므로 낮게 여름에는 산딸나무, 나무수국 등이 좋으며 산나무의 열매로 새들의 먹이로 새를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가을은 역시 잎의 열매 등이 주된 관상 포인트인데, 적합한 수종으로는 화살나무, 작살나무, 산딸나무, 복자기 등이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구상나무가 가장 아름답게 보이더군요! ♠ 수형이 아름다운 나무: 주목, 반송, 섬잣나무, ♠ 그늘이 많이 생기는 나무: 벚나무, 팽나무 ♠ 꽃이 아름다운 나무: 산딸나무, 벚나무류, 자귀나무, 귀룽나무, 마가목, 배롱나무, 해당화, 노각나무, 백당나무, 수국류, 명자나무, 매죽나무, 황근꽃나무, 꽃말발도리 ♠ ..

정원 ㆍ나무

봄을 알리는 정원수는 3월에 꽃망울을 터트리는 산수유, 매화나무, 풍년화, 희어리나무 등이며 이 뒤를 이어 벚나무, 목련, 진달래, 개나리, 철쭉 등이 있겠지만, 개나리는 절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이 개나리가 퍼져나가기 시작하면 감당 못합니다. 또한 벗나무도 관목수준이 아닌 교목이므로 낮게 여름에는 산딸나무, 나무수국 등이 좋으며 산나무의 열매로 새들의 먹이로 새를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가을은 역시 잎의 열매 등이 주된 관상 포인트인데, 적합한 수종으로는 단풍나무, 화살나무, 작살나무, 느티나무, 산딸나무, 복자기 등이 있습니다. 겨울에 대부분의 낙엽성 관목류들은 잎이 다 떨어져 앙상한 가지만 남아 있기 때문에 상록성인 구상나무, 소나무, 주목 향나무류 등이 좋은데, 향나무는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

뒤곁과 앞 마당

양택론 주택 뒤에 사계절 푸른 나무를 심고 앞마당을 황토로 조성하면 앞뒤의 기운이 자연스럽게 순환하면서 생기(生氣)로 변한다. 그러니 여름에는 집 뒤 나무에서 나오는 시원한 기운은 아래로 내려오고 집 앞의 뜨거운 기운은 위로 올라가 자연스럽게 순환하면서 자연풍을 만들어 시원하고, 겨울에는 황토에서 나오는 복사열이 감싸고 순환하여 따뜻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침대

침대방향은 햇살이 잘 드는 침대에 햇빛이 만이 들어오게 침대방향이 피해야 할 것이라면 문을 열었을때 침대가 정문에서 보이는 것 좋지 않고 머리가 문을 향하는 것도 피하는게 좋다. 거울이 침대를 비추는게 아닌 문을 비추는 것은 풍수지리적으로 좋다. . 또한 모서리 방향으로 침대 헤드가 향하는 것은 기가 빠져나간다고 합니다. 따라서 벽에 바로 붙이기 보다는 살짝 띄우는 것도 좋다. 일단 현관은 복이 들어오는 자리이기 때문에 항상 깨끗하고 정리가 잘되어 있어야 합니다. 현관에 종을 달아두면 심리적인 안정감과 금전운이 들어온다고 해요. 주방에 창문이 있으면 좋고 이 곳에 화분이 있으면 좋다.

집ㆍ방향별 구분

집 동서남북 방향별 장단점! ​ **** 동향 동향은 남향 다음으로 선호하는 방향입니다. ​ 장점 : 해뜨는 방향이라 해가 일찍 비추고 해빛이 들어오는 시간은 길지 않습니다. 아침잠이 많은 분들에게는 해가 일찍 들어와서 장점이 될 수 있겠습니다. 여름 오후에는 시원한 장점이 있습니다. ​ 단점 : 해가 빨리 져서 난방비가 많이 들수 있습니다. ​동향집에 사는 분들이 성공한다는 말이 있더라구요. 그만큼 해가 일찍 비추니 남들보다 일찍 일어나 활동하기에 성공률이 높아서 그런말이 나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 **** 서향 해가 지는 방향이라 오후 늦게까지 해가 들어오는 서향 ​ 장점 : 동향과 반대로 해가 종일 들어와 집의 온도가 높은편 입니다. 겨울에는 난방비 절감에 효과적입니다. ​ 단점 : 해가 오래..

