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自然과의 窓 309

식물 전략

식물들의 전략 나무는 왜 둥굴게 자랄까요? /임선빈 ​ 둥굴다는 것은 한가운데서 바깥쪽 어느 곳이든지 그 거리가 똑 같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달이 그렇고, 지구가 그렇고, 온갖 고등 동물의 몸통이 둥글게 생겼으며 나무 또한 둥글게 자랍니다. 아주 오랜 옛날에는 식물들의 잎이 마주나고, 줄기가 네모 형태를 한 식물들이 많았는데 줄기 사이에는 홈이 파져 있어 비가 내리면 홈의 줄기를 따라 물이 뿌리쪽으로 흘러내리는 구조를 하고 있었답니다. 그러나 환경이 변하고, 식물들 종의 수가 늘어나면서 나무들도 먹고 사는 방법을 바꾸었습니다. 위에서 물을 흘려보내 먹고 사는 방법이 아닌 뿌리를 발달시켜 빨대처럼 땅 아래에 있는 물을 빨아먹는 형태로 진화 했다는 것입니다. 네모난 줄기의 물을 뿌리가 받아먹는 정형의 틀을..

비료와 거름

비료와 거름의 관계 ♡비료/거름이 필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화초는 물-영양-햇빛 등의 여건이 열악할수록 더 열심히 기를 쓰고 꽃을 피우기도 합니다. 자신의 수명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씨앗을 맺어 자손을 남기려는 본능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 해만 살고 떠나야 하는 일년초의 경우가 그러한 성향이 더 강합니다. 물론 초화의 경우에도 비료나 거름을 시의적절하게 투여를 하면 훨씬 더 튼실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타이밍이나 과다 시비로 인해 잎만 무성하고 꽃이 피지 않는다든가 잎이 노랗게 마르는 부작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외도 있습니다. 연중 시도 때도 없이 꽃을 피우는 녀석들이나 덩굴을 길게 뻗는 식물의 경우는 체력 보강을 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비료와 거름을..

식물 ㆍ상식

식물 기르기의 잘못된 상식 1 물도 잘 주고, 햇볕에 드는 곳에 화분을 놓아두고, 하루에 한두 번씩 잎사귀에 정성스레 물을 분무해 주었는데 키우던 식물이 시들시들했었던 경험, 한 번쯤 겪어 보셨을 것입니다. 애지중지 신경 쓰며 키운 식물이 죽는 이유는, 식물 키우기에 대한 잘못된 통념을 그대로 받아들였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1, 화분이 클수록 식물이 더 빨리 자랄까요. 식물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한 마음에 큼지막한 화분에다 분갈이를 해주신 적 있나요? 식물은 자신의 크기에 적합한 화분에서 가장 빨리 자랍니다. 뿌리가 화분을 적당히 채우면서도 너무 꽉 차지 않을 때, 식물은 뿌리를 내리는데 에너지를 쓰는 대신 잎과 줄기를 기르는데 힘을 쓰기 때문입니다. 또한, 화분이 너무 크면 뿌리가 흙의 물을 모두 ..

화분 곰팡이

화분에 곰팡이 제거 방법 화분에 곰팡이, 왜 생기는 걸까? 화분에 곰팡이는 하얀 솜처럼 흙 위에 피어있어요 화분에 곰팡이는 주로 환경적인 요인이 크답니다 ​ 물을 너무 자주 혹은 많이 줬을 때 곰팡이가 생기는데, 물을 잘 줘도 통풍이 안 되거나 해가 너무 안 들면 흙이 마르지 않아서 화분에 곰팡이가 잘 생겨요 ​다행스럽게도 사람의 몸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식물의 뿌리를 썩게 만들어서 반드시 제거해야해요 화분에 곰팡이 제거하는 방법 먼저 화분에 곰팡이가 표면에만 있는지 살펴봐요 곰팡이가 생긴지 얼마 안 돼서 표면에만 있다면 곰팡이가 생긴 흙만 살짝 걷어내줘도 충분해요 만약 더 심각한 상태라면 아래 방법을 따라해보세요 집에 소독용으로 과산화수소를 구비해놓는다면 화분에 곰팡이가 생겼을 때도 활용할 수 ..

농약이란

농약에 대한 진실 어디에든 있는 잔류 농약 오늘날 마트에서 구할 수 있는 음식 대부분에는 잔류 농약이 조금씩은 들어있습니다. 과일과 채소는 물론이고 닭고기나 소고기에서도 잔류 농약이 검출되지요. 가축을 먹이는 사료에 농약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KBS에서 방영한 “친환경 유기농의 진실”이라는 탐사보도에 따르면 일부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에서도 잔류 농약이 검출된다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안전기준이라는 것을 마련하여 잔류농약의 양이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하게 막고 있지만, 백프로 안전하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어째서 농약이 쓰일까요? 농약은 병충해를 예방하는 한편, 사람에게 질병을 옮길 수 있는 곤충(모기나 진드기)이나 동물(쥐 등)을 방제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잡초를 제거하는데도 쓰이지요. 농약에는 여..

