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自然과의 窓 309

지구의 식물

지구의 식물은 얼마나 건강할까? [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Living Planet Programme (9) - FLEX 미션 형광량 측정 – 식물은 얼마나 광합성을 잘하고 있을까? 식물의 엽록체(chloroplast) 안 엽록소(Chlorophyll)에서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물을 분해하고 (명반응이라 일컬음)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서 (암반응이라 일컬음) 유기 양분인 포도당과 산소를 만드는 과정을 광합성(photosynthesis)이라고 한다. 이처럼 식물은 산화 환원 반응을 수반한 광합성을 통하여 에너지원을 얻는다. 이는 에너지를 생성하는 동물의 호흡 과정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호흡은 전자가 탄수화물로부터 이탈되면서 에너지 준위가 낮은 방향으로 이동되고 안정된 물 분자를 형성하기에 에..

타히보

아마존의 약초 타히보 ​ 1. 톱야자열매: 전립선 비대증 2. 개똥쑥- 말라리아 좌상(말라리아: 개똥쑥에서 분리해 낸 아르테미니신) 3. 스페인감초: 위궤양 4. 야생상추: 통증(화상),수면장애, 마른기침, 손상된 폐, 우울증, 식욕저하, 갈증, 열, 화 5. 천남성: 중풍, 고혈압 6. 겨우살이, 비파잎, 자연산 버섯류(상황버섯 등등): 암 ​ 7. 덩굴마늘: 말라리아예방, 건강증진, 활력유지, 근육통증, 관절염, 장티푸스 8. 민트: 감기, 전염병, 9. 쑥: 부정적인 기운을 축출 ​ 10. 서양톱풀(yarrow, spear well: 지혈, 닉네임-군인들의 풀 ​ 11. 개똥쑥(아르테미시닌) 12. 기나나무껍질: 말라리아 13. 버드나무껍질: 소염, 진통-아스피린 원조 14. 야래향 향기: 각성제 ..

나무를 껴안다.

모든 동식물은 생체방사선을 방사하는데 이론적으로는 초당 1평방Cm당 10개의 생체광자를 발산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물의 에너지를 입으로 먹지 않고 피부로 흡수하는 방법은 식물터치힐링입니다^^ 이 원리를 실생활에 잘 응용한 독일의 ‘철혈 재상’ ‘비스마르크’는 막중한 업무에서 오는 피로를 풀기 위해 하루에 30분정도 양팔을 활짝 벌려 나무를 감싸안았습니다^^

분명해서 너무나 분명해서

1972년 4월 스위스 취리히에서 발간되는 ‘벨트보케’ 신문은 ‘벡스터’와 ‘구나르’ 교수의 연구에 관한 기사를 내보냈습니다. 그 내용은 “식물들은 외부의 신호를 감지해서 그것을 특수한 경로를 통해 어떤 본부로 보낸다. ​ 이 본부, 즉 신경중추는 인간의 심장근육과 같이 팽창했다 수축했다 하는 뿌리 세포에 자리를 잡고 있는 듯하다. 식물은 분명한 생활리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휴식과 안정을 취하지 않으면 죽어 버린다”이었습니다. ​ 모스크바의 신문, ‘이즈베스티야’(Izvestiya)지의 편집자는 ‘벨트보케’의 기사를 보고 자극을 받아 ‘마트베예프’(matveyev)기자에게 특집기사를 쓰라고 하여 ‘마트베예프’는 ‘식물이 기억이나 언어, 심지어 이타심까지 보인다’는 ‘벡스터’의 견해를 소개했습니다.

삽목 이야기

숲의 모습을 살펴 볼때, 키가 큰 밤나무,감나무, 소나무등을 교목이라 하고, 키가 작고, 곁가지나 새로운 가지가 자꾸 생겨나는 것을 관목이라고 하고, 관목 밑에 풀이나 이끼가 자라는 모습이 보이는데. 씨앗으로 탄생한 식물을 "실생"이라 하고, 씨앗으로도 가능하지만, 그 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접목과 삽목으로 보전한다. 예를 들면 원종인 개복숭아를 심어서 개량된 복숭아를 접목하는 것이고, 삽목은 개량된 복숭아를 접목한 것을 잘라서 꽂아서 다른 개체를 만드는 것이다. 이 개량된 복숭아는 삽목이 어렵고, 수명도 짧아서 복숭아를 삽목으로 증식하지는 않는다. 대체로 교목은 접목으로 증식하고, 관목도 접목으로 증식하지만, 삽목이 손쉬우니 소량은 삽목으로 증식하는 것이다. 기본 상식만 알면 누구나 삽목이 ..

잡초 이야기

잡초의 인상적인것은 .. 1. 농부가 밭갈기전에 꽃과 씨앗을 맺는 '뚝새풀'의 속전속결 2-1.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별꽃', '수염가래', '하눌타리'등이 작은꽃을 크게 보이게 하기 2-2. '클로버'는 시든꽃잎까지 버리지 않고 꽃대아래로 모아 전체적으로 크게 보이게 하기 ​ 2-3. '털여뀌'는 시든꽃잎마저 고운 핑크빛을 유지시켜 꽃 전체가 커다란 꽃한송이처럼 보이게 만드는 영리함이 있답니다^^ 2-4. '광대나물'은 꽃잎 일부를 아래로 위치시켜 곤충의 착지를 돕는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착한?배려심이 있다고 하네요^^ ​ 2-5. '닭의 장풀'과 '물옥잠'은 꽃가루 뭉치가 있는 수술에 가짜 수술을 설치하여 곤충에게 수술이 많은것처럼 위장을 하는데 '물옥잠'은 꽃안의 가짜 수술이 암술과 수술보다 수가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