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우리집 정원 친구들 129

馬牙木

신이 내린 나무 마가목 마가목 이란 한자로 마가목 馬牙木이라고 쓰며 봄에 새순이 나올 때 말의 이빨과 같이 튼튼하고, 힘차게 돋아난다고 해서 붙어진 이름이랍니다. 엷은 연두색의 어린 봉오리가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엷은 분홍빛으로 변해지는가 하면 어느새 꽃잎이 열리면서 순백색의 청순미를 뽐내고 있네요. ​ 마가목은 예로부터 나무중 으뜸으로 여겨져 왔을 만큼 아주 유용한 나무랍니다. ​열매는 작은 사과처럼 둥근모양이고 끝부분에 남아 붙은 꽃받침 잎은 안쪽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답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마가목은 중풍과 어혈을 치료하며 몸이 약한 사람에게는 몸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마가목은 옛부터 그 효능을 인정 받아서 풀 중에는 산삼이 제일이라 일컬어 지듯이 나무 중에는 마가목을 으뜸으로 ..

참당귀(Angelica gigas)

참당귀(Angelica gigas) ​ ‘여성용 인삼(female ginseng)’이란 별명에다 ‘한국당귀(Korean angelica)’라 불리는 ‘참당귀’는 여성 생리나 부인병에 특히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당귀뿌리는 우리나라에서 오랜 세 월 약방의 감초처럼 전통적인 한약제로 쓰여왔다. ​ 타감작용(allelopathy) 사실 식물 세계는 겉으로 보기엔 평온해 보이지만 그들끼리 서로 먹이(food)와 공간(space)을 더 자치하려고 무진 다툼질을 하기도 하고 뿌리나 잎줄기에서 나름대로 다른 식물에는 매우 해로운 화학물질을 분비해 이웃하는 다른 식물(같은 종이나 다른 종 모두)의 생장이나 발생(발아), 번식을 억제한답니다. ​ 당귀는 무엇보다 사람의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기능을 지니고 있기에 항암효..

구기자

구기자 효능.. 생물 학적 분류..가슴아픈 골칫병! 치매 예방에 최고라는 구기자 활용법과 뷰! 치매에 최고라는 좋은식품 구기자 효능 치매에 가장 좋다는 구기자는 주로 양용식물로 재배하는 높이 200~300cm의 여러 해살이 교목입니다. 잎은 여러개가 모여서 달리며 넓은 달걀형으로 길이 3∼8cm ​정도입니다. 줄기에는 줄기가 변형되어 가시가 있으며, 꽃은 6∼9월에 자주빛색으로 ​피어납니다. 열매는 8월부터 빨갛게 익고 계란모양의 장과로 맛은 달고 쓴맛이 있으 며, 뿌리표면은 황백색이며 껍질을 벗겨보면 속이 유백색으로 건조시키면 적갈색을 띤답니다. 열매는 달걀모양 또는 긴타원형으로 길이 1.5∼2.5cm이다. 이용부위는 구기자(열매), 구기엽 (어린신초), 지골피(나무뿌리 껍질)로서 구기자의 주성분은 B..

생강나무들

생강나무 '생강나무', '생나무','새앙나무' 라고 부르며 열매는 기름을 짜서 머릿 기름으로도 사용하면 흰머리가 생기지 않는다고 믿었다고 하네요, 생강나무를 산동백나무, 개동백나무, 산강이라로도 불리어졌으며, 전기가 없던 시절에는 등불용 기름으로도 사용하기도 했답니다. 생강나무 구분법 으로는 생강나무는 줄기가 깨끗한 반면 산수유 나무는 줄기가 벗겨져 지저분해 보인답니다. 한방에서 생강나무를 '황매목'이라고 부르는 것은. 매화처럼 꽃이 일찍 피기 때문이며 다른 나무보다 이른 봄에 앞서 피기에 '매화목', '매화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잎이 5개로 갈라지는 것을 고로쇠생강나무, 잎의 뒷면에 긴 털이 있는 것을 털생강나무라 한답니다. ​ 형태상의 특징으로는 암수가 딴 그루인데 꽃이 많이 달리며 꽃망울에 금..

오미자

◈ '오미자나무' 나무 이름의 끝 글자가 자(子)이면 열매나 씨앗을 약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구기자, 복분자와 함께 오미자(五味子)는 자 자 돌림의 대표 약나무랍니다. 오미자는 다년생 갈잎 덩굴나무로서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습니다. 산기슭이나 계곡 등 수분이 많고 비옥한 땅을 좋아 하고, 다른 나무를 타고 올라가면서 자란답니다. 오미자나무는 비옥한 골짜기에 무리를 지어 분포하는데, 6~7월에 지름이 1.5cm 되는 약간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 꽃이 피며 10m까지 자란답니다. 8~9월이 되면 마치 포도송이처럼 빨간 열매가 알알이 박혀 속에는 씨앗이 한두 개씩 들어 있습니다. 이 열매가 오미자(五味子)라 하여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 맛의 다섯 가지 맛을 내며 그중 신맛이 가장 강하답니..

