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노간주나무 ᆢjuniper tree
분류 구과목 > 측백나무과 > 향나무속
꽃색 갈색
학명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개화기 4월, 5월
분포지역
일본, 중국; 우리나라 전국 산야 특히 석회암지대에서 잘 자람.
형태
상록침엽교목, 수형은 원주형의 로케트형
크기
높이 8m, 지름 20cm.
잎
잎은 침상으로 3개씩 돌려나기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12~20mm, 폭 1mm로서 표면에 좁은 백색의 홈이 있다. 잎끝은 예리하고 딱딱하여 손을 갖다대면 통증을 느낄 정도이다.
꽃
암수딴그루이며, 꽃은 전년지의 잎겨드랑이에서 4~5월에 핀다. 수꽃차례는 1~3개씩 달리고 20개 내외의 녹갈색 비늘조각이 있고, 밑 부분에 4~5개의 꽃밥이있다. 암꽃차례는 1개씩 달리고 9개의 씨앗바늘이 있으며, 밑씨는 각각 3~4개이다.
열매
구과는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지름 7~8(12)mm이고 두꺼운 육질로 되어 있다. 동합된 씨앗바늘은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에 9개의 포가 있다. 처음에는 녹색이나 후에는 자흑색으로 된다. 종자는 3~4(1)개씩이고 달걀모양이며 길이 6.5mm로서 갈색이고 지점이 있다. 열매는 꽃이 핀 다음해 10 ~ 12월에 성숙한다.
줄기
높이 8m, 지름 20cm에 달하고 수관이 비짜루처럼 되며 직립한다. 나무껍질이 갈색으로 길게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2년지는 다갈색이다. 일년생가지는 황갈색으로 노목에서는 드리워진다.
뿌리
천근성이다.
나무껍질
나무껍질이 갈색으로 길게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2년지는 다갈색이다.
생육환경
• 양지 바른 산비탈이나 건조하고 메마른 사력지대(砂礫地帶)에서 자란다. 비교적 토양은 가리지 않으며 석회암지대에서도 잘자란다.
• 추위에 매우 강한 양수로서 척박하고 건조한 땅에서도 잘 견딘다.
번식방법
• 번식은 삽목과 실생으로 행한다.
1.실생 : 실생은 가을 열매 채취후 과육을 제거한 다음 노천매장을 하거나 진한 황산처리를 한 후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파종한다. 대부분 파종 2년만에 발아한다.
2.삽목 : 삽목은 발근이 잘 되며 3월 중순 - 4월 중순경에 전년생가지를 길이 10-20㎝ 크기로 잘라 삽목한다.
재배특성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 이식성은 보통이다.
용도
• 목재가 치밀하고 날카로우므로 생울타리를 조성하면 좋다. 정원수나 분재용수로도 이용된다.
• 향료로 사용된다.
• 목재와 가지가 유연하며 물에 잘 썩지 않으므로 써래채,소코트래,소쿠리의 테를 만드는 등 주로 농기구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 果實(과실)을 杜松實(두송실)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10월에 과실이 익을 무렵 두들겨 떨어 뜨려서 그늘에서 말린다.
②성분 : 毬果(구과)는 精油(정유)를 함유한다. 가지나 잎에 함유된 정유의 성분은 과실의 것과 별로 다르지 않다.
③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利尿(이뇨)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요도 생식기질환, 통풍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3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바른다.
보호방법
• 육묘 생산을 목적으로 할 때는 묘목보다 성목의 양산이 수요나 수익면으로 볼때 기대되는 만큼 장기 계획으로 성목의 상품화를 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종
• 해변노간주나무 : 바닷가에서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것을 말한다.
• 두송 : 북부고산지대,잎의 면이 오목하고 백색부가 녹색부보다 넓으며 열매가 잎보다 짧다.
• 곱향나무 : 주간이 옆으로 자라고 열매가 잎보다 길며 북부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다.
특징
• 노간주 나무는 결실이 많이 된다.
• 일본에서는 가지를 꺽어 쥐구멍에 거꾸로 꽂아두면 바늘같은 잎 때문에 쥐가 침입할 수 없다 하여 "네즈미나시"(쥐를 찌른다는 뜻)라고 이름부를 정도다.
병해충정보
가지와 줄기의 껍질이 거칠어져서 나중에 찢어지고 밤색의 혹같은 것이 튀어 나온다. 이 혹이 여러개 뭉쳐져서 물을 흡수하면 한천상이 되며 뻘겋게 된다.
방제방법
이 병균은 채진목을 중간 기생주로 하므로 노간주나무 부근에 있는 채진목을 제거하고 병든 가지는 잘라 태워버린다.
