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昇火降支村 825

음양의 특징

음양(陰陽)의 특징 음양관을 공부하는 것은 자신의 건강, 가족의 건강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않고 본인 스스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진정한 의사가 될 수 있는 길이다. 우선 음양관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기존 선입관(견)의 안경을 벗어야 한다. 세상에는 너무도 많은 지식들이 있으며, 자신도 나름대로의 고착된 소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은 엄청나게 힘이 드는 일이다. 세상을 상대적으로 바라보는 지혜가 필요하다. 양과 음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느 쪽이 좋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음양은 우리의 생활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음양을 제대로 알고 나면 세상의 모든 건강을 얻을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음과 양의 특징 - 동(動)과 정(靜) 음과 양의 대표적인 특징은 동..

요리와 마늘

모든 요리와 마늘은 잘 어울린다(?) ⇒ 음양관 없는 마늘 첨가 요리법은 재고해야 한다. 마늘의 맛은 기본적으로 맵고 톡 쏜다. 톡 쏘는 맛은 소양상화(小陽相火) 즉, 화(火)의 기운 쪽이 강한 것이지 사실은 매운맛이 강한 것은 아니다. 톡 쏘는 향이 강하다보니 매운맛처럼 느껴지는 것뿐이다. 요리를 할 때 음식의 궁합 역시 음양관에 의해 결정된다 . 양과 양이 만나도 안 좋고, 음과 음이 만나도 안 좋다. 음과 양이 균형 있게 어우러져야 올바른 요리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상어요리를 할 때 마늘이 좋을까? 당연히 나쁘다. 머리 쪽이 큰 상어도 양적이고, 뿌리가 큰 마늘도 양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돼지고기와 쇠고기 중 마늘이 들어가면 더 좋은 것은 무엇일까? 돼지고기다. 돼지가 아무래도 소보다 음적이..

산소와 탄산가스

*** 산소와 탄산가스를 맞 교환한다. 동물과 식물의 상호 공존관계다..... 반딧불이 애벌레는 맑은 물의 다슬기를 숙주 삼아 커가므로 반딧불, 다슬기 한 마리는 자연의 생태를 전달하는 하나의 징조 , aum ~~~ '안을 보라'는 문구다. 눈 덮인 광야를 걸어갈 때 모름지기 함부로 걷지 말지어다. 오늘의 내 발자국이 마침내 후인의 이정표가 되리니......

곤포

◆논밭 한 가운데 있는 하얗고 둥근 '그거' '곤포 사일리지(Baling Silage)'라고 한다. 추수를 마친 들판에 거대한 마시멜로나 두루마리 휴지처럼 줄지어 놓여있는 그 물건의 이름이다. 지름 1~2m, 무게 100~500㎏내외의 원통형 모양을 하고 있는 곤포 사일리지는 탈곡을 끝낸 볏단을 동그랗게 말아놓은 것이다. 곤포(梱包·baling)란 단단히 다져 크게 묶은 더미나 짐짝, 혹은 그런 짐을 꾸려 포장한다는 의미고, 사일리지는 곡물이나 볏단을 밀폐 후 발효시켜 만든 숙성사료를 뜻한다. 그러니까 곤포 사일리지는 두 단어를 뜻을 합쳐 볏단을 단단히 압축한 뒤 밀폐 포장해서 만든 숙성사료가 되시겠다. 입에 붙는 이름은 아닌지라 정작 농가에서는 '덩어리'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베일러라는 농기계를 통해 ..

水昇火降支村 2020.12.28

귤ㆍ하얀 줄기

◆귤에 붙어있는 '하얀 거' '귤락'이다. '알베도'라고 하기도 한다. 귤을 먹을 때 속 과육과 껍질 사이의 붙어있는 하얀 실 같은 섬유질 부분을 일컫는다. 식감을 위해 제거하고 먹는 경우가 많지만 실은 먹는 편이 건강에 좋다고 한다. 귤락에는 헤스피리딘이라는 화학물질이 풍부한데, 헤스페리딘은 혈관의 탄력과 밀도를 유지해주고 모세혈관 파열을 예방한다. 고혈압 환자나 당뇨병 환자, 혈관이 약한 고령자에겐 귤락을 떼지 말고 먹을 수 있도록 알려주자. 귤락에는 비타민C, 식이섬유도 풍부해 혈중 콜레스트롤을 낮추는 효능도 있다.

