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 840

꽃나무

3월에 산수유, 매화나무, 풍년화, 희어리나무 등이며 이 뒤를 이어 벚나무, 목련, 진달래, 개나리, 철쭉 등이 또한 벗나무도 관목수준이 아닌 교목이므로 낮게 여름에는 산딸나무, 나무수국 등이 좋으며 산나무의 열매로 새들의 먹이로 새를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가을은 역시 잎의 열매 등이 주된 관상 포인트인데, 적합한 수종으로는 화살나무, 작살나무, 산딸나무, 복자기 등이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구상나무가 가장 아름답게 보이더군요! ♠ 수형이 아름다운 나무: 주목, 반송, 섬잣나무, ♠ 그늘이 많이 생기는 나무: 벚나무, 팽나무 ♠ 꽃이 아름다운 나무: 산딸나무, 벚나무류, 자귀나무, 귀룽나무, 마가목, 배롱나무, 해당화, 노각나무, 백당나무, 수국류, 명자나무, 매죽나무, 황근꽃나무, 꽃말발도리 ♠ ..

정원 ㆍ나무

봄을 알리는 정원수는 3월에 꽃망울을 터트리는 산수유, 매화나무, 풍년화, 희어리나무 등이며 이 뒤를 이어 벚나무, 목련, 진달래, 개나리, 철쭉 등이 있겠지만, 개나리는 절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이 개나리가 퍼져나가기 시작하면 감당 못합니다. 또한 벗나무도 관목수준이 아닌 교목이므로 낮게 여름에는 산딸나무, 나무수국 등이 좋으며 산나무의 열매로 새들의 먹이로 새를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가을은 역시 잎의 열매 등이 주된 관상 포인트인데, 적합한 수종으로는 단풍나무, 화살나무, 작살나무, 느티나무, 산딸나무, 복자기 등이 있습니다. 겨울에 대부분의 낙엽성 관목류들은 잎이 다 떨어져 앙상한 가지만 남아 있기 때문에 상록성인 구상나무, 소나무, 주목 향나무류 등이 좋은데, 향나무는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

삼초

몸 안에 기가 부족하면 사기가 들어오게 된다. 심한 이명이 있거나 눈이 급격히 어두워지거나 하면 상초의 기 부족을 의심해봐야 한다. 한편 중초의 기가 달리면 대소변이 평소 같지 않고 배가 끓게 된다. 사지가 늘어지고 사지부터 차가워지기 시작해서 거슬러 올라가며 몸이 차며 가슴이 답답할 때는 하초의 기를 북돋워줘야 한다. 삼초란 무형의 장기로 삼초가 허하면 몸이 차고 삼초가 실하면 몸이 뜨겁다. 상초는 심,폐의 호흡기능을, 중초는 비, 위의 소화기능을, 하초는 간, 신의 생명기능을 담당하는 생명력과 면역력, 마음 상태 첫째, 오랫동안 누워있지 말 것. 진기나 원기를 상하지 않도록 더러운 기운을 가까이 하지 말 것. 현대는 마음이 뇌에 있다고 여기는 추세지만 마음 상태는 심장 건강과 직결된다. 7정으로 마음..

水昇火降支村 2021.02.06

뒤곁과 앞 마당

양택론 주택 뒤에 사계절 푸른 나무를 심고 앞마당을 황토로 조성하면 앞뒤의 기운이 자연스럽게 순환하면서 생기(生氣)로 변한다. 그러니 여름에는 집 뒤 나무에서 나오는 시원한 기운은 아래로 내려오고 집 앞의 뜨거운 기운은 위로 올라가 자연스럽게 순환하면서 자연풍을 만들어 시원하고, 겨울에는 황토에서 나오는 복사열이 감싸고 순환하여 따뜻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금냉법

'봉우사상연구소'.------ 금냉법(金冷法) ...수화기제는 수승화강을 상징하는 주역 64괘 중의 하나이다. 수화기제법은 일명 금냉법이라고 하며,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신체를 움직여서 매일 행하여야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다. 위에 거는 내려가고 아래 거는 올라오고 하는 게 수화기제(水火旣濟). 아랫배를 더웁.. 차지 않는(않게 되는) 것이 숨이 들어가서.. 호흡이 들어가면 거기가 더워지지 차지지는 않읍니다. 아랫배가 냉(冷)해가지고선.. 호흡하는 사람 냉하다는 소리는 안합니다. 불알.. 고환을 차게 해야, 거기는 냉각 시키는 것이 아주 꼭대기 더워지는 데는 자극성이 되가지고 거기서 차게 자꾸 하면 이쪽에서 그걸 방어하느라고 위에서 더운 기운이 내려가니까 일부러 냉각시킵니다 그걸. 열을..

水昇火降支村 2021.02.03

계절따라 몸 챙기기

가을은 하루 중 오후 시간 대에 속하며 폐와 장이 나빠지는 시기로 분류한다. 맛으로는 매운맛의 계절이며 섭취하면 도움이 되는 음식은 현미와 생강차다. 그러다 겨울이 되면 하루 중 밤을 맞는 시간으로 신장과 방광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 가뜩이나 긴긴 겨울밤에 뼈가 쑤시면서 잠을 못 이루는 불면의 고통이 함께 찾아오는 때이다. 맛으로는 짠맛이 대표적이다. 검은 콩, 두부, 마, 다시마 등이 건강에 이롭다. ​ 그러다 봄이 오면 간과 쓸개에 슬슬 신호가 온다. 새벽의 시간, 특히 봄철 새벽에는 간이 나빠진다. 봄의 맛은 신맛이며 신 맛이 나는 주스, 보리, 밀, 팥, 밀 등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여름은 초여름과 한여름으로 세분해서 보는데, 초여름은 여전히 아침에 해당하며 심장과 소장이 나빠질 수 있..

水昇火降支村 2021.02.01

라면

물에 한 번 끓이고 건져낸 면으로 라면을 조리하는 ‘면 세척 조리법’ 이외에도 퀘르세틴이 풍부한 양파를 라면에 넣으면 혈액 속 불필요한 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칼륨이 풍부해 나트륨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양배추를 넣는 것도 한 방법이다. 양배추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해 라면에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줄 수 있다. 라면에 우유를 반 컵 정도 넣어 칼슘 함량을 높이고 라면 국물의 염분 농도를 낮추는 것도 좋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