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 825

움직임은 확실한데 ㆍ눈치가 전무

‘프랑세’에 의하면 움직임이 없는 식물은 없다고 했는데 식물의 성장 자체가 일련의 움직임으로서, 식물은 부단히 굽히고 방향을 바꾸고 흔들리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하며 여름철에는 낙원같은 나무 그늘로부터 뻗어 나온 수천개의 작은 가지들이 자기들을 받쳐줄 줄기들이 자기들 밑에서 빨리 자라기를 바라면서 몸을 떤다고 했습니다. ​ 포도나무 덩굴손(약 27분만에 한 바퀴의 원을 돔)은 어떤 버팀대를 발견하며 20초안에 그것을 감싸기 시작하여 1시간내로 떼어내기 힘들 정도로 단단히 붙들어 맬수 있습니다 끈끈이주걱은 먹이감이 있는 곳으로 정확이 이동하여 백발백중의 실력으로 파리를 잡습는다. ​ 어떤 기생식물은 아무리 미약한 냄새라도 재빨리 알아채고는 그 먹이가 있는 쪽을 향해 모든 장애물을 헤치고 나아갑니다. 어떤 식..

난해와 흥미

식물은 방어 전략의 귀재 1. 잎과 어린 줄기의 두꺼운 표피는 작은 무척추동물들에게는 잘 소화되지 않으며 뚫고 들어가기가 어렵습니다 ​ 2. 식물 표피세표의 털은 부드럽지만 무척 많아서 작은 무척추동물은 담요같은 층을 통과하기 어렵고 좀 더 쎈 털의 경우, 짧고 뻣뻣하고 날카롭고 때로는 고리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어 연약한 무척추동물에게 상처를 입힐수도 있습니다 ​ 쐐기풀속 식물들은 자모(sting hair)라고 하는 특수한 털(히스타민 또는 세로토닌 성분의 물질이 가득 참)로 동물들이 스쳐 지나갈 때 자모의 약한 끝부분이 떨어져 나가면 주삿바늘처럼 액체가 주입되어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한다 3. 피침(날카롭고 쉽게 박히는 갈고리 형태)은 큰 척추동물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한 훨씬 더 강력한 방어책인데 초식..

C3, C4, CAM

C4 식물 옥수수 사탕수수 조 기장 조는 척박한 땅에서도 매우 잘 자라고, 성장 속도가 무척이나 빠른데다가 특히나 건조함에 대한 내성이 커서 가뭄이 들어도 수확이 가능한 거의 유일한 작물이었다. 조가 이처럼 건조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것은 벼나 쌀과는 조금 다른 조의 광합성 과정에 숨어 있다. 엽록소를 가진 식물은 모두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포도당을 합성해 살아간다. 하지만 포도당 합성의 세부 과정은 조금씩 다르다. 광합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따라 식물은 다시 C3 식물, C4 식물, CAM 식물로 나뉜다. 기본적인 광합성 과정은 빛 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의 원소를 분해, 결합시켜 포도당과 산소로 바꾸는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들을 광합성 중간산물로 PGA라는 탄소(C) 3개..

어렵지만 재미도 솔솔하다

증거로 형제와 화분을 공유하는 식물은 온화한 태도로 함께 성장한 반면 .. 관계없는 식물과 화분을 쓴 식물은 경쟁적으로 양분을 흡수했다. “예전부터 피가 섞인 동물 간 배려가 존재한다는 것은 알려졌지만 식물에게서 이런 경우가 발견된 것은 처음입니다.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 수잔 더들리 박사가 말했다. 화분에 심어진 식물은 양분과 수분을 찾아 뿌리를 내린다. 같은 종과 화분을 쓰는 식물은 다른 종과 자라는 식물에 비해 덜 경쟁적인 태도를 보였다. 같은 어미에게서 난 식물들을 한 화분에 심을 경우 이 식물들은 무조건 양분을 향해 뿌리를 뻗는 본능을 억누르고 서로를 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형제가 크도록 뿌리 내릴 자리를 양보했다. 실험에 쓰인 식물들은 오로지 화분을 공유할 때만 실험 결과대로의 반응을 보..

