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 825

벨벳콩

벨벳콩, 논밭 잡초 제거와 유기물 공급에 유효 2세기가 넘는 동안 농민들은 잡초를 관리하고 논밭에 필요한 유기물의 공급을 위해 벨벳콩(velvet beans)을 재배해 왔다. 그러나 1950대년 중반 이후부터 도로 사정이 좋아지고, 화학물질이 싼 가격에 공급됨과 더불어 벨벳콩 재배가 거의 사라진 실정이다. 현재 미국 조지아대학(University of Georgia) 연구원들은 이러한 각도에서 벨벳콩에 대한 연구를 다시 진행하고 있다. 미국에서 벨벳콩에 대한 약학적 용도로의 사용은 매우 새로운 일이라 할 수 있지만, 이미 사람들은 우울증에서 뱀에 물린 데까지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는 데 벨벳 콩을 사용해 왔다. 벨벳콩이 가지고 있는 약효는 바로 도파민(dopamine)의 전구물질인 높은 농도의 L-dop..

당귀

당귀 키우기 재배법 파종 수확 심는시기 1) 당귀 재배 특성 1. 당귀는 크게 참당귀와 왜당귀로 나뉜다. 왜당귀는 일당귀 또는 잎당귀라고도 부른다. 참당귀는 야생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뿌리를 먹고, 왜당귀는 대개 잎을 먹는다. 2. 왜당귀는 직파, 육묘 모두 가능하고 생명력이 강해 재배하기 쉽다. 또한 독특한 향으로 입맛을 돋우며 몸에 좋은 작물로, 특히 여성을 위한 약초라고 할 만큼 부인과질환에 많이 이용되는 채소다. 2) 당귀 발아와 파종 당귀 씨앗에는 발아 억제 물질이 있어 발아가 까다롭다. 야생에서는 씨앗이 떨어지면 겨우내 얼었다 녹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발아 억제 물질이 제거되어 봄에 싹이 튼다. 그냥 파종하면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거나 발아기간이 상당히 길어진다. 그러므로 인위적으로 발아 억제..

고수

고수를 재배하는 방법 고수 (Coriandrum sativum)는 아시아 혹은 라틴 음식에서 자주 사용되는 짙은 초록색 잎 허브이다. 코리안더 혹은 중국 파슬리라고도 알려져 있다. 고수는 재배가 어렵지 않다. 서리가 내리기 전에 씨앗을 토양에 바로 심을 수 있으며, 화분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방법 1 의 2: 정원에서 고수 재배하기 Grow Cilantro Step 1 이미지 1 일 년 중 시기 지정하기. 고수를 재배하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는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수는 추운 기후를 이겨낼 수 없으며, 심하게 더운 열기도 좋아하지 않는다. 온화한 기후라면, 3월이나 5월(북반구) 사이의 늦은 봄에 심어주는 것이 가장 좋다. 열대 지역이라면 가을처럼 시원하고 조금 더 건조한 기후가 더 ..

막걸리바댝에덩어리

?️ 장수막걸리 흰색 뚜껑은 국내산 백미, 녹색 뚜껑은 수입산 백미다 , ?️ 칼로리가 낮다 술 100ml를 기준으로 와인의 칼로리는 70~74kcal, 소주는 141kcal, 위스키는 250kcal 정도다. 이에 반해 막걸리는 1잔에 40~70kcal로 다른 술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 이왕이면 흔들어 먹는 것이 좋다 지난해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하 재호 박사 연구팀은 막걸리 아래 가라앉은 부분에 항암물질인 '스쿠알렌'과 '파네졸'이 많이 들어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곡물을 찐 다음, 물과 누룩을 섞어 발효시킨 뒤 시간이 지나면 맑은 술과 쌀알이 위로 뜬다. 이 윗부분을 퍼내 담으면 '동동주'가 된다. 이와 달리 '막걸리'는 술이 발효된 뒤 찌꺼기를 걸러내고 물을 섞어가며 휘휘 저은 ..

녹두

녹두로 만병을 다스린다 무엇이든지 빛깔이 푸른 것은 해독제로 좋은 기능이 있다. 그래서 수은이나 납 같은 중금속에 중독되었을 때나 비상에 중독되었을 때 녹두죽을 먹으면 중독이 풀린다. 녹두는 껍질에 해독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약으로 쓸 때는 껍질을 벗기지 않고 쓴다. 녹두는 껍질은 푸르지만 속은 노랗다. 노란 속에는 천연 유황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 그러므로 녹두는 훌륭한 해독제인 동시에 면역강화제이며 염증 치료제이다. 구내염이나 잇몸이 곪아서 퉁퉁 붓고 아프며 피나 고름이 나는 데에는 녹두를 거칠게 빻아서 물로 끓여서 그 물을 입에 5-10분가량 물고 있다가 천천히 삼키기를 여러 번 반복하면 잘 낫는다. 녹두로 기른 숙주나물도 해독제로 아주 좋다. 덜 자라서 싹이 손가락 길이만큼 되는 것은 좋지 않고 ..

