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 825

조리할 때

* 시금치를 데친 물은 기름기를 없애는 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시금치 물은 높은 온도에서 3-4분 데쳤을 때 가장 좋다) 생활폐수를 없애는 데 도움이? * 김치를 담그기 전에 계란껍질을 깨끗한 가제에 싸서 독 속에 넣으면 김치가 잘 쉬어 지지 않는다. 또한 이미 쉬어진 김치에는 깨끗이 씻은 조개껍데기를 넣어두면 한나절도 지나지 않아 신맛이 없어질 것이다. * 겨울 김치를 봄까지 맛이 변하지 않게 하려면 김장을 담글 때 밤이나 도토리잎을 김치독 밑에 10㎝정도 깔고 김치를 담아 놓으면 된다. 밤이나 도토리 잎이 알카리성이기 때문에 김치가 시어지는 산성과 합하여 중성이 되어 맛이 변하지 않는 것이다. * 맛있는 동치미 만드는 법 동치미에 배를 넣을 때 껍질을 벗기지 말고 그대로 깨끗이 씻어서 몇군데 칼집..

‘반격할 수 있을까?

식물의 구조신호, 벌레는 효소로 차단 과학자들은 토마토 과일 벌레라고 불리는 애벌레가 토마토와 잎을 갉아 먹을 뿐만 아니라 효소가 가득한 침을 토마토에 묻혀 토마토가 도움을 청하는 능력을 방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토마토가 식탁으로 올라오기 전까지 사람들은 토마토가 얼마나 공포 영화 같은 위험을 지나왔는지 잘 모를 것이다. 토마토를 먹어 치우려는 벌레에 맞서 토마토는 목숨을 걸고 저항하지만, 벌레는 이 저항을 무력화시키려는 반격을 퍼붓는다. 발이 없어 도망치지 못하고, 입이 없어 소리치지 못하지만, 식물도 위험에 빠지면 자기 방식대로 저항한다. 과학자들은 수십 년 전부터 위험에 빠진 식물이 도움을 요청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공격을 받으면 식물은 화학적인 조난 신호를 방출하여 동료들에게 일종의 방어 태..

거주의 의미 찾기,

거주의 의미 찾기, 실존 철학 관점에서 거주가 ‘현 존재’, ‘있음’을 의미하듯, 거주지를 정비하는 것은 현재의 자신에 대한 점검이며, 거주 세계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내포한다. 특히 집의 기능이 외부 지향적으로 확산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집의 기본 기능은 강화하되 외부의 기능이 집 안으로 역이동하는 패러다임 전환은 이례적이다. 따라서 곧 다가올 미래의 집과 공간은 마치 영화 속 트랜스포머 로봇처럼 쉽게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간 정형화된 방법으로 구조화된 내부 공간, 값비싼 노동력과 건축비용이 투입돼 섣부르게 변화를 줄 수 없었던 집. 이들이 이제는 빠르고, 가볍게,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이것은 새로운 니즈다, 거주의 ‘0’, ~ / 회규로 거주(居住)는 ‘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水昇火降支村 2021.03.07

말씀은 파동이지요

자연음악 노래를 부르는 법 벚꽃 노래를 하려면 벚꽃하고 얘기를 해봐야 되구요. 가끔 노래를 부르러 갔는데 노래를 부르면 뭔가 참 좋고 굉장히 순수해지는 걸 느낄 수 있었어요. 그래서 제가 “그래도 저 나무 잎들은 파랗지 않니, 이쁘잖아?”라고 물었더니 사람의 파동이 높아지고 동시에 이 파동을 듣고 식물들이 굉장히 좋아한답니다. 식물이란 존재들은 전체가 하나라고 합니다. 치유파동이라는 게 뭡니까? 인간은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고 나무는 이것을 산소로 바꾸어 공급하죠. 그건 물질 산소예요. 그런데 더 중요한 것은 파동산소지요. 그걸 치유파동이라고 합니다. 물질산소가 아니라 보이지는 않지만 그것 때문에 우리는 항상 유지되고 있거든요. 자연음악을 하면서 배운 건데 식물이라는 것은 나쁜 건 조금도 생각을 안한다는 거..

오이를 심어야 하는 이유

1. 오이는 사람이 하루에 필요한 영양소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오이 한 개는 비타민B1, B2, B3, B5, B6, 비타민C, 엽산, 칼슘, 철분,마그네슘, 인, 카리, 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다. 2. 가령, 오후에 피로를 느낄 때는 카페인이 들어있는 소다수(콜라등)보다는 오이 하나를 먹는것이 낫다. 오이는 비타민B와탄수화물을 섭취할 수 있어서 속히 원기를 회복하고 몇시간 지탱할 수있다. (오이 샌드위치) 3. 샤워를 하고 나서 옥실 거울에 뿌연 김이 서리는 것이 싫으시면 오이를 가로 로 썰어서 거울 표면에 문질러 주면 김이 말끔히 가시고 스파처럼 상쾌한 향기가 풍깁니다. 4. 텃밭과 화단에 굼뱅이와 달팽이가 창궐하면, 납작하고 빈 알루미늄 깡통 속에 가로 썬 오이를 몇 쪽씩 넣어 두면 여름 한철 ..