농 약 세 척

농약 세척 관련 꿀팁 마트에서 구입한 채소나 과일을 씻을 때 차가운 흐르는 물에 씻으시나요? 많은 분들이 이 방법을 이용하십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과연 농약을 씻어낼 수 있을까요? 코네티컷 농업 실험 센터(Connecticut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의 연구진은 채소나 과일을 흐르는 물에 씻고, 잔류농약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검사했습니다. 그 결과 12종류의 농약 중 3종은 씻겨 내려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과일 전용 세제가 효과가 없다? 시중에는 농작물 세척제라는 상품도 있는데요, 과연 이런 제품을 쓰면 농약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까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농작물 세척제는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고 합니다. 보통 수돗물과 효과가 비슷하다는 결과를 얻은 것이지요...

은행나무 ㆍ

은행은 왜 냄새가 날까? 은행나무는 공해에 강하고 병충해도 적어 가로수로 많이 쓰입니다. 가을이 되어 노랗게 물든 은행잎은 보기에도 좋지요. 가을이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 은행나무 때문에 가을마다 골머리를 썩이는 곳이 있으니, 바로 가로수를 관리하는 지자체입니다. 가을이 되면 은행 열매가 길가에 떨어지는데, 악취가 나기 때문입니다. 길을 걷다가 은행 열매를 밟으면, 터진 과육질이 신발 밑창에 묻어 사무실이나 차 안에서도 심한 냄새를 풍기게 됩니다. 악취의 원인은? 은행 열매에서는 왜 이렇게 지독한 냄새가 나는 것일까요? 진달래와 목련처럼 암꽃과 수꽃이 같이 피는 식물도 있지만, 은행나무는 암나무와 수나무로 나뉩니다. 이 중에서 암나무에는 흔히 “은행알”이라고 불리는 종자가 열리는데, 이 종자의 겉껍질에서는..

창포

붓꽃과(科) 붓꽃속(屬)에 속하는 노랑꽃창포가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노랑꽃창포는 유럽 및 서아시아 원산인 외래식물로서 원예종으로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으며, 야생화되어 전국에 분포한다.(국립수목원: 한국의 붓꽃) ​ 노랑꽃창포는 총상화서(總狀花序)로서 꽃줄기는 갈라진다. 잎에 주맥(主脈)이 있으며, 꽃줄기는 3~4회 갈라진 후 그 끝에 꽃이 달린다. 외화피(外花被)는 담황색이고 갈색 줄무늬가 있다.(대한식물도감 검색표) 꽃창포는 총상화서로서 꽃줄기는 갈라진다. 잎에 주맥이 뚜렷하며, 꽃줄기는 갈라지지 않고 끝에 2~3개의 꽃이 달린다. 화피(花被) 열편(裂片)은 적자색이며 꽃밥은 희다.(대한식물도감 검색표), 꽃은 6~7월(붓꽃 5~6월)에 피고, 붉은 보라색(붓꽃은 붉은 빛이 거의 없는 보라색)이며..

식물 ㆍ공기정화

식물에게 공기 정화 효과가 있을까? NASA의 식물 공기 정화 능력에 대한 연구 식물이 공기 정화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는 1989년 나사 (NASA, 미 항공우주국)에서 실시한 실험 결과로 인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당시, 나사에서는 밀폐된 공간에서 오랜 기간 체류하는 우주인들의 건강을 유지하고자 우주선 내의 공기를 식물을 이용해서 정화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나사의 연구진은 발암성 유기화합물 (벤젠, 포름알데히드 및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이 공기 중에 섞여 있는 밀폐된 공간에 식물을 두고, 식물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지를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식물이 24시간 만에 오염물질의 최대 90%를 제거한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식물을 두는 것보다 환기를 하는 것이 공기 정화에 도움이 됩니다. 보통 거실의 ..

식물?

식물 관련 상식 세계에서 가장 높이 자라는 나무는 무엇일까요? 세상에서 가장 크게 (높게) 자라는 나무는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는 없는 나무입니다. 미국 서부의 캘리포니아에서 자생합니다. 정답은 레드우드 속의 자이언트 세쿼이아입니다. 자이언트 세쿼이아는 높이가 115m까지 자라는 나무입니다. 2000년가량을 살아온 나무도 있다고 하네요. 최근, 캘리포니아에 큰 산불이 나서 많은 숲이 소실되었지만, 다행히 이 나무는 죽지 않고 많은 수가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나무 밑동에서 나무 꼭대기를 보면 끝이 보이지 않는 것 같다고 하네요. 나무 이름을 따 국명이 정해진 나라는 무엇일까요? 식물의 이름이 국가명이 된 나라는 이 나라가 유일하다고 합니다. 이 나라에는 나무가 매우 많습니다. 세계 최대의 숲을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