흙이 생명이다.

좋은 흙을 만드는 방법은 숲의 방식을 따라하면 된다. 숲은 자신의 낙엽을 계속 흙 위에 덮어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생명농업 농부도 그런 숲의 방식을 따라 해주면 된다. 낙엽이나 풀 혹은 각종 농업부산물이나 왕겨나 톱밥, 볏짚이나 밀짚 보릿짚 또는 작은 나뭇조각(우드칩) 등 식물성 잔재들을 두둑에 흙이 보이지 않게 덮어주기만 하면 된다. 그런 식물성 잔재들은 미생물의 집이 되어 많은 미생물들이 들어와 살 수 있게 된다. 미생물들이 많아지면 먹이사슬로 인해 선충과 지렁이와 작은 곤충과 생물들이 살 수 있는 땅이 되어간다. 그렇게 미생물과 작은 생명체들이 잘 살게 하려면 농약과 비료와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토착미생물을 배양하여 좋은 퇴비를 만들어 흙속에 넣어주거나 풀을 덮어준 위에 적당량을 뿌려주어..

흙 이 란 ?

우사는, 흙에게 물을 주는 역할하며, 운사는 태양이 스스로 빛을 조절하지 못하니 풍백 즉,‘바람 풍(風), 우두머리 백(伯)’ ~ 한자 바람 풍을 살펴보면 바람 안에 벌레가 있는 듯 한 형상을 보이는데, 이는 땅속에 바람을 집어넣어 생명력을 불어 넣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토양 안은 공간이 매우 좁고 그 안에 있는 공기는 미생물들이 숨을 쉬기에는 턱없이 부족한데, 이 비좁은 토양 속에 공기 순환을 시켜주는 역할을 바람이 하기 때문에 토양 미생물이 살 수 있다고 한다. 바람이 통하는 통기성과 물이 잘 통하는 배수력은 공극이 커야하며, 물을 먹금을 수 있는 보수력은 공극이 작아야 한다고 한다. 배수력과 보수력은 서로 다 가능한 것은 모순적인 구조라 불가능하지만, 토양에서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떼알구조..

조리방법

식품의 조리방법은 크게 굽기, 끓이기, 수육, 편육, 찜, 조리기, 지지기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돼지고기는 부위에 따라 쓰임새에 조리법이 다르므로 용도에 맞는 알맞은 부위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조리과정에 따라 맛과 색상, 모양에 차이가 나게 되므로 조리 요령을 잘 파악하여야 더욱 맛있는 돼지고기를 즐길 수 있다. 굽기(구이, 스테이크) 부위 : 안심살, 삼겹살, 목심살, 갈비 ① 돼지고기는 완전히 잘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본래의 맛을 잃지 않도록 젓가락으로 눌러보아 탄력이 있을 때까지만 굽도록 한다. ② 처음엔 센 불로 양면을 바싹 구워 육즙이 흘러나오지 않게 한 다음 약한 불에서 서서히 익힌다. ③ 구울때 자주 뒤집으면 육즙이 빠져나와 고기가 뻣뻣하고 맛이 없다. 불고기 부위 : 앞다리..

고기 ᆢ 굽기

굽기 전 양념에 재우기 고기를 굽기 전 맥주나 와인 또는 허브양념장에 고기를 두 시간 정도 재우자. 그러면 고기 구울 때 이종고리 아민 생성이 크게 줄어든다는 연구가 '농업과식품화학' 저널에 실린 바 있다. 이종고리 아민은 발암물질의 일종으로 고기 속 아미노산이나 크레아틴이라는 물질이 177℃ 이상의 불을 만나면 생긴다. 고기를 미리 재우면 이종고리 아민 생성을 90~100%까지 막을 수 있다는 미국 연구도 여럿 있다. ​ 허브에는 특히 타이몰, 페놀 등의 항암 성분이 들어 있어서 몸속에 고기가 들어갔을 때 엔니트로소 화합물이라는 발암물질이 생기는 것도 막아 준다. 허브양념장은 타임, 민트, 세이지, 로즈마리, 오레가노, 바질 같은 허브를 짓이겨 즙을 낸 뒤 레몬 즙이나 와인, 식초와 섞어 만들면 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