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 841

오이를 심어야 하는 이유

1. 오이는 사람이 하루에 필요한 영양소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오이 한 개는 비타민B1, B2, B3, B5, B6, 비타민C, 엽산, 칼슘, 철분,마그네슘, 인, 카리, 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다. 2. 가령, 오후에 피로를 느낄 때는 카페인이 들어있는 소다수(콜라등)보다는 오이 하나를 먹는것이 낫다. 오이는 비타민B와탄수화물을 섭취할 수 있어서 속히 원기를 회복하고 몇시간 지탱할 수있다. (오이 샌드위치) 3. 샤워를 하고 나서 옥실 거울에 뿌연 김이 서리는 것이 싫으시면 오이를 가로 로 썰어서 거울 표면에 문질러 주면 김이 말끔히 가시고 스파처럼 상쾌한 향기가 풍깁니다. 4. 텃밭과 화단에 굼뱅이와 달팽이가 창궐하면, 납작하고 빈 알루미늄 깡통 속에 가로 썬 오이를 몇 쪽씩 넣어 두면 여름 한철 ..

자연의 숨소리

아지랑이와 식물의 수증기와 그리고 산소는 생물이 그 숨결을 서로 내뿜는 기운이다. 아지랑이와 티끌 - 진애(塵埃)는 먼지와 같은 바람이다. 아지랑이 같은 기운은 생명들의 숨결이 불어 올린 것이다. 숲이 있는 골짜기에는 안개나 아지랑이 같은 기운이 서려 있지만 생명이 별로 없는 사막 같은 곳에는 아지랑이 같은 기운이 생기지 않는다. 아지랑이 같은 것은 식물이나 동물들이 뱉어내는 숨결이 햇볕으로 인해 증발하여 생긴 것이다. 숲에서 생기는 기운은 나뭇잎에 들어 있는 수분이 햇볕과 바람에 증발하여 생긴 것이다. 몸속에 산소가 부족하고 이산화탄소 같은 가스가 차면 병이 난다. 뱃속에서 생긴 가스가 뇌로 올라가면 뇌에 산소가 모자라서 두통이 생긴다. 모든 생명은 기운은 산소이다. 푸른 것은 생명의 빛깔이고 산소의 ..

水昇火降支村 2021.02.26

자연에게 말걸기

..............식물의 파동 자연의 소리에는 모양이 있다.........(?) 파도, 소용돌이, 나선, 소라조개 같은 여러 가지 모양 // 기(氣) - 기운의 흐름과 일치하며, 氣를 초감각적으로 시각화 또는 청각화하고 있다. 만물과 인간은 어떤 관계일까? 가제오는 말하고 있다. “식물이 내는 파동이 우리에게 소리(음악)으로 들리는 것 같다. 파동을 내고 그 파동으로 음을 겹치게 하여 무한히 많은 곡을 만들어요. 그것은 파동을 고르게 해요. 같은 레벨의 파동과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요. 나무의 텔레파시 능력, 자연계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나무의 본능, 그것이 치유 파동 그것을 돕는 것이 땅과 돌, 물의 파동이예요. 예를 들어 벚꽃은 이렇게 파동 수신을 할 수 없게 된 나무에게도 강력하게 전해요. 세 ..

파 김치

파김치를 담그는 방법 쪽파 7단으로 파김치를 담글 때 들어가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쪽파 한 단은 대략 1킬로그램인데 다듬으면 100그램쯤이 줄어들어 900그램쯤이 된다. 쪽파 7단에 청양고춧가루 1.5킬로그램, 재래종 밭마늘 3킬로그램, 토종 생강 2킬로그램 곱게 갈아서 쓴다. 새우젓은 1킬로그램, 토판소금은 3킬로그램을 넣는다. 쪽파는 뿌리 부분이 둥글고 굵으며 잎이 굵고 짧은 것이 품질이 좋은 것이다. 가늘고 긴 것은 좋지 않다. 마늘은 서산, 단양, 제천, 삼척, 강화, 홍천 등에서 난 잘고 정확하게 육쪽이 나는 재래종 마늘이 좋고 남해안 지방에서 난 쪽수가 많은 마늘은 좋지 않다. 생강 역시 빛깔이 희끄무레하고 손가락처럼 자잘한 재래종 생강을 써야 한다. 재래종 생강은 봉동이나 서산 등에서 적은..