토양ㆍ유기물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 만들기 1. 유기농 필수 3대 요소 유기농 농사를 지으려면, 첫째 비옥한 토양을 준비하는 것, 둘째는 기르고자 하는 작물을 잘 이해하고 특성에 맞게 영양등의 균형을 유지해 주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결과룰을 사람이 취하기 위해서 곤충/균등으로 부터 지키는 것 이 3 가지가 필수로 진행이 되어야 한다. 나에게는 아직 준비의 시간이 있어서 지금은 전체적인 구상을 하고있다. 동시에 3대 요소에 대한 스터디 및 연습을 통한 산지식 습득이 필요하다. 또한 내가 타인의 재배 방법을 직접 해 보면서 몸으로의 습득과 내 방식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 2. 비옥한 토양 만들기 연습 비옥한 토양을 만드는 방법은 토양을 구성하는 3대 요소는 유기물, 무기물, 수분이다. 이들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

水昇火降支村 2020.12.27

매실 청

설탕은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이당류이며 분자식은 C12H22O11 이다. 영어로 사카로스(saccharose)라고도 하며, 사탕수수나 사탕무에서 얻은 원당을 정제공장에 정제해 만든 천연 감미료이다. 설탕은 이당류로 존재하며 설탕은 소장에서 수크라아제에 의해 이당류인 설탕이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수크라아제가 부족하면 인체의 뼈에서 크롬을 가져다가 사용해서 설탕을 분해하기 때문에 체내 크롬이 부족해져 뼈가 약해지고 당뇨병 등이 유발 될 수도 있다. 설탕이 뼈를 삭게한다 라는 말도 설탕이 뼈의 크롬을 가져다 써서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발효 매실청 속의 설탕은 발효되면 과당과 포도당으로 분해된다. 발효 매실청은 이미 단당으로 분학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 무리가 되지 ..

양택가상학ㆍ양택풍수

陽宅風水 ▲ 즉 양이 있는 자리는 동적인 곳이므로 거실이나 활동성이 많은 어린이 방을 배치(木ㆍ방향)한다. 부엌 등은(火,水ㆍ방향), 공공시설, 생산시설, 교육시설(木ㆍ방향), 위락시설(火ㆍ방향), 의료시설이나 성장 후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는(金ㆍ방향) 음양오행을 적용한다. 음이 차지한 자리는 정적인 곳이므로 안방이나 개인사무실, 저장시설 등을 배치한다. ㆍ양택가상학(陽宅家相學)

득수가 우선

풍수는 득수가 우선이고 장풍은 그 다음이다. 득수는 앞에 물이 보이는 것이 아니라 물이 혈 앞에 모이도록 하는 혈상의 사신사와 호대사의 형상에 있는 것이고, 장풍은 단순히 바람을 막아준다는 의미가 아니다. 바람을 막는 기능이라면 방풍(防風)이 맞을 것이다. 장풍은 조산과 안산의 기능이 중요한데, 모인 물을 가두어 之(지)와 玄字(현자)로 逆水(역수)를 만들어 천천히 흘러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말한다. ▲ 혈의 구조(구글에서 인용. 여기에서의 명당은 혈(穴)임) [자료제공=필자] 득수는 현무와 용호가 혈 앞에 물을 모으는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물의 어머니는 기(氣)이기 때문에 생기가 있다는 것은 물을 낳는 형태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용호가 혈을 향해서 모아주어야 물이 모이기 때문이다. 용이 달려 나가면..

생활풍수

풍수지리 연구가 : 김 석 중실전경매풍수 상담 : sjkstorm@hanmail.nethttp://cafe.daum.net/yacho0909 - 풍수지리는 기본적으로 지기로서 이루어진 살아 있는 땅에 인간이 어떻게 잘 조화해서 살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 땅은 좋고 나쁜 것이 없고 스스로 그러한 모양으로 존재하고 있다. 양택가상학(陽宅家相學) 가. 풍수지리학이란? 풍수에서 양기(陽基)라고 하면 사람이 살 주거지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양기’ 를 ‘양택’ 으로 혼용해서 부르기도 하는데 '양택' 보다는 '양기' 의 의미가 더 광범위하다. 양기는 사람이 활동하는 공간개념의 주택, 사옥, 사원, 청사 등 건축물이 들어설 터를 망라한다. 단순한 집터나 주거지를 칭하는 양택 뿐만 아니라 도읍..

728x90