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自然과의 窓 309

光주기가 뭔데..

하루 중 낮의 길이의 장단에 따라 식물의 꽃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하며, 광주기, 광주율, 일장효과라고도 한다. 낮이 짧을 때 꽃눈을 형성하면 단일식물이고, 낮이 길 때 형성하면 장일식물이고, 낮의 길이와 관계가 없으면 중생식물이다. 본문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가너는 1918년 광주기성에 대한 최초의 실험을 하였다. 작은 상자에 매일 오후 4시에 담배와 콩(대두)의 실험식물을 넣고 아침 9시에 꺼내어 매일 일조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했더니 콩과 담배의 꽃이 현저하게 빨리 핀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리하여 1919년 만생종(晩生種) 콩을 사용하여 4월 말에서 7월 말까지 3일 간격으로 파종하고 이들의 발아시의 차이와 개화시기를 조사하여 늦봄에 파종한 것도 한여름에 파종한 것과 거의 같은 시기인 9월 상순..

光周[期]

광주기성ᆢ photoperiodism , 光周期性 일조시간의 주기적 변동에 따라 생물의 물질대사·발육·생식·행동 등이 달라지는 성질. 본문 광주율(光週率) 또는 일장효과(日長效果)라고도 한다. 명기(明期) 또는 암기(暗期) 길이의 변화, 즉 광주기의 변화에 의해서 일어나는 생체의 반응성을 말한다. 식물의 꽃눈분화 유도반응에서는 연속적인 암기의 길이에 반응한다. 명기의 길이에 상관없이 암기가 일정시간(임계암기)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만 단일식물은 꽃눈을 분화하고, 장일식물은 꽃눈을 분화할 수 없게 되므로, 암기에서의 반응이 광주성 반응의 주체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또한 곤충이나 어류, 조류 등에서는 번식이나 휴면 등 여러 가지 생리활동이나 행동이 빛의 명암주기에 대해 반응한다. 동물의 광주기..

광주기성

광주기성ᆢphotoperiodism 생물이 낮이나 밤의 길이에 따라 보이는 생리학적 반응을 광주기성이라고 한다. 가장 잘 알려진 광주기성은 꽃피는 시기(개화시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줄기나 뿌리의 발달 또한 광주기성을 나타내며, 특정한 시기에 식물이 잎을 떨구는 현상도 밤낮의 길이의 영향을 받는다. 식물의 광주기성 광주기성은 하루 중 낮 또는 밤의 상대적인 길이를 뜻하는 광주기에 대한 식물의 발달 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식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광주기성은 밤낮의 길이에 따라 개화시기가 결정되는 현상이다.1)2) 식물은 영양기에서 개화기로 접어들 때 광주기성이 어떻게 영향을 주느냐에 따라 단일식물, 장일식물, 중일식물, 중성식물의 네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광주기성 개화와 관련하여 흥미로..

벛꽂 이야기

꽃구경 하면 왜 벚꽃이지? 세상의 꽃들이 다 아름답지만 벚꽃은 더 그렇다. 만발한 벚꽃 속을 거니는 감흥은 정말이지 느껴보지 않으면 모른다. ‘봄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 잎이 울려 퍼질’ 거리를 ‘단둘이 손잡고’ 걸으면 ‘알 수 없는 떨림’을 충분히 느낄 만하다.(’♡') 그런데 봄에는 수많은 꽃이 피는데 왜 꽃구경 하면 벚꽃을 첫손으로 꼽을까? 우리는 꽃들이 봄이면 ‘그냥’ 피는 거라고 여기지만 그렇지 않다. 살아 있음에는 ‘그냥’이 없기 때문이다. ‘그냥’ 살라치면 ‘그냥’ 사라진다. 꽃들의 세상에서도 남들과 똑같이 해서는 잘 살아남을 수 없다. 자신만의 전략이 있어야 한다. 우리가 아는 많은 꽃들은 크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 조금이라도 더 오래 피어 있으려 한다. 그래야 꽃가루받이를 해주는 벌과 ..