식물의 영강

감보다는 고욤, 참옻나무보다는 개옻나무, 개량종 복숭아보다는 야생 돌복숭아, 개량종 배보다는 산돌배, 포도보다는 머루, 키위보다는 다래가 수십 배 몸에 유익하고 영양소가 많으며 생명력이 충만하다. 산더덕과 사람이 키운 더덕은 산삼과 인삼만큼이나 차이가 난다. 보약이 아니라, 지치, 미나리, 잔대, 팥, 녹두 같은 해독제이고 도라지, 칡, 콩나물 같은 면역 강화제다. 야생식물은 생명력이 강하고 영양소가 풍부하다. 예를 들면 오이풀이라는 흔한 풀이 있다. 오이풀을 뜯어서 코에 대면 오이 냄새가 난다. 오이보다 오이 냄새가 더 진하게 난다. 오이풀에는 진짜 오이보다 미네랄이 50배 이상 많이 들어 있다. 재래종 오이가 화상치료에 명약이지만 오이풀은 재래종 오이보다 수십 배 화상 치료 효능이 높다. 오이풀은 위..

끼리끼리 ㆍ

남쪽에서 자란 나무는 남쪽 기둥으로 쓰고 북쪽에서 자란 나무는 북쪽 기둥으로 쓴다. 남쪽에서 햇볕을 많이 받으면서 자란 나무는 빨리 자랐고 재질이 무르므로 햇볕을 잘 받는 남쪽에 써야 쉬 상하지 않는다. 북쪽에서 자란 나무는 옹이가 많고 천천히 자랐으므로 재질이 단단하여 비바람이나 습기에도 잘 상하지 않으므로 북쪽에 쓴다. 사람의 몸도 이와 같다.

정원수 ..

동쪽에 복숭아나무와 버드나무 서쪽에 치자와 느릅나무, 남쪽에 매화와 대추나무 북쪽에 벚나무와 살구나무 모기의 피해를 없애기위해 구몬초를 심었고, 봉선화를 심으면 뱀과 개구리 등이 오지않아 담장 밑이나 장독대에 심었다. 남동쪽 : 옺나무, 버드나무, 매화나무, 대추나무, 오동나무, 뽕나무 ​ 남쪽 : 복숭아나무, 매화나무, 대추나무, 소나무, 오리나무, 참나무, 싸리나무, 굴피나무, 느릅나무, 진달래, 철쭉, 아카시아, 향나무, 가문비나무. 서쪽 : 산뽕나무, 느릅나무, 대추나무, 치자나무, 무화과, 석류, 은행, 백일홍, 오동나무. 북쪽 : 느릅나무, 벚나무, 개암나무, 진달래, 살구, 능금, 소나무, 은행, 느티, 해송, 팽나무, 가시나무, 참나무, 밤나무, 호두나무, 회화나무. 북서 : 소나무, 측백..

msg

MSG 뜻 (글루탐산 나트륨)- 건강과 화학조미료 관계, 섭취량 음식에 감칠맛을 내는 조미료 중에 화학조미료(MSG)는 가장 흔하고 대중적이며 간편한 양념중의 하나이다. 중국, 일본인도 등 세계의 대부분의 음식점에서 화학조미료(MSG)를 사용하고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MSG 뜻 MSG는 글루탐산나트륨의 영어 약어로 monosodium glutamate라 쓰고 MSG, 글루탐산, 글루탐산 소다,글루탐산나트륨 등으로 부른다. MSG 인공 조미료 원료로 쓰이는 화학물질로 화학식품 제조에 필수불가결한 조미료이다. MSG 역사 중국 요리에서 화학조미료(MSG)는 전통적인 것이다. 글루탐산은 동양의 요리사에 의해서 200년 이상 사용되어 왔으며 초기에는 물론 공장에서 만들어진 것은 아니였다. 처음에 요리사는 ..

날김을 주전부리로

?‍? 김은 뇌는 물론 머리카락까지 새 것으로 만든다. 나이가 들면 뇌가 노화되어 기억력이 약해져서 건망증이 오는데 하루 김 한 장이 이를 되돌릴 수 있다. ?‍♂️ 뇌세포에 독소가 쌓여 뇌가 산성화 되면 기억이 지워지고 인지력 이해력 등이 떨어진다. ?‍♀️ 기억력 저하는 대개 납이 몸속에 쌓여 납중독으로 인해 생긴다. 뇌세포에 기억을 기록하는 소자는 아연 인데 인체가 납과 아연을 구별 하지 못한다. ?‍♂️ 아연으로 기록한 것은 도장을 새긴 것과 같아서 오래 남지만 납으로 기록한 것은 마치 물에쓴 것과 같아서 즉시 지워져서 없어져 버린다. ?‍♀️ 김과 파래를 먹으면 기억력이 좋아지는 것은 식물성 유기 아연이 풍부하게 들어 있기 때문이다. ?‍♂️ 그런데 김이나 파래에 열을 가하면 아연을 비롯한 미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