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識/호르몬의 세계

다섯 ㆍ맛

수승화강지촌 2022. 9. 28. 07:16
728x90

소금, 파, 마늘, 생강, 식초 같은 음식에 넣는 모든 양념들은 위장을 잘 움직이도록 자극을 주기 위한 것이다.

사람의 몸에는 시고 짜고 맵고 달고 쓴맛의 다섯 가지 맛이 모두 필요하다.

산함신감고(酸鹹辛甘苦)가 다 있어야 하는 것이다.

아기가 먹는 엄마 젖에는 산함신감고의 다섯 가지 맛이 나는 성분이 모두 들어 있다.


그러나 젖을 떼고 난 뒤부터는 산한신감고의 다섯 가지 맛이 나는 음식을 골고루 찾아서 먹게 해야 한다. 사람은 다섯 가지 맛을 모두 먹기 때문에 만물의 영장(令長)이 된 것이다.



자극이 있어야 위장이 움직여서 일을 할 수 있다. 위장을 비롯한 소화 기관은 자극을 주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단맛이 나는 것을 먹으면 비장이 움직이고

**-신맛이 나는 것을 먹으면 간이 움직인다.

**-단맛이 나는 것은 비위 경락으로 가고

**-신맛이 나는 것은 간 경락으로 간다.

**-쓴맛이 나는 것은 심장으로 가고
**-짠맛이 나는 것은 신장으로 가며
**-매운맛이 나는 것은 폐장으로 가서 각각 장부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이 원칙에 따라 밥을 먹으면
*한 숟갈은 간을 좋게 하고
*한 숟갈은 심장을 좋게 하며
*한 숟갈은 한 숟갈은 폐를 좋게 하고 *한 숟갈은 신장을 좋게 하는 식으로 작용한다.

곧 오미(五味)를 골고루 먹어야 모든 장부가 골고루 튼튼하게 되는 것이다.



위장이 염증으로 인해서 헐어 있을 때에 신맛이 나는 것을 먹으면 자극으로 인해 쓰리고 아프다.

그래서 위장이 좋지 않은 사람은 신맛이 나는 것을 절대로 먹지 말라고 의사들은 말한다.

그러나 이 말은 옳은 말이라고 할 수 없다. 위는 신맛과 매운 맛, 쓴맛 등으로 자극을 주어야 운동을 한다. 위가 나쁜 사람한테 신맛이 나는 것을 먹지 못하게 하는 것은 마치 운동을 해서 팔다리가 아프면 운동을 하지 말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근무력증은 근육이 마비되어 몸이 굳어져서 죽는 병이다. 근무력증을 고치려면 운동을 많이 해서 팔이나 다리를 아프게 해야 고칠 수 있다. 마치 이열치열(以熱治熱)의 원리와 같은 것이다.

열병이 생겼을 때 열을 떨어뜨리지 않으면 죽는다. 열병을 치료하는 데에는 어떤 맛이 나는 것을 주요 재료로 쓰는가?

매운 맛이 나는 것을 주요 재료로 써야 한다. 매운 맛은 열을 사방으로 흩어버리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열은 염증으로 인한 것이다.

병원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면 반드시 열이 난다.

파, 마늘, 부추, 달래, 염교 등을 오신채(五辛菜)라고 한다.

염교 대신에 양파나 흥거를 넣기도 하는데 흥거는 우리나라에는 없는 식물이다.

오신채는 다섯 가지의 매운 맛이 나는 채소이다. 오신채는 성질이 뜨겁고 강한 자극이 있으며 병원균과 바이러스를 물리치고 면역력을 길러 주는 작용이 있다. 오신채를 많이 먹으면 면역력이 세어져서 병원균에 잘 감염되지 않는다. 오신채를 잘 먹지 않는 사람은 병원균에 감염되기 쉽다.



귀신은 반 에너지 물질이다.
귀신은 사람한테 있는 에너지를 빼앗아간다. 반대로 오신채는 강한 에너지를 만드는 물질이다. 오신채를 많이 먹으면 자립심과 독립심이 생겨나서 어떤 종교나 사상, 이념 같은 것에 의자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절간에서는 귀신과 잘 통하게 하고 귀신이나 종교에 잘 의지하게 하기 위해서 오신채를 먹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오신채를 먹지 않으면 몸이 차가워지고 몸이 차가우면 귀신이 빙의(憑依)하기 쉽다.

귀신은 마치 바이러스와 같고 기생충과도 같다. 바이러스와 같이 스스로 살아갈 수 없고 사람의 마음에 붙어 기생하면서 에너지를 몽땅 빼앗아가고 결국은 몸을 빼앗아서 주인이 되려고 하는 것이다.

귀신들이 승려들의 머리 속으로 들어가서 에너지를 몽땅 빼앗아서 대장 노릇을 하면서 승려들을 꼭두각시처럼 부려야 하는데 사람이 오신채를 먹으면 에너지가 강해져서 귀신이 몸속으로 들어갈 수가 없다. 승려들이 오신채를 먹으면 에너지가 강해져서 귀신들의 노예가 되기는커녕 오히려 귀신들의 대장 노릇을 해서 귀신을 마음대로 부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오신채는 강한 에너지가 나게 하는 에너지 물질이고 반대로 버섯이나 고사리, 들깨, 고수 같은 것은 힘을 약하게 하는 반 에너지 물질이다.