양파 ㆍ상비약

1. 감기 일단, 고전적인 것부터 시작하자. 그다지 복잡한 효능은 아니다. 혹시 감기나 독감에 걸렸다면, 끓는 물에 양파 몇 조각을 넣은 후, 잠시 우려내자. 이렇게 만든 양파차가 사실 맛있다고 할 수는 없지만, 2시간 안에 효과가 바로 나타난다. 몸살 기운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가래도 가라앉힐 수 있다. 감기 증세가 심하다면, 양파 몇 조각을 날 것 채로 더 먹으면 된다. 그렇더라도, 양파차를 조금만 마셔보라. 숨쉬는 것 마저 편해질 것이다. 2. 귀가 아플 때 귀가 아파본 적이 있다면, 이게 얼마나 고통스러운 일인지 알 거다. 머리까지 깨질 것 같은 이 고통은 어떤 것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양파 한 조각을 귀에 넣으면 놀랍게도 통증이 바로 사라진다. 양파가 귀 안의 염증을 가라앉혀주기 때..

지형따라 집 위치

지형을 보고 건물 방향을 결정하는 법 건물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주변 산세와 물,도로,건물등을 살펴 건물의 향을 정하는 형기론과 패철을 사용하는 이기론이다. 풍수를 크게 나누면 형세론,형국론,좌향론으로 나눈다. 1.배산임수의 원칙을 따른다. 집 뒤로는 산이 있고 앞으로는 물을 보게 배치한다. 高一村山低一村水 조금만 높아도 산으로 보고 조금만 낮아도 물로 본다. 2.북향일 때는 뒷산이 높거나 햇볕을 차단하면 안 된다. 북향도 좋은 곳이 많다. 하지만 아무리 향이 좋아도 햇볕을 막으면 안 된다. 3.잘생기고 귀하게 생긴 앞산을 보도록 해야 한다. 4.四神砂(사방의 산)들이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전주작,북현무,좌청룡,우백호의 크기와 거리 등이 균형을 보게 잡는다. 5.물이 건물을 감싸줘..

집 안 구조

본 집안의 구조 1.대문은 집의 얼굴로 적당한 크기라야 한다. -지나치게 크면 실속은 없고 허세나 과장으로 망한다. -대문과 주위는 청결해야 한다. -대문이 두 개면 안되며 대문이 집안으로 열려야 한다. 2.대문과 현관문은 마주보면 안된다. 3.현관이 깨끗하고 밝아야 좋은 기가 집안으로 들어온다. -신발은 신발장에 넣는다 -물걸레로 닦는다 -거울이 밖으로 향해 있으면 안된다 4.거실은 외부의 기와 내부의 기가 합쳐지는 공간이다 -지나치게 길거나 모가 나면 안된다 -거실은 주택의 중심에 위치해야 한다 -가구나 장식품이 너무 크면 안된다 -골동품이나 고가구는 밝은 곳에 둔다 -두꺼운 양탄자는 좋지 않다 -너무 큰 화분은 좋지 않다 5.안방은 중심에 위치하고 가장이 거주해야 한다 -안방과 대문이나 현관이 마주..

주변 머리

구빈산결 (救貧山訣) 1.산이 살찌면 사람은 배부르다. 2.산이 야위면 사람은 배가 고프다 3.산이 아름다우면 사람이 빼어나다 4.산이 탁하면 사람이 용렬하다 5.산이 완벽하게 보국을 이루면 기쁜 일이 있다. 6.산이 깨지고 파손되면 슬픈 일이 있다. 7.산이 모이면 사람이 모여든다 8.산이 달아나면 사람이 흩어진다 9.산일 넓게 펴서 감싸주면 장수한다 10.산이 좁게 쪼그라들어 감싸주지 못하면 요절한다 11,산이 밝으면 재주가 뛰어나다 12.산이 어두우면 어리석다 13.산이 앞을 향하면 사람이 정직하다 14.산이 등을 돌리면 정직하지 못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