자연의 숨소리

아지랑이와 식물의 수증기와 그리고 산소는 생물이 그 숨결을 서로 내뿜는 기운이다. 아지랑이와 티끌 - 진애(塵埃)는 먼지와 같은 바람이다. 아지랑이 같은 기운은 생명들의 숨결이 불어 올린 것이다. 숲이 있는 골짜기에는 안개나 아지랑이 같은 기운이 서려 있지만 생명이 별로 없는 사막 같은 곳에는 아지랑이 같은 기운이 생기지 않는다. 아지랑이 같은 것은 식물이나 동물들이 뱉어내는 숨결이 햇볕으로 인해 증발하여 생긴 것이다. 숲에서 생기는 기운은 나뭇잎에 들어 있는 수분이 햇볕과 바람에 증발하여 생긴 것이다. 몸속에 산소가 부족하고 이산화탄소 같은 가스가 차면 병이 난다. 뱃속에서 생긴 가스가 뇌로 올라가면 뇌에 산소가 모자라서 두통이 생긴다. 모든 생명은 기운은 산소이다. 푸른 것은 생명의 빛깔이고 산소의 ..

水昇火降支村 2021.02.26

자연에게 말걸기

..............식물의 파동 자연의 소리에는 모양이 있다.........(?) 파도, 소용돌이, 나선, 소라조개 같은 여러 가지 모양 // 기(氣) - 기운의 흐름과 일치하며, 氣를 초감각적으로 시각화 또는 청각화하고 있다. 만물과 인간은 어떤 관계일까? 가제오는 말하고 있다. “식물이 내는 파동이 우리에게 소리(음악)으로 들리는 것 같다. 파동을 내고 그 파동으로 음을 겹치게 하여 무한히 많은 곡을 만들어요. 그것은 파동을 고르게 해요. 같은 레벨의 파동과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요. 나무의 텔레파시 능력, 자연계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나무의 본능, 그것이 치유 파동 그것을 돕는 것이 땅과 돌, 물의 파동이예요. 예를 들어 벚꽃은 이렇게 파동 수신을 할 수 없게 된 나무에게도 강력하게 전해요. 세 ..

파 김치

파김치를 담그는 방법 쪽파 7단으로 파김치를 담글 때 들어가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쪽파 한 단은 대략 1킬로그램인데 다듬으면 100그램쯤이 줄어들어 900그램쯤이 된다. 쪽파 7단에 청양고춧가루 1.5킬로그램, 재래종 밭마늘 3킬로그램, 토종 생강 2킬로그램 곱게 갈아서 쓴다. 새우젓은 1킬로그램, 토판소금은 3킬로그램을 넣는다. 쪽파는 뿌리 부분이 둥글고 굵으며 잎이 굵고 짧은 것이 품질이 좋은 것이다. 가늘고 긴 것은 좋지 않다. 마늘은 서산, 단양, 제천, 삼척, 강화, 홍천 등에서 난 잘고 정확하게 육쪽이 나는 재래종 마늘이 좋고 남해안 지방에서 난 쪽수가 많은 마늘은 좋지 않다. 생강 역시 빛깔이 희끄무레하고 손가락처럼 자잘한 재래종 생강을 써야 한다. 재래종 생강은 봉동이나 서산 등에서 적은..

식물의 영강

감보다는 고욤, 참옻나무보다는 개옻나무, 개량종 복숭아보다는 야생 돌복숭아, 개량종 배보다는 산돌배, 포도보다는 머루, 키위보다는 다래가 수십 배 몸에 유익하고 영양소가 많으며 생명력이 충만하다. 산더덕과 사람이 키운 더덕은 산삼과 인삼만큼이나 차이가 난다. 보약이 아니라, 지치, 미나리, 잔대, 팥, 녹두 같은 해독제이고 도라지, 칡, 콩나물 같은 면역 강화제다. 야생식물은 생명력이 강하고 영양소가 풍부하다. 예를 들면 오이풀이라는 흔한 풀이 있다. 오이풀을 뜯어서 코에 대면 오이 냄새가 난다. 오이보다 오이 냄새가 더 진하게 난다. 오이풀에는 진짜 오이보다 미네랄이 50배 이상 많이 들어 있다. 재래종 오이가 화상치료에 명약이지만 오이풀은 재래종 오이보다 수십 배 화상 치료 효능이 높다. 오이풀은 위..

끼리끼리 ㆍ

남쪽에서 자란 나무는 남쪽 기둥으로 쓰고 북쪽에서 자란 나무는 북쪽 기둥으로 쓴다. 남쪽에서 햇볕을 많이 받으면서 자란 나무는 빨리 자랐고 재질이 무르므로 햇볕을 잘 받는 남쪽에 써야 쉬 상하지 않는다. 북쪽에서 자란 나무는 옹이가 많고 천천히 자랐으므로 재질이 단단하여 비바람이나 습기에도 잘 상하지 않으므로 북쪽에 쓴다. 사람의 몸도 이와 같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