칡의 생태기 성질은 평하고 서늘하다고도 합니다. 맛이 달며 독이 없으며, 풍한으로 머리 가 아픈 것을 낫게 하며 땀이 나게 하여 표(表)를 풀어 주고 땀구멍을 열어 주며 술독을 푼다.고 되어있으며 번갈을 멈추며 입맛을 좋게 하고 소화를 잘되게 하며 가슴에 열을 없애고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답니다. 족양명경에 들어가는 약재이며, 족양명경에 들어가서 진액이 생기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한답니다. 허해서 나는 갈증은 칡 뿌리가 아니면 멈출 수 없다고도 합니다. 술로 인해서 생긴 병이나 갈증에 쓰면 아주 좋습니다. 또 온학(溫木西)과 소갈(逍曷)을 치료해 준답니다.” 적용증상 및 효능 기, 강장보호, 견교, 견비통, 경련, 경중양통, 고혈압, 과실중독, 관격, 관절통, 광견병, 구토, ..

하수오

하수오 하수오는(어찌 하, 머리수, 까마귀 오) 어찌하여 머리카락이 까마귀처럼 검느냐하여 붙여진 이름의 약초랍니다. 잼난 의미가 담긴 한자 풀이가 행복한 웃음을 선사해주네요. ​빠진 머리를 다시 나게 해 주기도 하지만 흰머리를 검은 머리로 바꿔준다는 하수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 있으시지요? 하수오도 어성초,처럼 다양한 탈모 샴푸나 탈모 건강제품 등 탈모 관련 제품에 꼭 들어간다는 대표 한약 재료랍니다. ​ 예로부터 하수오는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유명하답니다 ​ 백하수오는 면역력과 노화방지의 효능이 인삼의 8배가 높은 것으로 알려질 정도로 약성이 뛰어난 약초랍니다. 레시친, 옥시메칠안트라퀴논, 지방, 탄닌, 게르마늄 등 인체에..

화살 나무

화살나무 ~ 새순은 나물(홑잎나물)이나 국을 끓여 먹기도 하며, 차로도 끓여먹기도 하는 잎은 귀전우차 또는 홑잎 차라 한다. 화살나무의 효능으로는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고 혈관의 근육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해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고 혈압을 내려주는 효과가 탁월하다고 합니다. 또 출혈과 어혈을 좋게 하는 효능도 뛰어나서 고혈압, 동맥경화 등과 같은 심혈관 질환 예방은 물론이고 생리불순, 산후 어혈 복통 등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한 연구팀의 연구 결과 화살나무가 자궁근종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하는데요. 화살나무는 당뇨병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화살나무의 성분 중에는 데나토니움 성분이 들어 있는데 바로 쓴맛을 내는 성분입니다. 이 성분을 여러..

오과

五果 ᆢ사과ㆍ배ㆍ감ㆍ석류ㆍ밀감 ~~~^^ ? 사과 ᆢ 식이섬유는 혈관에 쌓이는 유해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내보내고, 유익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 예방 ᆢ 사과 속의 칼륨은 몸속의 염분을 배출시켜 고혈압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 ᆢ사과에 함유된 케세틴은 폐 기능을 강하게 하여 담배 연기나 오염물질로부터 폐를 보호해주고, 또한 피로물질을 제거해주는 유기산과 피부미용에 좋은 비타민 C도 다량 함유 ᆢ사과의 과육은 잇몸건강에 좋으며 ᆢ사과산은 어깨 결림을 감소해주는 효과 ᆢ 8월 하순 이전에는 미광, 조홍, 서홍, 쓰가루(아오리) 등이 있고, ᆢ 9월 상순에서 10월 중순까지에는 홍로, 홍월, 양광, 추광, 골든딜리셔스, 세계일, 조나 골드, 시나노스위트 ᆢ10월 하순 이후에는 후지(부사), 홍옥..

오자

복분자(覆盆子) . 오미자(五味子) 구기자(拘杞子) . 토사자(兎絲子) 사상자(蛇床子) 오자 모두 토종약초다. 오자차의 효능 및 만드는법 재료 및 분량ᆢ구기자.오미자.복분자.토사자.차전자 각 10g 물 1리터 만드는법ᆢ 1. 센 불에 끓이다 끓어 오르면 불을 줄여 은근히 색이 충분히 우러나도록 끓인다. 2. 건지를 건져내고 차거나 뜨겁게 마시되 꿀을 첨가하면 더욱 좋다. 재료별 효능 구기자: 베타인(betaine)과 루틴(rutin)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오미자:졸음을 쫓고 머리를 맑게 하는 효과로 수험생에 좋다.더위에 지쳐 갈증이 날 때도 좋다. 뜨거운 물에 오미자를 넣어 하룻밤을 재웠다가 꿀을 첨가해 마시면 더욱 좋다. 복분자: - 성미는 달며 평하고 독이 없다. 간, 신경에 들어간다. - 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