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우리집 정원 친구들 129

헛개나무

헛개나무, 고소득 재배방법은? 헛개나무는 예로부터 간 질환에 좋은 나무로 알려져 왔습니다. ‘Polysaccharide’라는 다당류 활성 화합물이 과병(열매의 꼭지)에 다량 함유되어 있어 숙취와 주독해소에 뛰어나고 간 기능 활성화에 도움을 주며 정혈, 갈증해소, 해독작용이 우수해 약용뿐 아니라 건강음료로도 인기가 높죠. 특히 독성해소 작용(LDH)이 우수해 간염치료 효과가 크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 무단 벌채가 빈번해지며 그 수가 많이 줄었다는 보고가 있는데요. 우리 몸에 참 좋은 헛개나무! 이제는 국민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식품뿐 아니라 귀농•귀촌을 하는 임업인들에게 고부가가치 작물로도 각광받고 있는 헛개나무 재배방법과 활용가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깊은 산간의 계곡부위에 자라는 헛개나무는 우..

고구마

고구마 재배 방법 "고구마 싹 길이가 최소 25cm이상, 30cm정도는 되는 것을 사다 심도록 한다" 1. 고구마 심을 이랑 만들기 고구마는 땅속작물로 두둑을 만들어 심어야 하는데, 두둑의 높이는 30cm 정도로 높게 만드는 것이 좋다. 두둑을 높게 만드는 이유는 고구마는 습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물이 잘 빠지도록 해주고,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하여 뿌리가 호흡을 잘해 고구마가 잘 자라기 때문이다. 고구마를 심을 고랑은 가급적 높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최소한 30cm 이상으로 하고, 비닐을 씌워 재배하는 것이 잡초관리 등 일손을 더는데 도움이 된다. 2. 고구마 심는 두둑의 비닐을 왜 씌울까? 예전에는 고구마를 심을 때 비닐을 씌우지 않고 심었다. 고구마는 비교적 가뭄에 강(구황작물)하고 초기에만 잡초를 ..

전지란 ?

전지전정의 시기와 방법 정리 ♡전지전정작업이란 충해를 예방하거나 조경수의 건전한 발육과 아름다운 수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가지를 잘라주는 행위를 말한다. ♡정지작업은 줄기와 가지의 생장을 조정하기 위한 가지치기. ♡전정작업은 정지를 하기 위하여 나무의 가지나 줄기 및 잎의 일부를 잘라내는 작업. ♡전지전정의 목적은 불량가지를 잘라내고 또 혼잡한 가지를 정리하고, 열매가 달릴 가지를 솎아내어 열매의 수를 조절한다. 큰가지의 끝에서 새가지가 많이 발생함으로써 골고루 열매를 배치하는데 목적이 있다. ♡솎음전정 : 가지의 기부를 잘라내는 것, ♡자름전정 : 가지의 중간을 잘라서 튼튼한 새 가지를 받는것, 전지전정을 한 후 자른 부위가 빨리 아물도록 하고, 솎음전정의 경우는 가지의 기부에서 수평으로 자르며..

매실 전지

매실 다수확 방법 여름철 가지치기 매실은 보통망종(6월 6일)이후에 수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서 매화꽃이 만개한 후 80-90일 경에 수확하는 것이 적절한 수확시기 입니다. 3월말에 매화꽃이 만개하였다면 6월말에 따야 제대로 익은 구연산이 풍부한 매실입니다. 그러나 장아찌용, 매실 엑기스, 담금주용 등 용도에 따라 망종부터 따는 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이른 수확은 매실 씨앗 속에 들어 있는 아미그다린(청산배당체)라는 독성 성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름철 과실은 수확이 끝난 후 바로 가지치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실나무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3월 초순에서 중순경에 꽃이 피고 과실이 달리고 절기상 망종(6월 초순) 무렵부터 수확을 시작하여 6월말 경에 수확을 마칩니..

사과 전지

사과나무 전지전정 1. 정지전정과 관련되는 기초이론 가. 적정 엽면적지수(LAI) 한 개의 사과를 키우는데는 40~60매의 잎이 필요하므로 많은 수의 열매를 키우기 위해서는 많은 잎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정한 공간내에 잎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그늘을 많이 받는 잎수가 늘어나게 되고 사과에도 햇빛이 충분하게 도달하지 못하므로 과실의 품질이 떨어지고 꽃눈의 착생이 잘 안 되는 과밀장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과생산량도 많고 품질도 좋게 만들 수 있는 정도의 잎수(잎면적)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잎의 총면적을 나무가 심겨진 토양의 면적으로 나눈 값이 엽면적지수이며 일반적으로 적정엽면적지수는 2.0~3.0정도이다. 잎수로는 10a당 100만매 내외이다. 나. 광도 잎에서 이루어지는 광합성은 광도에 따라 ..

