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이 없는 녀석들 594

The Energy of Awakening』에서

ㅣ에너지에 깨어있기ㅣ우리가 자신을 느끼고 관찰하기 시작하면 에너지를 얼마나 낭비하고 있는지 알게 되며, 특히 자기 이미지를 심거나 보호하기 위해 어마어마한 에너지를쓰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그러나 지금 여기에 머무르면 그러한 분투와 긴장에 낭비되던 에너지가 현재에 머무르도록 자양분을 줄 것임을 보여준다.우리는 대개 에너지의 변형에 관한 전통적 개념들, 특히 차크라나 경락, 채널, 에너지 센터 등과 같은 개념들에 대해서 친숙하기는 하지만 일상에서 에너지의 미세한 형태들을 의식적으로 알아차리는 경험은 거의 하지 못한다. 보통 에너지가 부글부글 끓어오를 때나 완전히 소진되었을 때 또 명상하거나 격렬한 육체노동을 할 때만, 우리는 어느 상태에 있는 에너지를 인식한다. 인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그 외의 시간..

세로토닌과 臟

[] 세로토닌의 90%는 장에 있다. ..^^ 《행복할 때 뇌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예상하지 못한 보상은 도파민 분비량이 오랫동안 증가한다. -------------엔돌핀의 기능은 기쁨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방지하는 것이다.-------------옥시토신의 가장 확실한 역할 중 하나는 출산과 모유 수유 때 다량 분비된다는 점이다.-----------장은 복잡한 신경계를 가지고 있다. 세로토닌의 90%는 장속에 있다.------------자극적인 곳에 살면 창조력이 향상된다. ------------자연환경이 있으면 뇌가 휴식을 취하고 원기를 되찾고, 에너지를 보충하고, 연결고리를 강화시키고, 인지력을 높이며, 기분을 향상시킬 수 있다.------..

optogenetic effect

광유전효과신경세포에 해조류에서 추출한 채널로돕신2 라는 단백질을 바이러스를 이용해서 넣은 다음 특정한 파장의 빛을 쪼이면 단백질이 발현된 신경세포의 활동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광유전효과"의 발견 //빛은 직진ᆢ소리를 사용해서뇌를 자극할 수 있다.// 머리 밖에서 우리가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초음파를 한 곳에 집중시키면 음파가 집중된 부위의 뇌의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심지어뇌공학자들은 뇌의 감각 중추를 소리로 자극해서 손, 팔, 다리의 감각을 느끼게 하려는 연구]뇌 자극 기술 ; ▪︎뇌의 깊은 부분은 감정이나 기억을 담당한다.▪︎직진성이 높은 마이크로파 빔을 뇌의 한 부위에 집중시키면 그때 생겨나는 에너지가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마이크로파..

제목이 없다라고 하면, 이 글도 거짓말?

; 인간은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한다 - ?​정치인은 기만하고,장사꾼은 사기 치고, 언론은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어떤 의사들은 순 돌팔이(!) 인터넷을 통해 우리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쉽게 얻고, 쉽게 공유한다. (공짜 ~ ?) 무엇이 진실인지 가늠할 수 없는 시대, 우리 인간은 왜 거짓말을 하는 걸까? ※ 왜 진실보다 거짓 정보에 더 잘 휘둘리고, 심지어 거짓말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도 곧이 인정하지 않는 걸까? ᆢㆍ?​​​거식증도 거짓말에서 온다.​​​무서운 일이구나.​소문과 거짓소문이라는 것은진실보다는 거짓에 더 가까운 경우가 많다.​

자극과 감각의 세계

지금 이 순간은 자극을 받는 것에 집중하는 감각의 세계이며, 과거가 개입되면 그것이 지각, 무언가를 "안다는 것"임을 말한다....:) 자극과 감각 작용은 온전히 지금 여기에 존재한다. 이와 완전히 대조적으로, 지각은 결코 온전히 현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각은 온전히 뇌의 작용이다.※ 하나의 물건은 끝나고 다른 물건은 시작되는 지점은 어디일까?..., 경계는시각에도, 청각에서도, 이해하고 있는 언어를 듣고 있을 때, 우리는 각 단어의 시작과 끝을 감지한다. 만약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없을 때 글로 나타내면 단어와 단어 사이를 띄워 여백을 두는 것이다.우리 뇌는 이와 같은 여백을 청각적으로 감지하는 법을 배운다.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는 것이다.시작과 끝을 듣는다?긍정의 ..

involuntaryᆢ 신경 체계

**_들숨의 감각을 알아차리면서 ‘들숨’이라고 이름 붙이고, **_날숨의 감각을 알아차리면서 ‘날숨’이라고 이름 붙이는 과정을 ᆢㆍ반복해 보라. 그 정신적 이름표는 배경에 머물게 하고, 호흡 자체의 직접적인 느낌에 대부분의 주의력을 집중시켜 보라. 단순한 행위가 주는 위대한 효과, 주의력 이탈은 한 번이나 두번 정도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고대 문헌들은 집중의 과정을 야생 동물을 길들이는 것에 비유하곤 한다. 집중력이 커질수록 마음과 몸은 이완되기 시작한다. 단일 대상에 대한 집중이 강력할 때, 신경 체계는 이완 모드로 전환된다. 심장 박동은 느려지고, 신진 대사율은 감소하며 소화 능력은 강화되고, 걱정 및 동요와 연관된 두뇌 활동은 잦아 들게 된다.집중처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