식물에게 말걸기

The Secret Life of Plants ​ 그 중 한 실험에서, 연구원들이 세 나뭇잎을 유리그릇에 넣고 그중 두 조각에게는 매일 아침마다 쳐다보며 마음속으로 그것들이 계속 살아가기를 희망했습니다. ​ 나머지 한 나뭇잎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후, 관심을 받지 않는 나뭇잎은 곧 누렇게 말라 버렸으나 축복을 받은 두 잎은 생기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또 어떤 사람은 이런 방법으로 나뭇잎이 2개월 동안 시들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 이것은 사람이 내보낸 생각은 일종의 물질이며 에너지가 있다는 이론을 확인해 줍니다. ​ 사람의 생각이 식물의 에너지 장과 소통하면서 식물은 모종의 에너지를 보충하여 이 때문에 살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식물이 내보낸 에너지도 사람에게 이익이 ..

crescograph

'(crescograph) ​ 식물은 일정한 리듬의 파동을 되풀이하면서 성장한다는 사실과 어떤 식물은 건드리기만 해도 그 성장이 지연되거나 심지어 중단되기도 하며 어떤 것들은 성장이 더디거나 침체돼 있을때 손으로 자극을 주면 오히려 성장을 촉진시킬수 있다는 획기적인 사실을 밝혀냈는데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식물의 성장이 빨라지는가 늦어지는가를 즉각적으로 알아내기 위해 밸런스드 크레스코그래프(Balanced crescograph)-1초에 15얼분의 1인치 단위의 초극소 단위의 성장률 탐지-를 고안했고 끈끈이주걱의 촉수나 기타 주머니 모양의 식충식물의 섬모가 동물의 위장형태의 운동을 한다는 것과 빛에 대한 잎사귀의 반응은 동물의 시신경이 있는 망막의 반응과 같고 물리적 반응에 아주 민감한 미모사든 둔감해 보이..

삽목 ㆍ접목ㆍ취목법

삽목(揷木)․접목(接木)․취목법(取木法) 내용 □ 옛기술 및 지혜 「촬요신서(撮要新書)」에 삼목법을 이른 기술내용은 “3월 상순에 과목의 곧은 가지로 손가락 굵기의 것을 골라 5치 정도로 갈라서 순무 뿌리에 꽂아 땅에 심어 두면 종자로 파종한 것보다 좋다. 종자로 파종한 것은 3~4년이 지나야 가지로 심은 것만큼 자란다”고 한 것이었다.1) 「촬요신서(撮要新書)」에 접목법을 이른 내용으로 “접수는 모름지기 남쪽 얕은 가지에서 취하고 그 시기는 물이 오를 때가 좋으며 해거리하는 과목에 접목하면 많이 열리게 된다. 복숭아 나무에 오얏나무 가지를 접목하면 과실이 붉고 맛이 달지만, 오얏나무에 복숭아 가지를 접목하면 별 변화 없이 복숭아가 된다”하였고 또 “감나무는 세 번 접을 붙여도 무방하다. 모든 나무는 암..

水昇火降支村 2021.06.05

식물과 곰팡이

식물이 땅에 살게 도와준 착한 곰팡이 물에서 육지로의 진출을 도와 2017년에 발표된 논문에 삽입된 그림으로, 식물이 수지상 균근균(AM)과 공생을 하면 (오른쪽), 물과 여러 무기질의 흡수가 용이해진다는 것을 설명한다.©Jacott et al. 2017 태초의 식물은 물속에서 살았다. 지금 육지에 번성한 식물은 4억 5천만 년 전에 물에서 땅으로 이주해온 것이다. 수중에서 진화해 살던 식물이 땅에 적응하기는 쉽지 않았는데, 물속에서와 달리 건조한 대기와 자외선, 양분이 많지 않은 환경에 적응해야 했기 때문이다. 육지 식물의 80%가 수지상 균근균(arbuscular mycorrhizal fungi)과 공생관계를 이루고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곰팡이의 공생 공생은 서로 다른 종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