관련 멀티미디어5개
#식물
콘텐츠 저작권 규정 오류 수정 문의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전체항목
국립수목원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생물종 지식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자세히보기
함께 보면 좋은 내용
골담초
겨우살이
개오동나무
갈매나무
겉씨식물(gymnosperm)
겉씨식물
갯버들
#식물 인기글
우리 나무의 세계 2
왕벚나무
일본의 벚나무 역사는 무척 오래됐다. 그래서 벚꽃 하면 으레 일본을 먼저 떠올리기 마련이다. 일본인들은 벚꽃을 오랫동안 심고 가꾸어 오면서 많은 품종을 만들었는데, ‘소메이요시노’란 일본 벚나무가 가장 널리 심는 벚나무다. 그런데 이 나무는 서로 교배를 시켜서 좋은 것을 골라 선발한 벚나무지만, 부모가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다. 일본 안에서 부모를 찾지 못하던 차에 1939년, 식물학자인 고이즈미 겐이치(小泉源一) 씨는 제주도의 벚나무를 조사하여 일본 벚나무의 부모는 제주도에서 자라는 왕벚나무라고 발표한다. 광복 이후 우리 학자들도 이를 확인하고, 일본 벚나무는 제주도를 원산지로 하는 왕벚나무가 건너간 것이라고 학계에 보고하여 오늘에 이른다. 이에 대하여 일본 학자들은 고이즈미 씨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표본이 남아 있지 않아서 이를 인정하기 어렵고, 자기네들의 연구 결과로는 자연발생설, 이즈(伊豆)반도 기원설, 한국 제주도 기원설, 인공 교배설 등 여러 가지 학설이 있다고 주장한다.
일회용품으로 만든 화분들
화초 기르기를 시작하다
일회용품으로 화분 만들기
테이크아웃 커피를 많이 마시는 요즘, 수없이 많은 플라스틱 컵들이 쓰레기통으로 버려지지요. 한 번 쓰고 버려지는 플라스틱 컵을 이용해 화분으로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일회용 컵 안에 색돌, 커피콩, 포푸리, 말린 열매, 마카로니 등을 넣어 장식하고 수경 재배할 식물을 이용해 보세요. 간편하게 키울 수 있고 색다른 분위기를 낼 수 있습니다. 일회용 케이크 뚜껑과 소스통을 이용해서 케이크, 머핀, 커피 세트를 만들어 보세요. 아기자기하고 재미있는 디저트 상차림이 완성됩니다. • 재료 : 플라스틱 컵, 머핀용 유산지, 작은 일회용 컵, 리본, 일회용 케이크 케이스, 소스 컵, 커피콩, 각종 식물, 펀치 1단계 작은 일회용 컵에 식물을 심고 플라스틱컵에는 커피콩을 담습니다. 2단계 플라스틱 컵에 일회용 컵에 담긴 식물을 넣고 커피콩을 담아 주세요. 3단계 일회용 컵이 보이지 않도록 커피콩으로 덮어 주세요. 4단계 일회용 컵을 이용한 화분이 완성되었습니다. 1단계 케이크 케이스 바닥에 구
금전수
화초 기르기를 시작하다
금전수
금전수는 이름에서부터 생김새까지 '돈벼락 맞으세요!'라고 외치는 것 같습니다. 한자명이 '금전수(金錢樹)', 영문명도 'Money Tree'라니, 키우면 돈이 저절로 굴러 들어올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금전수의 잎은 동전이 주렁주렁 달려 금방이라도 쏟아지는 것같이 생겨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런 생김새와 이름 덕분에 '돈나무'라 불리며 집들이나 개업식의 단골 선물로 인기가 많지요. 금전수의 잎은 멕시코소철의 잎과도 아주 닮았습니다. 학명도 이런 특징으로 인해 지어졌다고 합니다. Zamioculcas는 멕시코소철의 속명인 Zamia와 천남성과 식물의 속명 Culcas가 합쳐진 이름으로 '멕시코 소철을 닮은 천남성과 식물'이라는 뜻이지요. zamiifolia는 '멕시코소철과 유사한 잎'이라는 뜻입니다. 그러고 보니 멕시코소철의 잎 모양과 아주 많이 닮았습니다. 금전수의 고향은 아프리카의 탄자니아입니다. 지평선이 한없이 펼쳐지는 초원과 야생동물의 천국인 세렝게티가 있는 곳입니다. 플라밍
우슬
다음백과
우슬
한약재로 쓰이는 풀, 또는 이 풀로 만든 약재의 이름. 한국 중부 이남의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주요성분은 사포닌·칼륨·점액질 등이다. 약성은 평범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시다. 주로 간과 신장의 병을 치료하는 데 쓴다. 폐와 위, 심장에도 좋다. 허리와 다리 통증에도 사용하며, 외부의 충격으로 다쳤거나 관절과 인대가 늘어난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 신장 결석으로 피오줌을 보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에 잘 듣는다.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가 먹고, 가루를 내어 동그랗게 환을 지어 먹기도 한다. 피를 묽게 하는 성질이 강해 임신부나 설사 환자가 먹어서는 안된다.
728x90
'水昇火降支村 > 自然과의 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옻나무 (0) | 2021.05.06 |
---|---|
옻나무 (0) | 2021.05.01 |
내 친구가 알려주는 사실 (0) | 2021.04.30 |
허브 식물 (0) | 2021.04.25 |
내용을 입력하세요.자생식물의 종류 및 특 (0) | 2021.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