감나무 전지

감나무 가지치기(전지) 방법과 시기 감나무 생장의 특성 1.결실수령이 길다. 감나무는 장년생 영구작물로 교목성을 지닌 나무로서 가지의 굵기는 가는 편이며 잎이 두껍고 크기가 큰 것으로 감의 결실량이 많아 하중이 높아 대부분의 가지가 밑으로 늘어지는 수성을 지니게 된다. 2.해거리 결실 현상이 많다 감나무는 과수중 해거리결실이 특히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그 발생원인은 여러가지 있으나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과실이 가을 늦게까지 나무에 달려 있게 되므로 많은 영양을 소모한다. ○타 수종에 비하여 잎의 량이 부족하여 양료의 생산력이 부족한 편이다. ○수성에 비하여 결실량이 많고 과실도 커서 영양소모가 많다. ○조방재배의 경우 시비관리없이 방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3.결과습성 감의 결실은 결과모지에서 ..

꾸미기ㆍ꾸밈

思惟ᆢ私有 시골 집에서는 풍경을 중요하게 여긴다. - “물리적으로 몸이 가질 수 있는 최대한의 범위이자, 개인이 소유하는 유기적인 보호체.” -’사유의 방’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공감각적으로 빛을 흡수하는 집 재료인 숯을 메인 홀과 입구 벽에 발라 은은한 느낌을 주고, 계피 향을 입혀 후각을 자극했다. **_ 초점을 두지 않고 공간 전체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했다. 좋은 공간이란. “눈 감았을 때 기분 좋은 공간.” 건물⋅정원⋅담장이 서로 양보하지 않는다. 심지어 나무까지 슬쩍 지붕을 침범한다. -집안 곳곳에 책이다. “책은 언어로 구축하는 건축이며, 건축은 물질로 사고하는 한 권의 책이라고 생각한다.” “거미줄. 거미는 자연의 건축가다. 그리고 모닥불. 장작 각도에 따라 불꽃 모양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무화과

무화과의 약성은 《‘3항(抗) 3협(協)’》 3항은 항산화/항균/항염증 효과이다. 무화과는 항암작용이 있는 벤즈알데히드 및 비타민류로 해서 몇몇 과일의 항산화 능력 비교에서 가장 높고 키위, 오렌지, 토마토, 딸기의 순이었다. 또 무화과는 농약을 전혀 치지 않고도 키운다고 할 정도로 독특한 향과 유즙 때문에 벌레나 해충이 감히 접근을 못 한다. 무화과 가루를 염증 부위에 뿌리거나 들이키면 염증 해소가 빨라 관절염, 인후통, 기침 환자 등에도 추천된다. 3협은 소화촉진/변비탈출/심혈관질환예방을 돕는다는 것이다. 육식할 경우 무화과로 고기를 재어서 먹거나 후식으로 무화과를 먹으면 소화가 잘 된다. 단백분해효소인 휘신(Ficin)이 있어서 고기가 연해지고 소화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변비는 건강과실로 이름난 푸..

깻잎

한방 본초에서는 깻잎을 보라색을 띤다 하여 자소엽(紫蘇葉)이라 부르고 위를 보하는 약재로 즐겨 사용한다. 의 ‘나쁜 냄새를 없애고 위를 튼튼하게 한다’ 거나 의 ‘속을 고르게 한다’는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 음식 궁합 면에서 깻잎은 육류나 생선회를 쌈 싸 먹는데 잘 어울린다. 방부제 역할을 하는 정유 성분인 페릴 케톤(perill keton), 페릴라 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 등이 특유의 향과 맛으로 고기의 느끼한 맛을 없애주고 식중독을 예방한다. 또 고기에 부족한 칼슘, 엽산, 비타민A,C 등이 깻잎에는 풍부하여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침착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완벽한 영양적 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때 궁합이 잘 맞는 양파를 함께 섭취하면 위암 예방 효과가 배가된다. 한국조리과학지..

찰옥수수

찰옥수수 찰옥수수 (Waxy corn)는 나종 또는 납질종으로 불리는데 종실(從實)은 반투명에 가깝고 가열하면 점성 녹말인 아밀로펙틴(amylopectin)으로 인해 찰기가 강해진다. 옥수수는 단백질, 지질, 당질, 섬유소, 무기질, 비타민 등 성분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사랑받는 영양식품이다. 찌거나 굽거나 튀밥으로 먹어도 고소한 맛이 탁월하여 맛에서도 세대를 초월하여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옥수수의 대표적인 효능을 살펴보면, 1. 혈관 정화. 혈관을 깨끗이 청소해 주는 필수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ic acid)이 풍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낮추어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2. 충치 예방. 인사돌, 덴타돌 등 잇몸질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