생합성

생합성(biosynthesis) 생물체 안에서 진행되는 동화반응(同化反應)의 총칭. 물질대사의 일부이다. 동화반응이란 간단한 화합물에서 복잡한 화합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말한다. 생합성에는 생체 추출성분에 의해 생체 밖으로 나타나는 반응도 포함된다. 생합성에는 효소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며 섭취된 물질은 많은 효소반응의 단계에 따라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물질이 만들어진다. 생합성의 결과는 단백질 · 지질 · 핵산 · 호르몬 · 아미노산 등의 물질 뿐만 아니라 세포질이나 리보솜 같은 구조물도 형성된다. 이러한 생물체의 생장 · 증식에 필요한 생체구성물질 이외에도 필요한 성분의 합성 · 보급 · 저장에도 관련된다. 따라서 생리적으로는 복잡한 물질을 간단한 물질로 분해하는 이화과정(異化過程)과는 반대의 의미를 ..

가뭄ㆍ먼지ㆍ비가 그립다.

매우(梅雨) ​ 비의 종류 달콤한 이슬, 감로(甘露)에 비를 비유한 경우가 우선 눈에 띈다. 보배로운 이슬, 보로(寶露)도 그렇다. 그러나 마냥 좋지만은 않다. 벌판을 거세게 달리는 말처럼 땅을 뒤흔들 듯 내리는 소낙비는 취우(驟雨)다. 분우(盆雨)라고 적는 비도 있다. 물동이를 쏟아붓듯 내린다는 '경분대우(傾盆大雨)'의 준말이다. 방타(滂沱)는 비가 마구 쏟아지는 모양을 형용한 말이다. 역시 아주 큰비, 대우(大雨)를 일컬을 때 흔히 등장한다. 땅이 잠긴다는 뜻에서 적는 수료(水潦)라는 단어도 큰비의 하나다. 음우(霪雨)와 음우(陰雨)는 과하게 오래 내리는 비다. 땅을 충분히 적실 정도로 내리는 비는 투우(透雨)다. 땅을 헤집고 들어가는 빗물, 투지우(透地雨)의 준말이다. 사흘 이상 이어지면 임우(霖雨..

한울 농원에서

※ 냇가의 둑에서 자라는 것처럼 무조건 높이 심으면 나무가 잘 자란다. 나무의 생리적 특성 1. 육성기(영양생장) 이때는 꽃이 피지 않고 나무를 키우는 시기로 양분이 많아도 꽃이 피는 시기가 아니므로 웬만하면 비료를 주어도 괜찮다. 2. 꽃을 피우는 시기 (생식생장) 열매를 맺으면서 나무도 자라게 되므로 아주 적절히 양분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안된다. (1) 질소질이 너무 많은 경우 : 열매쪽에 양분을 더 주고 나무가 자라게 된다. 지금 대부분의 과일나무 포장은 너무 많은 비료를 주고 수분이 보급되어 열매쪽보다는 나무 쪾에 더 많은 에너지를 주게 되어 열매가 더 크게 되지도 않을 뿐만아니라 잘 익지도 않게 된다. 그러면서 새로운 햇가지만 무성하게 된다. (2) 기본적으로 양분을 섭취하여 자식에게 먼저 대..

24계절 ㆍ영문 표기

'Seasonal days' 봄(Spring) 입춘 (Advent of spring) - 봄이 시작됨 우수 (Rain water) - 대동강물 녹음 경칩 (Stirring of insects) - 개구리가 놀람 춘분 (Vernal equinox)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음 청명 (Clear and bright) - 날씨가 맑고 밝음 곡우 (Gain rains) - 벼가 잘 자라는 비가 옴 여름 입하 (Advent of summer) - 여름 시작 소만 (Growing grain) - 곡물이 작게 부풀어오름 망종 (Maturing grain) - 씨 뿌리는 시기 하지 (Summer solstice) - 일년 중 낮이 제일 긺 소서 (Minor heat) - 약간 더움 대서 (Major heat) - 매우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