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우리집 정원 친구들 129

산ㆍ오서산에 살다.

손에 잡힐 것 같이 눈 앞에 아른거리는 ‘산(mountain)’, ‘알프스(Alps)’ 산은 땅보다는 일정 이상 높이로 가파른 경사가 있으며 정상이 좁은 기복이 있는 높은 언덕을 가르킨다. 산은 독자적으로 솟은 경우는 드물고 많은 산맥 등으로 구성이 되는데 지각활동이나 화산활동 그리고 단층활동으로 만들어 진다. 대표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이 속해있는 히말라야산맥은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면서 생겨났다. 영국에서 지리학자들은 역사적으로 해발 300m 이상을 산으로 여겼고 대조적으로 언덕을 걷는 사람들은 해발 610m 이상을 산으로 여겼는데 옥스포드 영어사전에서도 같은 주장이다. 오늘날은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정상이 해발 610m 이상을 산으로 정의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종종 높이가 얼마..

민들레 둥지

‘민들레(dandelion)’ ‘민들레(dandelion)’는 그 잎은 상추처럼 밥을 먹을 때 쌈용으로 먹거나, 약용으로 먹기도 하고, 뿌리는 약용으로 먹는다. (꽃말( ‘감사하는 마음’, ‘내 사랑 그대에게’, ‘사랑의 신’ 등) 잎이 날개 깃처럼 갈라져있고 깃털이 달린 열매(씨)가 마치 활짝 펼친 작은 양산처럼 파란 하늘을 살랑 살랑 수 놓으며 날아가는 장관은 가슴 속 깊이 잠들고 있던 동심을 일깨워 준다. ‘민들레(dandelion)’의 어원 ‘사자의 이빨’ 민들레는 ‘blowball’, ‘doon-head-clock’, ‘witch’s gowan’, ‘milk witch’, ‘lion’s-tooth’, ‘yellow-gowan’, ‘Irish daisy’, ‘monks-head’, ‘priest’..

클로버

1. 개요 2. 상세 3. 쓰임새 4. 비슷한 식물 5. 이야깃거리 5.1. 네잎 클로버 5.2. 세잎 클로버의 꽃말은 행복 1. 개요[편집] 콩목 콩과 콩아과 토끼풀속 식물. 속명인 Trifolium은 라틴어로 '세 잎(葉)'이란 뜻이며, 종명인 repens는 '덩굴식물, 밑으로 낮게 자라는 것'을 가리키는 라틴어. 학명 끝부분의 L.은 학명의 창시자인 카를 폰 린네가 붙였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클로버가 특별해서 그런 것은 아니고 식물의 학명 대부분을 카를 폰 린네가 붙였다.[4] 2. 상세[편집] 햇볕이 잘 드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다. 원산지가 유럽임에도 극지와 정글, 사막을 제외한 오만 곳에 다 퍼질 정도로 적응력이 매우 강하다. 한국에는 원래 서식하지 않았고, 근세에 외국에서 전해진..

미세먼지와 벌

20세기 말부터 기후 변화나 농약의 과다 사용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각 대륙의 벌의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벌의 먹이 채취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햇빛과 대기의 합작품, 하늘의 편광》 벌을 포함한 다양한 곤충들이 하늘을 나침반처럼 이용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정확히는 햇빛이 지구의 대기와 반응해 산란되며 만드는 빛의 편광(偏光) 패턴을 이용한다. 따라서 곤충들이 항해를 위해 하늘을 이용하는 원리를 이해하려면 빛의 편광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편광은 파동의 보편적인 성질 중 하나다.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파동의 예로 편광을 설명해 보자. 가로 방향으로 놓인 긴 줄의 왼쪽에 서서 줄 끝을 붙잡고 위아래로 흔들어 보자. 줄의 파동은 위와 아래로 진동하..

헛개나무

잎부터 나무줄기, 뿌리, 열매까지 모두 활용 가능한 고마운 식물로 6~7월 개화시기엔 하얀 꽃이 풍성해 헛개나무 꿀 또한 이로운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 또한 열매는 10~11월에 수확하는 것이 좋으며 단맛이 난다 하여 목밀 (나무의 꿀)이라고도 불립니다. 버릴 것 없이 영양 풍부한 헛개나무 술독에 헛개나무를 넣으면 술이 헛것이 된다 하여 붙여진 재미있는 이름으로 예부터 효능이 좋아 우리 조상들은 한방에서 사용하며 지금까지도 다양한 약리 연구를 통해 효능이 잘 알려지면서 음료나 제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 삼 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로 알려진 사포닌뿐만 아니라 칼슘, 호베니틴스, 퀘르세틴, 암페롭신,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이로운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전부 사용되지만 헛개 나..

