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自然과의 窓 309

집에는..

집에는 오허(五虛)와 오실(五實)이라는 것이 있는데 오허에 사는 사람은 가난하고 오실에 사는 사람은 부귀하다. 五虛 1.집은 큰데 식구가 적은 경우 2.대문은 크고 집안이 작은 경우 3.담장이나 울타리가 없어 불완전한 경우 4.우물과 부엌이 제자리에 없는 경우 5.택지의 집은 작고 마당과 정원이 넓은 경우 五實 1.집은 작은데 식구가 많은 경우 2.대문은 작고 집안이 큰 경우 3.답장과 울타리가 완전한 경우 4.집은 작고 가축이 많은 경우 5.집의 물이 동남쪽으로 흐르는 경우

망각은 배설의 한 부분이다

변비에 좋은 생활습관 말 많이 하고, 노래 부르기 의사 표현을 분명하게 하기 봉사활동 하기 소리 지르기 = 운동 머리 윙로 차가운 폭포스 맞기 百會穴 찬 수건 얹기 四關 마사지 - 엄지와 둘째 발가락 사이 태충혈 자극 / 엄지와 둘째손가락 사이 합곡혈 자극 단전호흡, 요가의 복부 파도타기, 복식호흡 장의 연동 운동을 유도하는 음식과 복부 맛사지 한문과 회음혈 근육 운동(宗筋) 피하면 좋은 식품.............들 인사므 생강, 마늘, 후추 등 튀바브 삶은 고구마, 삶은 감자, 달걀 노른자, 숯가루 등...퍽퍽하거나 건조한 음식 도라지, 솔잎, 땅통껍질, 밤 껍질, 생 도토리, 풋감 등 떫은 음식

설사와 변비 소고

건강에 필수 3대 요소 잘먹고, 잘 자고, 잘 누면 건강하다. 건강이 정신과 감정에 영향을 많이 받듯이, 설사와 변비도 정신적인 면과 무관하지 않다. 병의 원인은 內傷外感 - 즉 내적 원인과 외적 원인으로 분류된다. 똑같이 체한 증상이라도 잔소리들어 상한 기분이 원인이라면 內傷의 병이고, 과식이나 상한 음식이 원인이라면 外感이라 할 수 있다. 동의보감 - 왈 여름에 찬 음료수를 많이 마시면 가을 겨울에 감기가 안 떨어진다고 했다. 배설 작용도 음식 등 외감과 더불어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설사 변비가 되기도 하는 내상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마음에서 오는 변비 ........ 얼마나 욕심이 많고 인색하면 자신의 대변까지도 내놓지 않는단 말인가 ? 정신적으로 욕심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 견해다. 변..

마음으로 고치는 피부병

마음 고치니 피부병 말끔히........ 피부도 마음이 지배(?)한다. 기존치료병으로 잘 낫지 않는 乾性, 아토피성 濕疹등 ....심리적 스트레스 즉 정신적 충격이 피부질환 원인으로 작용, 건선피부 - 정신적 스트레스가 면역기능을 떨어뜨리고 내분비 기관을 교란시켜 호르몬 분비 장애를 초래해 피부과 질환--발생하는 것으로 추정 ........편안한 마음이 피부건강에 - 입증 탈모, 기미, 여드름을 악화시킨다.

정원수로 좋은 나무들

1. 사계절 푸른 잎을 볼 수 있는 나무 : 향나무, 눈향나무, 주목, 사철나무, 반송, 소나무, 대나무 2. 푸른 잎, 꽃과 꽃의 향기를 즐기는 나무 : 동백, 목서, 금목서, 3. 꽃과 향기를 즐기는 나무 : 서향, 꽃치자, 명자나무, 라일락, 조팝나무 종류, 목련, 자목련, 개나리 등 4 꽃과 열매를 즐기는 나무 : 산수유, 구기자, 매화, 석류, 산사, 꽃사과 등 5. 과실을 즐기는 나무 : 감나무, 살구나무, 대추나무 등 6. 울타리나 화단을 만드는 나무 : 피라칸다, 회양나무, 쥐똥나무, 광나무 등 7. 담장으로 좋은 나무 : 초피나무 초피나무를 울타리로 심으면 집안에 모기가 들어오지 않는다. 초피나무의 열매는 추어탕을 먹거나 회를 먹을 때 비린내를 제거하고 육류의 누린내 등 잡냄새를 없애는 ..