절간에서 승려들이 버섯이나 고수, 녹차, 보이차, 고사리, 들깨 같은 반오신채 음식을 많이 먹으니까 주객(主客)이 전도되어 귀신들이 승려들의 몸에 들어가서 정신을 지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고수는 신장과 간, 비장(脾臟)을 망치는 음식이다. 몸이 망가져야 접신(接神)이 잘 되기 때문에 승려들은 그런 음식을 많이 먹으라고 한다. 고수를 먹으면 신장이나 간, 비장이 망가져서 몸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잘 익은 고수 씨는 향기가 아주 좋다. 잘 익은 고수 씨는 기를 잘 통하게 하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데 아주 좋은 약이 된다. 그런데 절에서는 잘 익은 씨를 쓰지 않고 덜 자란 어린잎을 양념으로 써서 귀신을 몸에 불러들이기 쉬운 체질로 만드는 것이다.

간 기능이 나빠지면 몸을 움직이기가 싫어진다.


절간에서 하안거(夏安居)나 동안거(冬安居)를 하는 90일 동안을 꼼짝도 안 하고 앉아 있게 하려면 고수나 고사리, 버섯 같은 것을 많이 먹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좀이 쑤셔서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한다. 혈기가 왕성한 사람을 선방(禪房)에 억지로 잡아서 앉아 있게 하려면 버섯이나 고수, 고사리, 녹차, 보이차 같은 것을 많이 먹게 해서 간의 기운을 약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본래 오신채는 우리 조상들이 입춘(立春) 때에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서 먹는 시절음식이었다. 본디 오신채는 다섯 가지 매운 맛이 나는 채소로 만든 새 봄이 오면 몸속에 겨우내 쌓인 냉기를 쫓아내기 위해 반드시 먹어야 하는 채소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것이 불교가 들어와서 금기해야 하는 다섯 가지 매운 맛이 나는 채소로 그 뜻이 반대로 바뀐 것이다.


오신반은 겨우내 결핍되었던 신선한 채소를 보충하고 자칫 잃기 쉬운 봄철 입맛을 돋우는 햇나물 무침이었다.

오신반에 들어가는 다섯 가지 생채의 종류는 시대와 지방에 따라 다르나, 오신채로 움파, 산갓, 승검초, 미나리싹, 무싹의 다섯 가지 또는 파, 마늘, 달래, 무릇, 부추와 같이 자극성이 강한 여덟 가지 나물(파, 마늘, 자총이, 달래, 평지, 부추, 무릇, 미나리의 새로 돋아난 싹이나 새순) 가운데 황, 적, 청, 흑, 백 다섯 가지 색을 띈 것을 골라 무쳤다는 설도 있다.

입춘에 매운 맛이 나는 나물을 먹는 것으로 봄을 맞이하는 감회를 새롭게 하고 아울러 겨우내 부족했던 비타민 C를 보충하며 몸속에 쌓인 냉기를 쫓아낼 수 있다.

오신채는 노란색 나물을 중앙에 놓고 주위에 청, 백, 적, 흑색의 나물을 놓아 임금이 신하들에게 하사하기도 했는데, 이들을 한데 섞어 무쳐 먹는 것으로 모든 것이 화합하고 융합하여 임금을 중심으로 하나로 뭉치는 정치적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서민들도 입춘이 되면 절식으로 오신채를 먹었다. 이때 오색의 상징적 의미는 인(仁, 靑), 예(禮, 赤), 신(信, 黃), 의(義, 白), 지(志, 黑)의 덕목으로 각각 간(靑), 심장(赤), 비장(黃), 폐(白), 신장(黑)의 인체 기관을 의미한다. 입춘날 오신채를 먹으면 다섯 가지 덕을 모두 갖추게 되고, 신체의 모든 기관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건강해진다고 믿었다. 오신채를 준비하지 못한 농가에서는 고추장에 파를 찍어 먹는 것으로 대신하기도 했다.




엄마 손을 잡고 다니는 어린아이들을 보면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않는다. 앞 뒤 좌우로 뛰어다니고 엄마한테 매달리고 하는 것이다. 아이가 활발하게 뛰어다니지 않고 잠잠하게 있으면 간 기능이 약한 아이라는 알 수 있다.

잘 우는 여자는 무조건 몸이 차갑다. 잘 우는 아이는 다른 아이의 잘못을 어른이나 선생님한테 잘 일러바치는 고자질장이다. 이런 사람은 어떤 경우도 비밀을 못 지킨다. 몸이 차가우면 자기보다 센 사람한테는 기대기를 좋아하고 또래가 잘못한 것을 고자질하기를 좋아한다.
배신자는 모두 잘 우는 사람들이다.

728x90

'意識 > 호르몬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ㆍ사용설명  (0) 2022.10.18
의식 에너지 센터  (0) 2022.09.28
마음의 거처  (0) 2022.09.28
Body condition  (0) 2022.09.22
Epiphanies  (0) 202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