안 먹으면 늙는다 ?

오과(五果-복숭아, 자두, 살구, 밤, 대추) '대추를 보고도 안 먹으면 늙는다' 신선한 대추에는 당분이 20-30%, 건조된 대추에는 60-80% 정도가 함유되어 있고, . 비타민 C는 사과나 복숭아의 백배 정도 되며, 지지핀산(Zizyphic acid), 비타민 B군, 카로틴, 칼슘, 마그네슘, 철, 인 등의 영양분이 천연 비타민제라고 할 정도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 사포닌, 세로토닌,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여러 가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서 항산화, 항염증 작용과 알레르기 반응 억제, 근수축력 강화, 빈혈이나 결핵, 기관지염, 신경쇠약, 조직손상 등의 치료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간세포가 손상된 토끼에게 매일 대추 추출물을 일주일 동안 먹였을 때, 혈청단백과 알부민 수치가 대조군보다 높았..

뽕ㆍ자료

뽕나무재배기술 ㅡ 장려 뽕품종 개량뽕, 청일뽕, 신광뽕, 청운뽕, 수성뽕, 상일뽕, 수봉뽕, 신일뽕, 용천뽕, 청올뽕, 홍올뽕, 대륙뽕, 수계뽕, 검설뽕, 수원뽕이 있다. 1. 뽕품종의 분류 계통형에 따라 백상계, 산상계, 노상계가 있으며, 발아기에 따라 조생, 중생이 있고 용도에따라, 애누에용, 큰누에용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는 일반적으로 청일뽕과 개량뽕 2. 주요 장려뽕품종 가. 개량뽕 1) 고유특성 백상형의 2배체이며, 낮추베기때의 나무모양은 직립성이다. 가지는 곧고 가지색은 희갈색이며 가지껍질 표면은 거칠다. 봄철싹틀때는 청일뽕보다 1-2일 정도 빠르고, 5잎필때는 청일뽕과 같거나 1일정도 빠른 중뽕이다. 그루당 가지수는 청일뽕보다 1개정도 많고 평균가지 길이는 비슷하며, 마디사이 길이는 2.7..

삽목

성공적인 삽목을 위한 방법 - 낙엽활엽수 : 이른봄 신초가 발아하기 전인 2~3월경 - 상록활엽수 : 가지의 생장이 그치고 반목질화되는 6월하순~7월경 - 상록침엽수 : 3월중 하순 ~ 4월 하순 ※ 4월ᆢ향나무류,편백,측백,철쭉나무류,단풍나무 등 5월ᆢ화백,수국,협죽도,철쭉나무류 등 6~7월ᆢ치자,서향,사철나무,월계수,동백나무,후피향,굴거리,회양목,아왜나무 등 9~10월ᆢ모란,골담초,팔손이,명자나무 등 2. 삽목의 종류와 방법 종류ㅡ방법ㅡ수종ㅡ綠枝揷(녹지삽) 당년에 자란 가지로 경화되지 않은 것을 잘라 사용 동백,치자,서향,철쭉 등 半熟枝揷(반숙지삽) 줄기가 경화되어 생장이 정지된 상태의 것을 잘라 사용(6~7월경의 본경) 장미,동백,늦동백,수국 등 熟枝揷(숙지삽) 겨울부터 봄까지의 휴면지 즉 완전히 ..

수련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강 : 목련강(Magnoliopsida) 목 : 수련목(Nymphaeales) 과 : 수련과(Nymphaeaceae) 속 : 수련속(Nymphaea) 앙증맞은 크기의 작은 수련 각시수련은 수련과(Nymphaeaceae)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개 수련, 애기수련 등으로도 불린다. 그래서 식물 이름에서 각시수련, 각시붓꽃, 각시둥굴레 등과 같이 ‘각시’가 붙은 것은 유사종에 비해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각시수련 꽃(바깥 화피조각) 꽃이 피기 시작한 각시수련. 바깥쪽 4장의 화피조각은 녹색을 띤다. 각시수련의 잎은 길이 2.0~5.5cm, 나비 2~4cm로 뿌리에서 모여 난다. 우리나라 수련속 식물 중에서 잎이 가장 작다. 잎의 밑 부분은 양끝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