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識/언어의 깊이 111

認識에서 知識으로

인식 > 지식 …;) 글쎄(?) 인식 < 지식 **_이것이 뇌 세포의 끼치는 영향은 어떨까 ? **_ᆢ어휘력이 줄어든다/ 늘어난다. **_명사와 특히 형용사의 어휘력 ᆢ명사가 줄어들고, 형용사 등등 **_ 거시기, 고유명사가 지워지는 현상,그게 뭐너라 **_의도적 훈련 ㆍ신간도서 또는 인문학, 철학 **_활용하는 빈도수에 따라 뇌세포는 ,. *생각의 유연함ㆍ어휘력 *형용사 어휘력ㆍ품어 보자 *접착제 기능 ㆍ촉각과 느낌

말의 장벽

말의 90%는 단지 관계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다.슬프다고 표현할 필요가 없다. 그냥 슬퍼하라.그대가 행복하다고 해서 굳이 말로 설명할 필요는 없다. 그냥 행복해 하라. ※ 행복이란 말은 영어도, 독일어도, 일본어도 아니다. 춤을 추는 그대를 보거나, 화가 나 있는 것을 보는 순간 이미 알아 차린다. 때론 행위가 말보다 훨씬 더 사실적이고 분명하기 때문이다. 굳이 말로 마음을 알릴 이유가 있을까? 얼굴과 몸, 어루만짐, 표정과 같은 몸짓을 이용해 그대 생각을 표현하도록 노력하라. 언어가 줄 수 없는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