기감응

기감응(전달) 수단은 '생각(念) 또는 느낌'이며 기를 운용하는 주체를 '神'이라고 칭하고자 한다. “만물은 기로 이루어져 있다.” 신의 몸체는 氣로 이루어져 있으니, 만물에는 물질 고유 모습의 신(氣體)이 있다. 사람신, 동토신, 산신, 나무신 등 흔한 만물형상이다. 물질과 달리 氣는 자유도가 높다. 분리와 혼합이 쉽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기의 세계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다양한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하니, 풍수에서의 기감응(전달) 주체도 단순하지 않다. 대체로 명당 혈에 묻힌 경우 체백을 연결고리로 한 그곳의 자연신(산신), 흉지의 경우는 그 체백자체(신), 양택의 경우는 그곳의 자연(터)신 등 기 (신)의 세계는 물질계보다 훨씬 복잡/다양하다. 하지만, 어쨌든 만물(자연)에 속해 있는 수많은 신 가운..

음양의 특징

음양(陰陽)의 특징 음양관을 공부하는 것은 자신의 건강, 가족의 건강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않고 본인 스스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진정한 의사가 될 수 있는 길이다. 우선 음양관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기존 선입관(견)의 안경을 벗어야 한다. 세상에는 너무도 많은 지식들이 있으며, 자신도 나름대로의 고착된 소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은 엄청나게 힘이 드는 일이다. 세상을 상대적으로 바라보는 지혜가 필요하다. 양과 음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느 쪽이 좋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음양은 우리의 생활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음양을 제대로 알고 나면 세상의 모든 건강을 얻을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음과 양의 특징 - 동(動)과 정(靜) 음과 양의 대표적인 특징은 동..

산소와 탄산가스

*** 산소와 탄산가스를 맞 교환한다. 동물과 식물의 상호 공존관계다..... 반딧불이 애벌레는 맑은 물의 다슬기를 숙주 삼아 커가므로 반딧불, 다슬기 한 마리는 자연의 생태를 전달하는 하나의 징조 , aum ~~~ '안을 보라'는 문구다. 눈 덮인 광야를 걸어갈 때 모름지기 함부로 걷지 말지어다. 오늘의 내 발자국이 마침내 후인의 이정표가 되리니......

양택가상학ㆍ양택풍수

陽宅風水 ▲ 즉 양이 있는 자리는 동적인 곳이므로 거실이나 활동성이 많은 어린이 방을 배치(木ㆍ방향)한다. 부엌 등은(火,水ㆍ방향), 공공시설, 생산시설, 교육시설(木ㆍ방향), 위락시설(火ㆍ방향), 의료시설이나 성장 후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는(金ㆍ방향) 음양오행을 적용한다. 음이 차지한 자리는 정적인 곳이므로 안방이나 개인사무실, 저장시설 등을 배치한다. ㆍ양택가상학(陽宅家相學)

득수가 우선

풍수는 득수가 우선이고 장풍은 그 다음이다. 득수는 앞에 물이 보이는 것이 아니라 물이 혈 앞에 모이도록 하는 혈상의 사신사와 호대사의 형상에 있는 것이고, 장풍은 단순히 바람을 막아준다는 의미가 아니다. 바람을 막는 기능이라면 방풍(防風)이 맞을 것이다. 장풍은 조산과 안산의 기능이 중요한데, 모인 물을 가두어 之(지)와 玄字(현자)로 逆水(역수)를 만들어 천천히 흘러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말한다. ▲ 혈의 구조(구글에서 인용. 여기에서의 명당은 혈(穴)임) [자료제공=필자] 득수는 현무와 용호가 혈 앞에 물을 모으는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물의 어머니는 기(氣)이기 때문에 생기가 있다는 것은 물을 낳는 형태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용호가 혈을 향해서 모아주어야 물이 모이기 때문이다. 용이 달려 나가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